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과 교토의 1만 년 - 교토를 통해 본 한일 관계사
정재정 지음 / 을유문화사 / 2016년 8월
평점 :
일본의 천년고도(千年古都)인
교토는 외세의 침입을 받은 적이 없고, 내란과 재해에도 끊임없는 재건을 해와서 비교적 왕도(王都)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서울
시립대 정재정 교수는 교토에서 보낸 시간을 바탕으로, 교토의 유적과 유물을 소재로 교토라는 도시의 역사에
주목했다. 거기에 고대부터 이루어진 한반도에서의 이주를 통한 문화 동화(文化同化)와 침략등으로 인한 문화충돌을 통해 문화혼합을 이루어온 한국과의
관계를 더해 <서울과 교토의 1만 년>이라는 책에 담아냈다. <총, 균, 쇠>의 저자인
제러드 다이아몬드는 한국과 일본에 대해 "유년기를 함께 보낸 쌍둥이 형제"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한국과 일본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고, 이 책을 통해서 더욱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었다.
한반도의 국제 정세의 격변에 따라 일본 열도로 이주한 도래인들이 만들어낸 ‘도래문화’, 한국인들은 여기에 자부심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이웃나라간에
이루어진 사람과 문화의 교류를 바라보는 시선에 균형감각을 더하기를 바란다. 중국에서 한반도로 넘어온
문화 역시 한반도에서 수용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낸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 역시 그러했기 때문이다.
일본 국보 1호인 ‘보관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우리의 ‘금동미륵반가사유상’과
아주 닮아 있다. 나 역시 적송이 일본에 없었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만들어졌다는 식으로 알고 있었다. 이 책의 저자도 일본의 소학생이 보낸 편지에 그렇게 답을 했다. 하지만
소학생들은 일본에서 적송이 자생했다며 그런 이유만으로 한반도에서 만들어 보냈다고 하기는 어렵지 않냐고 반문했다고 한다. 이런 논쟁은 한국의 교과서 기술을 바꾸게 했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외래문화를 수용하는 방식에 대한 부분이었다. 우리와
일본은 여기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한국은 받아들인 것을 한 번 쓰고 내버리는 ‘설사 문화’고, 일본은
받아들인 것을 꼭꼭 쌓아 두고 우려먹는 ‘변비 문화’다”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한다. 일본의 종교에 대한 부분이 이런 부분을
잘 보여주고 있었는데, 여기에 비교되는 것이 우리나라의 유교화 혹은 근대화 과정이었다.
조선사람들은 두 번의 호란을 겪으며 청나라로, 그 후 임진왜란을 겪으며
일본으로 끌려갔었다. 그리고 성리학 원리주의에 사로잡혔던 조선은 다시 돌아온 사람들에게 도리어 박해를
가했다고 하는데, 임진왜란에 대한 이야기 중에 또 그런 이야기가 있었다. 일본에 잡혀간 것을 절의를 잃은 것으로 평가했다고 한다. 임진왜란은
문물 약탈 전쟁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다 일본에 끌려간 조선인에 대한 쇄환 정책에 도리어 소극적이었다니
안타깝기만 했다. 위에 언급한 ‘설사 문화’에 한 면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단순한 교토의 역사가 아닌, 일본의 역사를 한 권의 책으로 담아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하다. 일본의 역사를 따로 공부한 적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는 주로 근현대사부분에서 배웠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조금 더 과거의 시점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