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암컷 오리 질의 해부학적 구조가 이렇게 다양해진 원인은 무엇일까? 핵심적인 원인은 생식기의 구조와 사회적·성적 생활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영토를 보유하며 일부일처제를 채택한 오리(고니, 캐나다기러기, 흰줄박이오리 등)의 경우, 수컷은 표면이 밋밋하고 크기가 매우 작은 페니스(약 1센티미터)를 보유하고 있고, 암컷은 맹낭이나 꼬임이 없는 단순한 질을 갖고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영토를 보유하지 않으며 강제교미를 일삼는 오리(머스코비오리, 고방오리, 붉은꼬리물오리, 그리고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 주세요」에 등장하는 청둥오리 등)의 경우, 수컷은 길고 표면이 꺼칠꺼칠한 페니스를 보유하고 있고, 암컷은 구조가 매우 복잡한 질을 갖고 있다. 페니스와 질의 형태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두 가지 특징(길이가 길고 구조가 정교한 페니스, 복잡하고 구불구불한 질)은 공진화한 게 분명해 보인다. 그렇다면 이러한 공진화를 추동한 요인은 뭘까?
- P257
성적으로 적대적인 공진화는 암수 간에 일종의 군비경쟁을 초래하여, 각각의 성은 이성異性의 진화적 노력(수컷: 생식에 대한 주도권 장악, 암컷: 생식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권 확보)을 압도하기 위해 성공적인 행동적 형태학적 생화학적 메커니즘을 진화시킨다. 즉, 한 성의 진화적 발전은 다른 성의 보상적 대응전략compensating countertstrategy)을 추동하게 된다.
- P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