-
-
여우야 여우야 어디있니? ㅣ 즐거운 동화 여행 6
김숙분 지음, 정림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여우야 여우야 뭐 하~니?
하고 시작되는 놀이를 하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된다.
그렇게 여우는 사람과 친한 동물이면서도 교활하거나 얄미운 사람에 비유해서 이야기 하는 것을 보면 여우에 대한 이미지는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책의 제목에서 느껴지는 여우는 왠지 예쁘고 사랑스럽게 느껴진다.
아이들이 웃는 얼굴로 여우가 어디 있는지를 손나팔을 하면서 부르는 것을 보면,
그럼 사랑스런 아기 여우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볼까?
새끼에게 좀더 맛나고 특별한 음식을 먹이고 싶은 어미의 심정은 사람이나 동물을 가리지 않는가 보다. 그래서 엄마 여우는 사람으로 둔갑하고 아기 여우는 엄마를 졸졸 따라다니는 강아지가 되어 마을의 잔칫집에서 일을 도와주고 음식을 얻어온다. 새끼 여우는 사람의 음식을 맛 본 때문일까? 사람이 먹는 음식이 먹고 싶다고 엄마에게 투정을 한다.
엄마는 사람이든 여우든 사랑으로 살아가는 것이므로 사람과 여우의 삶은 똑 같은 것이라고 말하지만 아기 여우는 사람의 냄새가 그립기만 하다.
그것은 엄마 여우도 마찬가지여서 나무꾼이 앉아 쉴 수 있는 바위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할 만큼 아기여우나 엄마 여우가 사람을 좋아하고 그리워한다.
어느날 새끼여우는 엄마 여우가 없자 마을로 내려가게 되고 동네 아이들에 의해 발견되어 그 여우를 키우고 싶은 마음에 장님인 재동이 아저씨 집에 맡겨져 아저씨의 사랑을 받으며 아이들과 아저씨의 소중한 친구가 된다.
한편 엄마는 아기 여우를 찾아 헤매다 재동이 아저씨 집 앞의 대나무로 둔갑하여 아기여우를 눈물로 지켜보게 된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사람의 집에서 살 수는 없는 일.
아기 여우는 자신의 눈을 재동 아저씨에게 나눠주고 엄마여우에게 되 돌아 간다.
엄마는 다시 자신의 눈을 아기 여우에게 주려 하자 아기 여우는 한 쪽 눈만 줄 것을 부탁한다.
자신이 엄마의 두 눈을 받고 살기엔 너무나 고통스러워 살 수가 없다고, 엄마와 함께 사냥을 가고 싶단 말에 엄마 여우는 자신의 눈을 하나씩 나눠 갖기 위해 벅찬 가슴을 누르며 주문을 왼다.
“스릉 스릉 흥흥, 바랑 바랑 흥흥!”
아기여우와 엄마여우의 사랑과 고통이 느껴져 책을 덮고 한참을 그냥 앉아 있었다.
재동 아저씨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자신의 눈을 나눠주려 하는 아기여우의 마음, 엄마여우의 눈을 갖고 살아가기에 자신이 없었던 아기여우, 그것을 차마 볼 수 없었던 엄마여우….
자신의 눈을 나눌 만큼의 사랑을 내 아이들은 가지고 있을런지….
여우든 사람이든 사랑으로 살아간다는 엄마여우의 말이 교훈처럼 마음을 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