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리하는 뇌 - 디지털 시대, 정보와 선택 과부하로 뒤엉킨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6월
평점 :

현대는 많은 정보로 인해서 이 넘쳐나는 자료들을 어떻게 읽고 우리의 뇌로 인식하는 과정
속에서 이해를해여 분석할 수 있는지 좀처럼 쉽지 않은 과정을 통해 살아가야하는지 궁금해했습니다. 이 도서의 제목 <정리하는 뇌>를
보자마자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떻게 정보를 잘 걸러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잘 이겨나갈 수 있는지 알수있을 꺼 같은 기대감이 들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뇌를 통해 인지하고 분석하여 앎이라는 과정을 겪는데 그 과정과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기에 정확하고 신속한 이해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살아가면서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습니다. 때로는 알츠하이머와 같은 일종의 치매와 같이 우리의 뇌에 치명적인 상황에 놓이는 경우까지 주위에서
보거나 매스컴을 통해서 들어오기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뇌는 정말로 우리의 삶에 있어서 정말로 필요한 판단 능력 뿐만이 아니라 기억력에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리 삶을 좌지우지하는 뇌는 어떻게 작용하고 이러한 질병을 예방함은 물론 뇌의 능력을 잘 활성화하는
방법을 잘 소개해주고 있을 꺼 같은 기대감으로 이 도서 <정리하는 뇌>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한가지 기억을 떠올리다 보면 다른 기억들이 함께 활성화되는데, 이것은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한 단어를 생각하면 그 낱말의 이미지를 뇌를 통해서 분석이 되어가면서 연상과정을 겪게됨을
알수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보는 것 처럼 소방차라고한다면 우리는 많은 연상이 되는 것들을 순간순간 떠오을수 있습니다. 이 처럼 이러한 연상되는
것들을 경험과 배워온 지식들의 기억을 통해서 뇌세서 순간적으로 그 기억들을 떠오르게 하는 것들입니다. 이렇게 뇌는 우리의 기억들을 통해서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상하는 과정들이 기억들로 인해서 떠오르는 것은 순간 많은 정보들이 활성화되는 장점을가지고 있지만
순간 많은 정보들을 캐치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수도 있고 순간적으로 멈칫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질수 있음을 알게됩니다.

"우리 뇌는 사물을 당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정리하지
않는다."
우리의 뇌 구조는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가되어 있지 않음을 알아야합니다. 우리가 옷을
수납장에 잘 깔끔하게 정리하거나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터전 속에서 물건들을 잘 정리하는 것처럼 그렇게 손쉽게 우리의 뇌 속에 많은 정보들을
집어넣는 것이 그렇게 깔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 만큼 우리의 뇌는 많은 복잡함 속에서 많은 작용을 통해서 정보들이 정리가 됨을
알아야 합니다. 패턴이나 디자인, 계획 이라는 것이 없이 마구잡이로 우리의 뇌가 무계획적, 무구잡이로 정리를 하는 힘이 있음을 깨닫는 다면
어떻게 생각하면 지져분한 느낌이 들수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쉽게 우리가 정리를 함으로써 뇌를 잘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하루에 특정 개수만큼의 판단만 내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그 한계에 도달하면 중요도에 상관없이 더 이상 판단을 내릴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능력은 무궁무진하다고 하지만 그 한계점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자연스레 겸손해지게 됨을 알아야합니다. 시험기간에 벼락치기로 많은 정보들을 공부한다고해서 모든 것을 한 순간에 다 기억하고 이해하는 것은 쉽지가
않듯이 우리의 뇌가 하루, 일정시간에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은 나름 개개인마다 정해져 있음을 알아야겠습니다. 우리는 이처럼 벼락치기를 하거나 한
순간에 많은 기억을 해야한다면 그 만큼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뿐만이 아니라 뇌 시스템에 또한 과부하가 생긴다는 것을 안다면 자신의 하루 할당량을
잘 활용해서 꾸준히 하루하루 채워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게 됩니다. 그래서 매일 꾸준히 조금씩 자신이 뇌 속에 담아 놓을 수 있는 용량만큼
공부를 한다면 최대한의 공부효과를 낼 수 있을꺼란 생각을 해봅니다.
이 도서 <정리하는 뇌>를 읽으면서 우리 뇌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예민하고 복잡하고 까다롭고 신비한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주의 깊게 읽었던 것은 우리의 뇌는 특히나 나쁜
스트레스에 굉장히 민감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스트레스에는 좋은 스트레스와 나쁜 스트레스가 있는데, 좋은 스트레스가 스스로 자극을 받아서
동기부여와 연결된다면 나쁜 스트레스는 우리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심리적인 압박감과 감당하기 버거운 수준의
부담감은 당연히 우리 몸에 좋지 않겠지만 우리 뇌에 더욱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한 두뇌를 만들기 위해서는
항상 행복한 마음과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넘쳐나는 정보들로부터 우리의 뇌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된다면
분명히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있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과 대처방안을 모색함으로 정말로 이 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책
<정리하는 뇌>가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