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안 되겠어요 - 올바른 의사표현을 도와주는 책 차일드 커뮤니케이션 Child Communication
이상희 글, 노인경 그림 / 상상스쿨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치원에서 여러가지 안전교육을 하고 있어서인지, 엄마보다 더 잘 아는 한솔이.

그래도 한번 짚어주자 싶어서 이 그림책을 같이 읽어보았다.

또래 친구들과 같이 앉혀두고 읽었더니, 자기들끼리도 꽤나 할말이 많은 듯.

이것저것 잘 알고 잇음에도 막상 현실이 되면 어떻게 할까?

아이의 의사가 분명하다고 해도 그것만으로도 불안한 것도 사실이니까.

 

이 그림책은 보라별에 사는 꼬마 짬콩이들이 쫌쫌이들에게 붙들려갔다가 다시 엄마아빠 품으로 돌아오는 이야기이다. 당나귀 만드는 쫌쫌이들? 그게 뭐예요? 묻는 아이들에게 피노키오에 나오는 그 당나귀 이야기를 잠시 해주니 쫌쫌이들을 따라가면 안되겠다고 말한다. 그럼 짬콩이들은 어떻게 했을까?

 

도와달라는 아주머니를 부축해주다가 잡혀가고, 햄스터를 찾게 도와달라는 할아버지에게 잡혀가고, 고양이를 보여준다는 낯선 언니에게 잡혀가고, 강아지를 붙잡아달라는 아저씨한테 잡혀가고, 그렇게 어의없이 잡혀가고 한콩이만 남아버렸다.

 

아이들이 길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아이들의 관심을 끄는 이야기들로 꼬여낸다. 낯선 사람을 따라가면 안됀다고 말하지만, 요즘은 잘 아는 사람도 위험한 시대가 아니던가?

 

이 책을 보니 너희들은 어때? 물으니 절대 따라가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럴 때 너희들은 뭐라고 말할거니? 했더니, 싫어요, 안돼요, 한다. 이 책에서는 "그건 안되겠어요"라고 말하는데, 이 말은 아이들이 잘 쓰는 말이 안닌듯하여 조금 곤란했다.

 

유치원에서는 '싫어요, 안돼요'라고 가르친 듯 하다. 어쩌면 이게 더 현실적인 말일 수 있겠다.

 

생각해보면, 세상이 참 많이 변했다.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순수한 의도로 이런 말을 할 수도 있는데 그럴때도 아이들은 '싫어요, 안돼요'할 것이고 그러면 어른들은 '요즘 아이들은 버릇이 없어서'라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만에 하나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이 있을 수 있으니 이렇게 말해야한다고 시키지 않을수도 없다. 그러니 요즘은 어른들도 오해받지 않으려면 아이들에게 이것저것 말해서도 안될 것 같다. 

 

아이들에게 낯선 사람을 따라가지 말라고 하던 말을, 요즘은 아는 사람이라도 엄마 아빠가 너에게 직접 한 말이 아니면 꼭 확인을 하라고 하는데, 그러려면 휴대전화를 사줘야하나? 요것도 고민되는 일이다. 사실 세상이 험악해지니 스스로 자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게 되는데 늘 고민스럽다.

 

6살인 한솔이는, 엄마와 한솔이가 잘 아는 이모를 예를 들어서 이야기하니 금세 따라간다고 말한다. 그럴 땐 엄마한테 전화해서 꼭 확인해달라고 하라고 말해주었다. 올바른 의사표현을 하도록 도와주는 책이긴 하지만, 씁쓸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래도 어쩌랴, 세상이, 사람이 무서운 시대에 살고 있으니 스스로 조심하는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몸이 아파서 쉬는 것이지만, 이 시간이 그렇게 좋은 줄 몰랐네. 아마도 지금 하고 있는 일이 그다지 신이 나서 하는 일도 아니고, 그저 밖에 나가는 것이 좋아하서 시간 보내려고 나가는 것이엇다는 생각도 든다. 그래서 얻은 건, 인간관계의 다양함을 또한번 적나라하게 봤다는 것 정도? ㅎㅎㅎ 

목이 많이 부어서 몸살까지 했다. 병원에서는 '어머님, 이 정도면 다른 분들은 병원에 걸어올 힘도 없을텐데 어머님은 씩씩하시네요. 아픈 걸 너무 잘 참으시는 것 같아요.'라고.  

그러고보니 나는 아픈 것에 참 둔하다. 

십여년 전에 허리가 아파 병원에 갔을 때 엄청 아픈 주사라며 겁을 잔뜩 주면서 맞은 주사도 하나도(!!) 안아팠다. 그 주사보다 내 허리가 더 아팠다구요. 

6년전에 한솔이 낳을 때, 예정일이 일주일이나 지나도 소식이 없어 유도분만 주사를 맞고 하루를 기다려도 진통을 못 느껴 결국 수술을 했고, 그 담날부터 일어나 걸어다니는 내게 의사선생님이 그랬다. "안 아파요? 우리 병원에서 제일 씩씩한 산모네. 혹시 진통이 왔는데 못 느낀 것 아니에요?"했었다는... 

지금도, 남들은 이정도 상태면 링거 맞고 누워있어야하는데 씩씩하다는 소리나 듣고있고... 

음 좋은건지 나쁜건지... 

하나는 알겠다. 조금 아프더라도 티 팍팍 내는게 나를 위해 좋다는 거.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1-08-09 14: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목감기가 유행이라는 기사를 본 것 같아요.
침 삼킬때마다 아파서 어쩔 수 없이 얼굴을 찡그려야하지요. 몸살로 커질 정도면 정말 오래 참으셨나봐요.
평소에 씩씩해보이시던 분이 아프다고 하면 주위에서 몇배로 더 마음써 주실 것 같아요. 지금이 바로 그런 때 아닌가 싶은데.
어서 몸부터 회복하시고, 마음도 평화로우시길...

하양물감 2011-08-10 10:57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맞아요, 침 삼킬때마다 얼굴을 찡그려야하죠. 그보다 더한 고통은, 밥을 넘기지 못한다는 것. 아마도 빨리 낫지 않는 이유가 못먹어서 그런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ㅋㅋㅋ

하늘바람 2011-08-09 1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태은이도 목감기예요 의사가 그런말을 할 정도인데도 씩씩하시다니 한솔이 엄마이기 떄문인거지요? 푹 쉬셔요 목감기는 푹 쉬셔야 나아진다고 해요

하양물감 2011-08-10 10:57   좋아요 0 | URL
푹~~~~~~~~~쉬고 싶은데, 그것도 맘처럼 쉽지는 않네요^^ 고마워요.

2011-08-10 09: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양물감 2011-08-10 10:58   좋아요 0 | URL
메르헨님 오랜만이에요^^ 물 많이 마시고 있어요.
제가 평소에 제일 안 먹는 게 바로 물이라지요. 늘 물을 좀 많이 마셔야하는데 하고 생각만 하는데, 이번엔 억지로라도 물을 먹게 되네요.
 
기탄 한자 B단계 1집 - 유아 6세~초등 1학년 기탄한자 시리즈 5
기탄교육연구소 엮음 / 기탄교육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솔이가 기탄한자 A단계를 마치고 B단계로 들어갔다. 이번 B단계 1집은 6월 9일에 시작해서 7월 24일에 끝났다. 앞 단계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린 것은 일단 한자의 수준이 조금 높아진 탓이기도 하고, 쓰는 것을 완성하는데 시간이 좀 더 걸려서이다.

 

우선 B단계가 A단계와 달라진 점을 살펴보자.

 

'다시보기'

A단계에서는 (  )을 뜻합니다. (   )이라고 읽습니다. 라고 한 것이 B단계에서는 뜻 : (   ) 소리 : (   ) 로 쓰게 되어 있는 것이다. 문장으로 풀어서 쉽게 설명하던 것을 이제는 명사화된 단어로 쓰게 한 것이다.

 

'알아보기'

A단계에서는 田의 뜻은 (밭),(논)입니다,라고 해서 골르게 했다면 B단계에서는 犬의 뜻은 (   )입니다. 라고 해서 직접 쓰게 한 것이다. 특히 쓰기를 연습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자의 모양도 직접 쓰게 되어 있는 부분은 한솔이가 어려워한 부분이다.

 

또 A단계에서는 한자가 쓰인 한자어를 찾아 O하게 했는데, B단계에서는 한자어와 그 뜻을 설명해놓아서 어휘의 정확한 뜻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이 가장 큰 차이라면 차이일 것이다. 그 외에도 소소하게 다른 부분이 많다. 

 






아들 자의 모양이 한글 '구'같다고 해서 조금 짚어주었다.





生을 배울 때는 이미 배운 한자 日을 써서 '生日'을 써보게도 하였고, 배우지 않은 한자지만 '先生'도 써보게 하였다.





복습부분에서는 A단계와 달리 한자어의 정확한 뜻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하는 부분이 있어서 좋았다. 




 

마지막으로 평가. 한솔이가 좋아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A단계에 비해 조금 어려워진 듯하다. 획이 하나 더 첨가되거나 빠져서 틀린 경우인데, 이러한 것은 한솔이가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지 않아서 일어난 실수같다.

 

그래도 B단계도 열심히 따라와주는 한솔이에게 박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탄 한자 A단계 4집 - 유아 6세~초등 1학년 기탄한자 시리즈 4
기탄교육연구소 엮음 / 기탄교육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솔이가 한자공부를 시작하면서 쭉 사용하고 있는 교재. A단계를 마무리하는 4집에서는 A단계에서 배운 모든 한자를 종합해서 복습할 수 있는 평가가 있다. 나는 한솔이가 어떤 학습서를 보든간에 그 포르그램을 한번은 돌려볼 수 있을만큼 접하게 하는 편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A단계만이라도 끝까지 해보자는 생각으로 시작했다. 다행히 한솔이에게 잘 맞는 교재인 것 같다.

 

A단계 4집은 5월 23일에 시작해서 6월 2일에 끝났다. 

 




한솔이는 기탄한자의 구성이 똑같이 반복된다는 걸 알게 된 것 같다. 그래서 제 스스로도 잘 찾아서 하는 편이다. 마지막 쓰기에서 '필순에 맞게'라는 것이 무슨 뜻인지 물어오기도 했는데, 이후로는 단순하게 모양만 똑같이 쓰는 것이 아니라 필순을 의식하면서 쓰게 되었다.

 



힘力을 배울 때는 앞에서 배웠던 아홉九와, 글자가 비슷하게 생긴 칼刀를 비교해서 설명해주었다. 이런 건 엄마가 곁에서 한번 언급해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그런데 뒷 페이지에 가니 한자의 뜻, 소리, 모양이 바르게 쓰인 것 찾기에서 칼刀가 나와서 한솔이가 이 단계에 없는 글자인 칼刀도 함께 익히게 되었다.

 

큰大의 경우 처음에는 안그랬는데 점점 모양이 이상하게 나와서 다시 한번 바른 모양을 알려주었고, 각 한자가 사용된 단어는 인力거, 石공, 木수, 풍力, 수足, 大학생, 大가족, 小아과, 小인국, 대田 등의 한자를 통해 익혔다.

 



上,中,下는 유치원에서 한자어가 들어간 노래를 배웠기 때문에 더 재미있어했다. 역시 이 부분에서도 관련 한자어를 공부하면서 앞에서 배운 한자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복습에서는 한자어에서 빠진 부분을 채우는 것이 있었는데, 인력거를 '인力거'라고 쓰면 되는데 '人力거'라고 쓰거나, '小인국'을 '小人국', '下인'을 '下人'이라 쓰면서 '人'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뽐내기도 했다. '中국'을 쓰고는 일본은 어떻게 쓰냐고 물어서 '日本'이라고 가르쳐주니 그걸 한번 더 연습하기도 하였다.





A단계에서 배운 한자를 총괄해서 평가해보는 시간. 자신있게 써내려간 한솔이가 틀린 것은 나무 木을 써야하는데 큰大를 쓴 것. 자기 말로는 실수라고 한다. (^^) 그리고 기탄한자에서 마음에 드는 부분이기도 한 한자어 쓰기. 그 한자가 들어간 단어를 써보는 것인데, 제법 잘해서 칭찬을 많이 해주었다.




A단계를 마무리하는 부분이기때문에 한자 브로마이드가 들어있는데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아이의 눈높이에 딱 맞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탄 한자 A단계 2집 - 유아 6세~초등 1학년 기탄한자 시리즈 2
기탄교육연구소 엮음 / 기탄교육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학습지 종류가 다 그러하듯, 누군가에게 좋은 학습지라고 해서 다른 아이에게도 좋은 것이다라고는 말할 수 없다. 우리 아이가 좋아하고 흥미있어하고 꾸준히 할 수 있는 학습지라면 그게 가장 좋은 학습지가 아닌가 생각한다. 기탄한자는 한솔이가 한자에 흥미를 붙이는데 많은 도움을 준 책이다.

A단계 1집을 다 끝낸 후 곧바로 2집을 시작하였는데 4월 9일에 시작해서 4월 29일에 끝났다. A단계 1집과 구성은 동일하다.  

 

먼저 A단계 1집에서 배운 한자를 복습을 간단하게 하였다.

그런 다음 2집에서 배울 한자를 동화 속에서 찾아보았다.

(사진의 왼쪽부터 A단계 2집 5호, 6호, 7호, 이후 동일)

 

A단계 2집에서는 숫자를 배우기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다.
一, 二, 三 / 四, 五, 六 / 七, 八, 九 까지 배운다.
 

 

숨은 한자를 찾아서 직접 써 보고 뜻과 소리를 쓰면서 확인하는 단계를 지나
다시 한번 그 한자의 생성원리를 눈으로 익힌다.


 

다지기 단계를 거친 다음 마무리단계에서는 쓰기연습을 해본다.
그런 다음 A단계 8호에서는 5,6,7호에서 배운 한자를 복습을 하는데, 그 한자가 들어간 다른 단어들을 함께 배울 수 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五월' 이라는 단어를 써야하는데, 한솔이가 五月이라고 쓴 것을 볼 수 있는데, A단계 1집에서 배운 단어를 응용한 결과이다. 


 

 

 

한솔이가 한권을 다 끝낸 후 평가하는 시간을 의외로 좋아한다.

이것을 할 때는 엄마도 보지 말라고 하고 혼자서 푼 다음 나에게 가져오는데, 평가를 이렇게 좋아할 줄은(--)

어쨌든 100점이라고 좋아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1-08-09 0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한솔이 한자 공부도 열심히 하네요

하양물감 2011-08-09 11:36   좋아요 0 | URL
한자공부를 정말 좋아한답니다. 한자를 하니 어휘력도 많이 늘어나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