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푸근한 말

그럴 만한 곡절이 있지 않겠나

 

 

세상에서 가장

푸석한 말

다들 그러고 사는데 저만 무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는 풍요롭고 인생은 아름답다, 무엇이 문제인가, 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가 잃어버리는 것은 ‘구원에 대한 감각’이다. 구원 그 자체가 아니라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어가는 상황이 더 치명적이다.·······지금은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선지자조차 지쳐 떨어진 밤”·······이다.·······설산은 있다. 그곳으로 오라. 설산은 없다. 그래도 오라.(345-346쪽)

 

구십 줄에 접어든 어떤 여성 어르신이 침 맞으면서 제게 하신 말씀을 기억합니다. 

 

“침 맞으면 나아져서 오는 거 아녀. 무슨 수를 써도 아파. 아프니까, 오는 거여.” 

 

그 날 저녁 자꾸 그 말씀이 떠올라 막걸리를 가슴에 들이부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세계는 풍요롭고 인생은 아름답다, 무엇이 문제인가, 라고 말하는 순간이 아니고, 무슨 수를 써도 아파. 아프니까, 오는 거여, 라는 말을 듣는 순간 제가 ‘구원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렸던 것이 아닐까요? 구원 자체의 망실보다, 침을 든 제 손 감각이 먼저, 망실된, 아니 있어도 허망한 상황이었던 것이 아닐까요? 어쩌면 정반대로 구원에 대한 감각이 너무 예리해진 나머지 날刃이 뒤집어진 것일지도 모를 일이나 결국 마찬가지 아닐까요?

 

세계는 풍요롭고 인생은 아름답다, 무엇이 문제인가, 라고 앵무새처럼 반복해서 말하는 권력집단의 협잡술에 속아, 지금-여기 숱한 사람들이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어가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실제로 풍요와 아름다움 속에 산다면 구원은 당연히 불필요할 것이나, 자살률 1위인 우울공화국인데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다니. 권력이 문제없는 정치를 하고 있다면 구원은 당연히 불필요할 것이나, 일부러 죽여 놓고도 교통사고라 잡아떼는 살인공화국인데 구원에 대한 감각이 망실되다니.

 

게다가, 지금은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선지자조차 지쳐 떨어진 밤”입니다. 말 깨나 하던 자들, 글 깨나 쓰던 자들, 죄다 최선을 다해 비겁해진 세월입니다. 이런 판국이라면 구원의 감각을 지니고 아니고, 의 차이는 소멸하고 맙니다. 낫든 안 낫든, 설산이 있든 없든, 우리의 언어와 몸짓은, 오직 하나뿐입니다. 아프니까 오는 거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각이 당대의 의제다·······감각만으로는 역부족·······그러나 사유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감각에 대해 더 이상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감각에 대해서 더 치열하게 말한다는 것이다.·······해방된 감각은 그 해방으로부터도 다시 해방되어야 한다. 그러니까 모든 혁명은 두 번 연이어 일어나야 한다.········Encore un effort pour être révolution!(299-314쪽: 사드의 말 일부를 재인용하면서 Encore의 첫 글자 대문자 바꿈, révolutionnaires의 révolution 바꿈은 인용자가 함.)

 

감각의 본능은 배반이·······(312쪽)므로 배반만이 인간다운 삶의 표지인 지금, 감각이야말로 우리의 구원입니다. 배반의 ‘촉’은 감각에서만 옵니다. 왜냐하면 그 밖의 것으로는 권력의 낌새를 제대로 알아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감각이 감각이기 때문에 감각 자체로 완성이거나 유일하지는 않습니다. 감각 또한 권력일 수 있습니다. 배반으로서 감각이 그 본능을 길이 간직하려면 스스로를 스스로 배반해야 합니다. 그것을 Encore un effort pour être révolution!, 혁명이 되기 위해 한 번 더 노력하라, 그러니까 스스로 스스로를 혁명하라고 한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입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은, 흔히 긍정이라 알고 있습니다. 아닙니다. 부정否定의 부정否定은 부정不定, 그러니까 uncertainty, 더 ‘감각’적으로는 about입니다. 자유입니다. 무애無碍입니다. 향 맑은 놀이입니다. 마흔 두 날 곡기를 끊어, 내려놓음 없이 내려놓아, 거듭 해방한 감각입니다. 오늘 여기 시를 한없이 부끄럽게 하는 ‘시’가 거듭 부정否定의 화신으로 누워 몰락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실을 구하려면 절실해져야 합니다.

 절실해지려면 진실에 터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그를 의식하고 있을 때 나는 아직도 그보다 약자인 것이다.(297쪽)

 

이렇게 바꿉니다.

 

“내가 그를 의식하고 있을 때 나는 아직도 그보다 아픈 자인 것이다.”

 

언제나 마음병 앞에 서성대는 제게 이 말은 더없이 절절합니다.

 

우울장애에 시달리는 자는 약속시간 전에 나왔으면서도 그가 늦게 나타난 게 내 탓이 아닐까, 가슴이 콩닥콩닥 합니다. 건강한 자는, 그러니까 덜 아픈 자는 약속시간을 어기고도 대수롭지 않게 넘어갑니다.

 

사회불안장애로 신음하는 자는 길을 가다가 맞은편에서 오는 두 사람이 킬킬대면 자신을 보고 그러는 게 아닐까, 가슴이 철렁 합니다. 건강한 자는, 그러니까 덜 아픈 자는 그들이 뭐라 해도 신경 끕니다.

 

매우 사소한 차이처럼 보입니다. 이 사소한 차이가 삶을 나누고 죽음을 가릅니다. 나는 일상이 꺾여 아픈 자로 묶입니다. 그는 뒤돌아보지 않고 씽씽 나아갑니다. 이 차이는 좀처럼 역전되지 않습니다.

 

 

오늘 우리 앞에 ‘나’와 ‘그’를 세웁니다. 유민 아빠와 유민 아빠가 만나고 싶어 하는 분, 둘 중 누가 누구를 의식하고 있는 것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