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인문고전 독서법은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치열함으로 요약된다. 그의 독서법은 백독백즉 100번 읽고 100번 필사하는 것이었다. 세종은 왜 그토록 힘들게 독서했던 걸까? 나는 그가 백성을 애타게 사랑했기 때문이라고 확신한다. 성호 이익은 이렇게 말했다. "사랑하는 어머님과 오랫동안 이별했다가 다시 만난 것처럼 독서하라. 아픈 자식의 치료법을 묻는 사람처럼 질문하고 토론하라." 성호에게 있어서 책은 책이 아니었다. 사랑하는 가족이었다. ···
나는 술 대신 철학고전에 취하겠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879~1955,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 - P13
21세기 지구의 지배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선진국들은 인문고전 독서에 열심이다. 그런데21세기 지구의 대표적인 피지배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후진국들은 인문고전 독서와는 거리가 멀다. 아니 국민의 대다수가 문맹이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단언하기는힘들지만 어쩌면 그것은 인류 역사의 어느 시대,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동일하게 나타났던지배계급의 ‘의도‘는 아닐까?
지식교육을 버리라니, 이는 우리의 운명을 백인들에게 맡기고그들의 사슬에 묶여 마냥 끌려다니는 자살행위와 다름없다. 윌리엄 듀보이스(1868~1963, 미국 흑인 인권운동가) - P27
스파르타 사람들은 자신들이 다른 그리스인들보다 뛰어난 것은지혜로 인한 것이 아니라 싸움과 용기로 얻은 것이라고 남에게 인식시키려 하였습니다.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중에서 - P38
국력 신장을 위한일본의 독서 프로젝트 제1고교 학생들은 3년 동안 매주 열 시간 이상 외국어 수업을 들었다. 라틴어가 필수 공통과목이었고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 두 과목이 선택이었다. 서양고전 원전을 국어처럼 술술 읽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였다. - P47
법조인 130명 vs.전과자 96명... 영적으로 『성경』을 삶의 지표로 삼고, 지적으로 인문고전 독서에 힘쓰는 전통을 후손에 물려준 에드워즈와 달리 슐츠는『성경』에 무관심하고 인문고전 독서에 문외한인 전통을 물려주었다. - P54
하버드 교수도 열광한카를 비테식 ‘다른 교육‘ •이제는 진실을 깨달아야 한다. 당신이 학교에서 그렇게 오랫동안 배우고도두뇌와 삶에 어떤 변화도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를 알아야 한다. - P61
장한나는 왜하버드 철학과를 선택했을까? ...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석학들 중에는역사나 철학을 외면하고 자신의 연구 분야에만 매달리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 김대식, 공부혁명 중에서 - P68
삼류 학교인 시카고대학이노벨상 왕국이 된 사연... 1929년부터 2000년까지만 봐도 시카고 대학이 배출한 노벨상 수상자는무려 예순여덟 명에 달한다. 1929년은 인문고전 독서교육의 광신도라고 할 수 있는로버트 허친스가 시카고 대학교 제5대 총장에 취임한 해다. - P74
치원 황상, 연암 박지원, 뉴턴 처칠, 에디슨, 세인트존스 대학, 시카고 대학, 마바 콜린스, 클레멘트 코스의 사례가 주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1.인문고전 독서교육은 문맹을 천재로 만든다. 2.인문고전 독서교육은 지능이 낮은 아이를 천재로 변화시킨다. 3. 인문고전 독서교육은 평범한 학생을 아이비리그 졸업생보다 뛰어난 인재로 만든다. 4.인문고전 독서교육은 둔재를 노벨상 수상자로 만든다. 5.인문고전 독서교육은 학습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지적으로 성장시킨다. 6.인문고전 독서교육은 어떠한 희망도 없어 보이는 사람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준다. - P82
철학고전 독서가 일으킨 ‘물음표‘ 혁명 놀랍게도 지난 몇 년 동안 수업 시간에 ‘왜?‘라는 질문을 단 한 번도 던져본 적 없던 아이들이 ‘왜?‘라고 묻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마치 지식의 끝을 보려고 하는 광적인 학자처럼 굴었다. - P83
논술을 위한인문고전 독서는 하지 마라 조선시대에 과거시험공부의 정석을 깨뜨린 한 선비가 있었다. 그는 아들에게 족집게 선생님을 붙여주지도 않았고, 여러 책을 짜깁기한 교재를공부하게 하지도 않았고, 기출문제집을 외우게 하지도 않았다. - P89
1. 통독하게 하라. 2. 정독하게 하라. 3. 필사하게 하라. 4. 자신만의 의견을 갖게 하라. 5. 인문고전 연구가와 토론시켜라. - P95
‘행복한‘ 천재, 인문고전 독서에 답이 있다... 수업은 늘 가정불화로 끝났다. 나에게 실망한 아버지는 고함을 질러댔고, 어머니는 아버지에 맞서 나를 감싸기 바빴다. 나는 두 분 사이에서 울기만 했다. 노버트 위너(1894~1964, 미국의 수학자) - P99
조지 소로스는어떻게 월스트리트를 장악했을까? ... 철학적 사고를 통해 얻은 이론들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나는 주가가 오를 때나 내릴 때나 언제든지 돈을 벌 수 있었다. 조지 소로스(1930~ 미국의 금융인) - P107
최초의 철학자는최고의 투자가였다 여러분은 이제껏 속아왔어요. 부자들은 인문학을 배웁니다. 얼 쇼리스, ‘희망의 인문학 중에서1 - P111
자본주의는인문학 전통에서 만들어졌다...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애덤 스미스를 필두로현대 경제학의 근원이 된 고전경제학파가 탄생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인문고전 독서광이자 철학 및 경제학의 저자들이라는 것이다. - P116
전 세계 부자들은인문고전을 읽는다 가난한 사람은 독서로 부자가 되고, 부자는 독서로 귀하게 된다. 왕안석(1021~1086, 중국 북송 대의 정치가) - P126
貧者因書富富者因書貴 가난한 사람은 독서로 부자가 되고, 부자는 독서로 귀하게 된다.
이병철과 정주영의 공통점은? .. 가장 감명을 받은 책을 블라면 서슴지 않고 ‘논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내 생각이나 생활이 『논어』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해도 오히려 만족한다. 이병철(1910~1987, 삼성그룹 창업자) - P143
인문학을아는자가세상을 경영한다 국가를 경영하는 근본은 뜻을 확립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뜻은 오직 고전을 읽음으로써만 확립할 수 있다. 정조(1752~1800, 조선 22대 왕) - P148
세계 최고의 경영인들을 매혹한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 만일 소크라테스와 점심 식사를 할 수 있다면우리 회사가 가진 모든 기술을 그와 바꾸겠다. 스티브 잡스(1955~2011. 애플의 창업자) - P157
그들이 손자병법』을다시 읽는 이유 중국 고대의 선철손무는 천하제일이다. 그의 병법은 우리 그룹을 성공의 길로 이끈 법보다. 때문에 우리 회사 직원들은 모두 『손자병법』을 숭배해야 한다. 마쓰시타 고노스케(1894~1989, 마쓰시타 전기 창업자)
『논어』에 이르는16가지 길 번지가 ‘인‘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대답했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논어』 중에서 - P175
지금 당신은어떤 책을 읽고 있는가? 돈 없고, 능력 없고, 배경 없는 사람일수록 인문고전을 치열하게 읽어야 한다. 인문고전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천만 원이 넘는 수강료를 지불하고, 해외로 독서여행을 떠나고, 새벽마다 조찬 특강을 듣는 CEO들보다더 열심히 인문고전을 읽고 공부해야 한다. - P183
좌절할 때마다읽는 목적을 묵상하라 자네로부터 탐정잡지를 받아 보는 건 멋진 일이 될 걸세. 탐정잡지 안에는 정신적인 비타민과 칼로리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네. 비트겐슈타인, 친구 노먼 맬컴에게 보내는 편지 중에서 - P189
내 방 책꽂이에는 인문고전이 가득하다. 그 책들을 볼 때마다 나는열등감을 느낀다. 읽은 책보다는 읽지 못한 책이 더 많다는 사실, 어떤 책들은 구입한 지 10년이 넘었는데도 아직 첫 페이지를 넘길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 감히 이해한다고 말할 수 있을 만한 책이 단 한 권도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좀 더 내밀한 고백을 하자면, 나는 인문고전을 읽으면서 내가 ‘바보‘라는 사실을 알았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 있다. 자신이 잘났다고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지극히 당연한 생각일 수 있다. 책을 많이 읽는다는 사실 자체가 대단한 것이니 말이다. 나 역시 그런 함정에 빠져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그런 생각은 독파하는 인문고전이 늘어나면서 저절로 사라졌다. - P195
‘나‘와 싸워야너‘를 만나고 ‘우리‘를 위한다... 그들에게는 ‘열망‘이 없다는 것이다. ‘나‘와 ‘너‘와 ‘우리‘를 아름답고 지혜롭게 성장시켜서세계를 보다 나은 곳으로 변화시키고 싶어 하는 간절한 열망 말이다. 쉽게 말해서 그들은 가슴이 아닌 머리로 독서하는 사람들이었다. - P202
공감100퍼센트 인문고전 독서 노하우 무턱대고 아무 책이나 골라서 읽다가 불현듯 얻게 된, 앞선 책을 읽지 않으면 안 된다는 깨달음, 그것이 나에게는 굉장한 동기부여가 되었다. - P205
최악의 상황에서도 독서에 몰입하라.…. 정약용은 하루아침에 죄인으로 몰려 강진으로 유배됐다. 감옥과도 같은 그곳에서 그는 복사뼈에 구멍이 세 번이나 날 정도로 치열하게 독서했다. 그에게 인문고전 독서는 피난처이자 휴식처였다. - P217
당신이 인문고전에 대해오해하는 것들 아이작 뉴턴은 조폐국장을 지냈다. 프랜시스 베이컨은 국회의원, 법무장관, 대법관 등을 역임했다. 존 로크는 의사였다. 볼테르는 세계적인 유명인사이자 파리 사교계의 꽃이었고, 160명이 넘는 하인을 거느린 부자였다. - P222
리딩 리드 1#마음을 다하여 사랑하라 우리 모두 목숨을 버릴 각오로 독서하고 공부하자, 조상을 위해, 부모를 위해, 후손을 위해 여기서 일하다가 같이 죽자. 세종, 집현전 학사들에게 한 당부 중에서 - P235
리딩 리드 2-책장을 뚫을 기세로 덤벼들어라... 그의 두 눈은 책장을 뚫어버릴 듯했고, 그의 가슴은 두 눈이 읽는 각 구절의 의미를 무서운 기세로 파악하고 있었다. 아우구스티누스, 스승 암브로시우스가 독서하는 모습을 보고 - P240
리딩 리드 3 자신의 한계를 뼈저리게 인식하라... 나는 자질과 능력이 남들보다 못한 사람이다. 때문에 전심전력을 다해 독서하지 않으면 털끝만 한 효과도 얻기 힘들다. 일두 정여창(1450~1504, 조선 전기의 문신) - P244
리딩 리드 4책이 닳도록 읽고 또 읽어라 다른 사람이 한 번 읽어서 알면 나는 백 번을 읽고, 다른 사람이 열 번 읽어서 알면 나는 천 번을 읽는다. 주자(1130~1200, 중국 송대의 유학자) - P248
리딩·리드 5 연애편지를 쓰듯 필사하라 어떤 책이든 손에 잡으면 학문에 보탬이 될 만한 대목만 가려서 뽑고 나머지는눈길도 주지 말거라. 그러면 비록 백 권의 책이라도 열흘 공부로 끝낼 수 있을 것이다. 다산 정약용, 두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중에서 - P252
리딩 리드 6 통할 때까지 사색하라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그러면 귀신도 통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귀신의 힘이 아니라 정신의 극치다. 관중(?~BC 645,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 - P259
리딩 리드 7 ‘깨달음‘을 얻어 변화하라 이해가 안 되는 구절을 만나면 밥과 잠을 잊고서 매달린다. 그러면 언젠가 마음에 깨달음이 온다. 그때 나의 심장은 뜨겁게 고동치고 내 입술에선흥겨운 노래가 나오고 내 손과 발은 덩실덩실 춤을 춘다. 반계 유형원(1622~1673, 조선 중기의 실학자) - P275
인문고전 독서를 시작하는 모든 이를 위한 ‘자경문‘ 自警文‘ 공부는 죽은 뒤에야 끝나는 것이니서두르지도 늦추지도 않는다. 율곡 이이, 자경문 중에서 - P290
인문고전 독서 전통의부활을 기대하며 집에 돌아오면 고요한 방에 책이 가득 쌓여 있다. 나는 책상을 당겨서 잠자코 앉아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이를 사색한다. 때로 마음에 얻는 바가 있으면 흐뭇한 나머지 밥 먹는 것도 잊어버린다. 퇴계 이황(1501~1570,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 P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