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은 20세기 초의 러시아소설에 영향을 미쳤던 신화시학과 라이트모티프 구조에 의해 구축된 작품이다. 『우리들』의 중심에는 주인공의 변화가 있다. 이 주인공의 변화는 통과제의적 여정으로 제시된다. 통과제의는 준비단계, 통과제의적 죽음, 새로운 탄생의 세단계로 나타난다. 준비단계는 통과제의적 죽음을 위한 준비이다. 제의에 참가하는 후보는 정화되고 격리된다.]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6309 예브게니 자먀찐의『우리들』의 신화시학 - 통과제의 구조를 중심으로, 2012, 문준일, 한국노어노문학회




나는 절대 그 경험을 잊지 못할 것이다. 그 책의 제목인 <우리들>이나 세계 최초의 SF 소설 작가인 예브게니 자먀친 또한 잊지 못할 것이다. <우리들>은 숨어 있거나 암시되는 유토피아를 내포하는 디스토피아다. 섬세하고, 교묘하고, 강렬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일없이 유유히 뱃놀이하듯 흘러가다가 이런 대화가 불쑥 물고기처럼 튀어오르니 읽을 맛이 난다. 




"그런 말하는 당신도 꽤 나이 드셨는데요. 그 나이가 되어서도, 역시 반했다는 둥 분하다는 둥 하는 얘기가 재미있어요?" "예, 재미있지요. 죽을 때까지 재미있어요." "어머나, 그러니까 화가 같은 것도 될 수 있나 보네."

"맞습니다. 화가니까, 소설 따위는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디를 읽어도 재미있습니다. 당신하고 얘기하는 것도 재미있고요. 이곳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은 매일 얘기를 하고 싶을 정도지요. 차라리 당신한테 반해도 좋아요. 그러면 더 재미있지. 그러나 아무리 반해도 당신과 부부가 될 필요는 없습니다. 반해서 부부가 될 필요가 있을 동안에는,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필요도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문에 인용된 프랑스 정신분석학자 세르주 티스롱이 쓴 책을 찾아둔다.




심리 문제의 대물림 현상에 대해 프랑스 정신분석학자 세르주 티스롱은 이렇게 말했다.

"부모 탓에 자기도 모르게 인성이 왜곡된 2세대 부모는 그 자녀에게 전체적으로 뒤틀린 거울 역할을 하는 셈이다. 손자 세대에 이르면 부모 세대와 동일한 장애가 나타나는데, 그 증세는 훨씬 심각하다. 이런 장애들의 공통적 특징은 외견상 아무 이유가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 P1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y JNL - User created, FAL, 위키미디어커먼즈




"어쩌죠? 어떻게 해요? 고블린에게서 달아나다가 늑대에게 잡히다니!"

빌보가 외쳤다. 빌보의 이 말은 나중에 속담이 되었다. 비록 지금은 그런 위급한 상황을 표현할 때 ‘작은 어려움을 피하려다 큰 어려움을 당한다‘는 뜻으로 ‘프라이팬에서 불 속으로‘라고 말하지만 말이다.

"이제, 프라이팬 위의 베이컨 조각을 갑자기 포크로 찍어 선반에 얹어놓았을 때 베이컨이 어떤 기분일지 알 것 같아!"

"아니, 그게 아니지. 베이컨은 조만간 프라이팬으로 돌아가리라는 걸 알 테니 말이야. 우리는 그렇게 되지 않길 바라야지. 그리고 독수리는 포크가 아니잖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톨킨' https://www.hangyo.com/mobile/article.html?no=90049





자신의 존재 중심으로부터 작업해 나가는 예술가는 원형의 심상을 발견해서 의식으로 풀어놓을 수 있다.

톨킨도 그런 일을 해냈다. 그는 우리가 계속 잃어버리려 애쓰는 반지 하나를 발견해 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