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국민이 광화문에 발도장 찍고 가려던 그 시기 이후, 광화문 방문이 한 동안 뜸했지요. 그러다 지난 토요일, 10월 13일, 세종문화회관 들렸다가 무려 4시간을 머물렀다지요. 바로 소소한 시장에서. 나중에 검색해보니, 제가 오래 머물며 놀았던 그 행사 이름은 "세종예술시장 소소" 였어요. 

https://www.facebook.com/sejongartsmarket


멀리에서 보면, 이런 분위기. 작은 장터 느낌.
내려가서 보면 말그대로 "소소한 마켓" "일상 예술가들의 소소한 교류터" 노래가 있고, 이야기가 있고, 훈훈한 대화가 있되 1회용 용기나 비닐봉지 없는 황토색 느낌의 공간.


아침부터 별다방 별따러 출근하는 단순 소비생활에 스스로 부끄럽고, 가상의 화폐가 오가는 비인격적 소비는 지루한데 "소소한 마켓"에서는 건강한 물질성이 있다. 만져지고, 그려지고, 당신도 살아 있고, 나도 잘 살고 있다는 느낌이 온다. 요새 관행소비시장에서 sold out 히트친 '말차샷라떼'와 비할 수 없는 수제 '쌀 요구르트'도 맛보았고, non-GMO 땅콩 껍질을 까고, 새벽에 손수 찌어 나르신 수제 단호박송편을 우적인다. 





10월 13일(토), 10월 14일, 10월 20일(토) 10월 27일(토), 11월 3일(토) 
딱 5번 열린다. 오후 6시까지. 평소 물욕 없던 이라도 탐하게 될 물건이 많을테니, 미리 헝겊 장바구니를 챙겨가길. 플러스, 이왕이면 현금. 카드가 안 되어 구매 못하고 놓치고 온 물건이 있었으나 바로 '나무와 주머니' 공방 주인장 2분이 직접 깎고 다듬어 만든 나무 소도구들.  마음을 사로잡아 버렸다. https://blog.naver.com/runaba 요 블로그에 놀러가보면, 나무 만들며 사는 소소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물건이건, 먹어 없어지는 먹거리건 이야기가 담겨있고 만들어 낸 이들과 얼굴 마주하고 대하니, 소소한 마켓에서 족히 4시간 머물러도 지루할 수가 없다. 이 분은 이래서 멋지고, 저분들은 표정과 만들어낸 작품이 닮아 있어 멋있고, 저 동화작가님의 몸느낌과 동화 속 주인공 곰의 몸 느낌이 비슷해서 신기하고......많은 분들과 이야기 나누고, 배우고, 물건들이 살아 있다는 느낌을 받으며 놀았다.


특히, 모심지 (母心地 ) 생산자 분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는데 겸손함이 말투와 표정에 고스란히 드러나시는데 단단한 마음의 힘이 느껴져서 '외유내강'의 화신을 보는듯. 말 그대로 엄마의 마음을 담은 땅이기에 제초제, 화학물질, 몬산토에서 찍어내는 종자로 땅을 오염시키지 않고, 엄마의 자궁처럼 따뜻하게 지켜냈다. 그 땅에서 키워내신 땅콩과 호랑이 강낭콩은 참 맛있었다. 택배주문을 하니 풍성하게 보내주신다. 



사진집 "노란 상자," 작가님의 어머니를 향한 애정이 강렬해서 사진집 넘기며 뭉클했었네요. 배 과수원을 일구시던 부모님, 아버지께서 부재하신 이후 어머니께서 계속 과수원을 이어가시는 모습을 시시떄때로 담아냈어요. 



"우울한 곰"의 최수용 작가 앞에서, "우울한 곰"의 페이지를 한 장 한 장 넘겼다. 마지막 페이지는 정말, 우울한 메시지인데....... 글 없는 그림책인지라 지시문을 넣기 어렵겠지만, 마지막 페이지 바로 전 페이지에서 잠시 멈추고 독자에게 선택권을 주었더라면 어떘을까 싶다. 결말 A, 결말 B가 다르게 해석되도록. 꼬마들의 입장에서는 우울한 결말은 무섭게 느껴질 것 같다. 그렇다면 "우울한 곰"은 어른들을 주 타겟 삼은 작품일까? 최수용 작가님께 직접 물어볼 걸 그랬다. 



소소한 행복. 역시 사람에게서 나온다. 토요일에 또 가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특히나 네임벨류에 목매는 '한국'에서는 '비전공자'라는 딱지는 떼어낼 수 없는 흉터와 같을진데, 그저 춤이 좋다고 춤판을 얼쩡거리다가는 쓴 맛 보기 쉽상. 소위 전공 '예술가'들의 아우라는 휘황찬란하고 그 벽은 참으로 높더이다. 옛 이야기. 
춤출 수 있는/ 없는 몸이 따로 있지 않다는 인식이 일반뿐 아니라 행정인들에게도 공유된 것일까? 서울시문화재단에서 '생활예술춤'축제를 기획했단다. 이름하여 "생활예술춤축제 Shall We Dance?"
광화문광장에서 같은 시간 열리는 뮤직 페스티벌에 자석처럼 끌렸지만, 과감히 여의도로 발길을 옮겼다. 주말 7시 무렵의 여의나루부근에는 20대, 연예의 향기가 솔솔! 그 많은 작은 텐트들은 어디서 공수해온 것일까? 연인들은 기름과 소스 범범의 안주와 맥주를 끌어안고 텐트 밀애를 즐기고, 자전거를 타는 가족단위 방문객들로 북적북적하다.




10월 13일, 13시부터 18시에는 사전행사가 있었나보다. 가히 상상하기 어려운 규모인데 500명이 스윙swing댄스 퍼포먼스를 펼칠 예정이라고 신문기사에 써 있다. 플러스, 일일 춤 교습소 ‘쉘위댄스’(14시 탱고, 15시 스윙, 16시 살사, 17시 얼반)도 열렸다고 하나, 역시 놓침. 


축제의 하이라이트이자 메인 프로그램이었던 ‘위댄스스테이지’ 에는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쉬는 시간 없이 릴레이로 계속된다. 사전 공모를 통해 6개 장르 춤 동아리 39개 팀이 선정되었고, 이에 더해 초청 마스터 3개 팀이 무대에 오른다. 춤 동아리 구성원의 연령대는 경희대학교 20대 학부생 동아리, 직장인 동호회, 꽃중년과 장년층까지 다양했다. 무대 경험을 드러내는 표정 연기와 시선처리 능력 역시 출연자의 연령만큼이나 다양했고 춤실력은 말할 것도 없다. 분명한 것은 "shall we dance?"축제에서 가장 빛나는 댄서는 춤을 사랑하고 춤추는 자신을 당당하게 내보이며 즐길 줄 아는 댄서라는 점. 이 점에서 내가 베스트로 꼽고 싶은 커플이 있는데, 아쉽게도 동아리 이름은 잊었다. 어찌나 사이 좋게 파트너들끼리 웃으며, 눈마주치며 춤에 푹빠져서 스텝을 옮기던지.....


나이 들어가며, 스마트폰이고 컴퓨터건 인간의 피부 접촉 없이 혼자 침잠해들어가는 취미의 동굴에 갇히는 이들이 많을 텐데, 파트너의 손을 잡고 따뜻한 등의 촉감을 느끼며 춤추는 어르신들 보기 좋았다. 


이 날 가장 많은 박수를 이끌어내고, 불기둥 무대 장치 특혜(?)까지 받았던 갬블러 크루. 꼬마 녀석이 'urban dance를 어반 댄스'라고 소개하는 표지판을 "열반 댄스"라고 읽는 것을 보고 묘한 언어 유희다 싶었다. 어반 댄스를 통해 열반하다?^^



shall we dance 기획자와 준비해준 이들이 누굴까? 오늘의 댄서들도 멋졌지만, 무대와 일상의 경계를 허무는 춤을 실로 '관주도'로 구현내 낸 것이 놀랍다. 대한민국, 정말 달라지고 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 맘마미아 어린이 가계부
맘마미아 지음 / 진서원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맘마미아 어린이 경제 만화책을 먼저 접해서 아이들이 얼마나 좋아하는지 잘 압니다. 이렇게 탁상용 달력으로 출시되니, 완전 유용하게 아이들 생활습관, 저축습관 잡아주는 길잡이 삼을 수 있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록을 보면 힐링이 되는 수준을 넘어

우거진 초록을 보면 심장이 벌렁거림 느끼도록 설렙니다.

2018 여의도 정원박람회며

2018 부천에서 열리는 경기정원박람회에

천리포 수목원, 황학산 수목원 온통 나무 검색질입니다.

그러다가 반가운 소식을 찾았어요. 10월 11일 오늘.

 

식물원 2019년 5월 개장 앞두고 일반에 맛보기 개장했다는 소식에 마음 설레네요

축구장 70배 크기라는 규모에는 사실 별 관심 없습니다.

얼마나 편안하고도 식물에게 넉넉한 공간으로 꾸렸을지 궁금해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s://youtu.be/m5CFJlzlGKM

모리스 베자르의 연인이자 발레댄서, Jorge Donn. 
그의 전설적인 춤, 라벨의 'Bolero'에 맞춰 안무한 모리스 베자르는 'Bolero'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Don't you think this theme has an insistent quality?" 반복안에 상승감이 지칠줄도 모르고 계속 고조되는 효과, 이건 뭐지? 그 상승감에 기대서 뭔가 더 극적인 걸 내놓고 싶어지는 욕심이 안무가라면 생기나보다.


 볼레로를 세 명의 안무가가 다시 해석한다. 춤으로. 
김보람, 김설진, 김용걸 안무로 만나는 세 편의 작품을 하나의 이름으로 포장한다. "쓰리 볼레로 Three Bolero" 친절한 국립현대무용단 측에서 이번에도 매진사태임을 예감하고 토요일 공연을 2회로 준비해주었다. 3일간 공연이지만 총 4회. 그래도 매진이 확실시되니, 발빠르게 움직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