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홉 개의 바둑돌 ㅣ 파랑새 사과문고 67
김종렬 지음, 최정인 그림 / 파랑새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살아있는 동안 더 많이 필요한 이해의 순간들]
아이들에게 아버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고 한다면 아이들을 어떤 말을 할까? 순간 뜨끔하는 어른들 적지 않을 것 같다. 나역시 아이들이 아버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까 적잖이 걱정이 되기는 한다 .사실 얼마 전에 1학년 짜리 아들이 가족을 표현하는 글짓기를 했는데 아빠는 베드민턴 대장이라고 썼다. 매일 저녁 퇴근해서 베트민턴장에서 1시간씩 운동하고 들어오는 아빠에 대한 서운함이 살짝 묻어났음을 어찌 모를겠는가...
주노 역시 그랬다. 아버지의 죽음이 마음 아프기는 했지만 아버지를 기억하면 즐거운 일보다는 야속한 일이 더 많았다. 아버지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놀아주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그렇지만 시간만 있으면 늘 바둑판을 잡고 있고 기원에 가고 바둑프로그램만 볼 뿐이다. 어린 아들의 눈에 아버지는 이해할 수 없는 야속한 사람이었다. 책에서 보여지는 한 예만 봐도 아들과의 약속은 밥멋듯이 하면서 아들이 보조자 하는 야구경기 대신 바둑 경기를 보겠다고 아들과 실갱이를 벌이고 손찌검까지 하는 장면은 솔직히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런 주노에게 어느날 혼령으로 나타난 아버지. 그 아버지는 아무말 없이 주노에게 바둑을 가르쳐준다. 아버지를 빼앗가 간 듯해서 그렇게도 주노가 싫어했던 바둑을 혼령이 되어서야 가르쳐준 아버지..왜 살아서는 그렇게 못했는지 아쉬움이 남는 것은 독자든 주노든 혼령이 된 아버지든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원망하는 대신 이 바둑을 통해 아버지와 아들의 소통을 열어주고자 했더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바둑을 배워가면서 그 재미도 솔솔히 느끼지만, 주노는 바둑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이해도 생기고, 떠나는 아버지가 주노에게 바라는 것도 한꺼번에 배워가게 된다.
초보자인 아들을 위해서 9의 바둑돌을 놓아주고 바둑을 가르치는 아버지. 아들의 실력이 늘때마다 한개씩 줄이는 동안 아들은 아버지에 대한 이해와 세상을 향한 열린 마음을 배워간다. 바둑돌 9개를 다 줄이는 동안 아버지가 함께 할 수는 없었지만 남겨진 수만큼은 주노가 어머니와 함께 치워나가야 할 돌들인지도 모른다. 조금 늦기는 했지만 아버지와 아들이 소통할 수 있는 결말이라서 다행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너무 늦기 전, 우리가 함께 사는 동안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순간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