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지지 않는 노래 ㅣ 푸른도서관 30
배봉기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5월
평점 :
[현실과 역사가 맞닿은 작가의 상상력, 정말 멋지다]
고인돌의 천국이라고 하는 한반도의 것과는 달리 거대한 얼굴 모양의 석상이 있다. 얼마전 우리나라 음악계의 최고 아이돌이라고 할 수 있는 서태지의 컴백 앨범에도 등장한 모아이.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에 있는 거대 석상이 바로 그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세계 도처에 있는데 그 모양보다도 그 수나 그대한 크기 때문에 알 수 없는 과거 시대에 대한 경이감과 의문이 함께 생기게 된다.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의 해안가에 있는 수많은 모아이 석상에 대해서 이런저런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보통 고인돌처럼 지도자의 권력을 나타내기 위했다는 설부터 외계인설까지..물론 지금은 여느 고인돌처럼 지도자의 권력을 나타내기 위함이 아닌가 싶다. 그렇지만 이 석상에 대한 진실은 모두 추론이다. 남겨진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수많은 상상과 가설을 내세운다. 작가 역시 그 역사적 근거와 상상 가운데서 이 작품을 써내려갔다.
소수민족의 언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에게 남겨진 자료를 근거로 이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이 독특하다. 진짜? 거짓?이라는 묘한 의문을 갖게 하면서 갖가지 상상을 하면서 작가의 상상력에 동참하게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서 정말 중요한 것 하나를 발견한다. 지배자의 권력의 상징이냐 아니냐 하는 것보다 지금 이 세계에 남겨진 강자의 역사와 그 한켠에 석상으로 표현된 약자의 사라진 역사이다.
역사 속에서의 충돌은 타문화권과의 마찰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아니 분쟁의 시초는 늘 문화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듯하다. 이스터 섬에서 장이족과 단이족이 함께 평화롭게 살지 못하는 그 시발점에도 하늘제사를 지내는 차이에서 비롯되고 이런 분쟁은 강자에 의해서 지배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보여준다. 두 부족이 세월을 거쳐 권력을 차지하면서 약자에 의해 세워진 거대한 석상이 바로 모아이이다. 지배자에게는 권력의 상징이나 지배받는 이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거대 석상.. 그리고 더 많은 세월이 흘러 장이족도 단이족도 아닌 훨씬 강한 외부 세력에 의해서 지배받는 이스터 섬 .장이족가 단이족을 통해 형성되는 역사의 조각을 보면서 동시에 이들을 능가하는 서구열강에 의해서 침식되는 약자들의 역사를 동시에 볼 수 있다. 그래서 모아이는 결국 장이족과 단이족 모두의 역사이며 사라지지 않는 노래가 된다.
역사소설은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쓴 상상의 이야기이다. 그렇지만 현실과 맞닿은 부분이 있기에 마냥 거짓같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덕분에 잊고 있었던 모아이 석상을 비롯해 우리에게 남겨진 또 다른 역사의 흔적들에서도 사라지지않는 노래가 있음을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