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렌즈효과gravitational lensing도 외계행성을 탐색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단, 이 방법을 적용하려면 지구와 외계행성, 그리고 모항성이 완벽한 일직선상에 놓여 있어야 한다.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질량이 시공간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천체가 있는 곳 근처에서 빛의 경로가 휘어진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는 천체도 빛의 경로가 적절하게 휘어지면 우리 눈에 모습을 드러낼 수도 있다. 특히 망원경과 행성, 그리고 별이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놓여 있으면 별에서 방출된 빛이 중력렌즈효과에 의해 고리모양으로 변형된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아인슈타인 고리Einstein Ring’로서, 별과 관측자 사이에 질량이 큰 천체가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알라딘 eBook <인류의 미래> (미치오 카쿠 지음, 박병철 옮김) 중에서 389/75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