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학 내내 새끼들하고 있는 것이 지겨워 그저께 애들은 애아빠한테 잠깐 보라고, 물론 점심도 알아서 주라고 하고 시내에 나갔다왔다.
시내에 나간 주된 이유는 오프 서점에 들려 <10대들의 사생활>이라는 책을 훑어보고 싶어서였는데, 이 책을 보려고 한 이유가 이번 주 시사인에서 문정우씨가 쓴 <10대들의 사생활>이라는 리뷰, 그건 그 아이 잘못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맨 마지막에 쓴 문장에 대한 반감때문이었다. 그는 이 책의 리뷰를 쓰면서, 이번 대구중학교 왕따학생의 가해자들에게 마치 피해자인 양, 새해를 유치장에서 맞는 두 소년이 가엾다라는 말로 끝을 맺었다.
가엾다라는 맨 마지막 문장 읽으면서 할 말을 잃었다. 대구왕따 학생 가해자들이 가엾다니... 그 아이들에게 단순한 폭력이상의 고문을 당해 자살을 선택한 아이는 깡그리 무시하고, 새해 첫날 유치장에 갇혀 있는 가해자들이 가엾다니. 이 책 한권으로 괴물이 되어버린 10대들의 행동을 다 이해하는 척하면서, 감옥에 갇힌 가해자들을 그런식으로 정당화할 수 있단 말인가.
좀 짜증이 났다. 옥상에 올라가 고개를 떨구었을 그 아이를 생각하면, 난 절대로 가해자들에게 일말의 동정심이 들지 않는다. 문정우 기자의 리뷰에 따르면, 청소년 시기에는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데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하는 대뇌의 전전두엽 피질이 미완성 상태이기에, 똑똑한 아이들이 종종 어처구니 없는 일을 저지른다는 말을 인용하며, 대구 가해 학생들을 동정한다. 가해학생들의 저지른 행동이 뇌의 문제라는 것이다. 그 학생들이 피해학생에게 가한 고문이 단순히 뇌의 문제라고 단정하고 그 아이들 잘못이 아니라고 일축할 수 있을까! 최소한 15살이면 자신이 한 행동이 무엇이 잘 못 되었는지 안다. 7,8살만 되도 아는 도덕적인 행동들, 거짓말 하지 말고 때리지 않는다는 기본적인 행동들을 말이다. 아무리 뇌에 이상이 있다하더라도 폭력은 육체적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나이다.
그런데 가해학생들은 그런 기본적인 행동들을 넘어 피해학생에게 수치심을 주고 굴욕을 주고 고문에 가까운 폭력을 가했다. 단지 재미로. 이런 행동들을 10대들의 전전두엽의 미발달로 인한 것이라고 정당화 할 수 있을까. 그 나이에 과잉행동이 우선이긴 하지만, 제어력도 마찬가지로 조정되어 진다고 생각된다. 아닌가? 정말 아닌가?
법이 문제다. 그것도 소년법. 이제 슬슬 21세기에 맞춰 강력하게 개정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 나라의 경우 청소년들이 어른처럼 책임질 행동을 못한다는 이유만으로 강력하게 비행은 어느 정도 묵인되었다. 술을 마셨다고, 청소년이라는 이유로 정상참작 되어진다면, 우리는 우리의 법을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할지 않을까. 분명한 것은 대구왕따 가해학생들의 행동은 분명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났고, 비난 맞아야 마땅하고, 처벌 받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아들애가 이번 해에 중학교를 들어가기 때문에, 왕따문제게 관심을 안 가질 수 없었다. 나는 더군다나 가해학생뿐만 아니라 부모까지도 연대책임을 져야한다는 입장이므로.
한번 훑어보고 살 셈이었는데, 결국은 읽지 못했다. 지은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그런 책을 썼는지 모르겠다. 아무리 생각해도 폭력을 뇌의 문제일뿐이라고 말하는 것은 책임 회피이다. 반디앤 루니스도 영풍문고에서도 비치 서적없이 비닐로 꽁꽁 싸여 있었다. 나와 이 책의 인연은 이것밖에 안 되는구나 싶었다. 광화문 교보까지는, 영풍과 반디를 돌아다니는 것만해도 허리가 아파 거기까지는 가지 못하겠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