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 조심해서 다녀야 해! - 안전하게 통학하는 법 배우기 나도 이제 초등학생 10
임다은 지음, 찌아 그림 / 리틀씨앤톡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연계






이 책은 <나도 이제 초등학생 시리즈> 10번째 이야기이다. 지난 9번째 이야기인 ’에취 뿡, 나오는 걸 어떡해!‘ (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326179768)도 무척 재미있게 읽었고 그 전에 읽었던  ‘내 물건은 내가 챙겨야 한다고?’  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283509581)  ‘나 혼자 해볼래 골고루 먹기 (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05203939) 도 재미있게 읽었다. <리틀씨앤톡 > 출판사의 책을 아이가 무척 좋아한다. 이번 책은 학교 가는 길에 벌어지는 다양한 일들을 다루고 있다. 과연 무슨 내용이 있을까? 



주인공 재은이는 3층, 은솔이는 2층에 산다. 둘은 항상 학교에 갈 때, 올 때 붙어 다닌다. 그런데 하교 시간이 한참 지나도 은솔이가 집에 아직 오지 않았는 전화를 재은이 엄마가 받았다. 초등학교 입학하고 한 달 동안은 엄마가 재은이를 학교 교문 앞까지 데려다주셨다. 한 달이 지나자 재은이는 은솔이는 엄마 없이 둘이서 함께 학교에 오가게 되었다. 항상 일찍 일어나 집으로 찾아오는 은솔이 때문에 재은이는 늘 엄마에게 꾸중을 들었다. 그러던 어느 날 평소보다 20분 일찍 온 은솔이 때문에 재은이는 더 큰 꾸중을 들었고 은솔이에게 더 이상 학교에 같이 가지 않겠다고 한다. 학교 앞 횡단보도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자마자 재은이는 출발 신호를 들은 달리기 선수처럼 뛰쳐나갔고 은솔이도 동시에 총알처럼 달려갔다. 맞은편 할아버지에게 꾸중이 났지만 자꾸 재은이는 은솔이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학교에 도착하니 '다솜이가' 고양이 사진을 보여준다. 재은이는 자신이 공원에서 하얀 고양이를 본 적이 있다고 하자 다솜이는 거짓말이라고 한다. 그때 은솔이가 나나서 재은이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항변한다. 과연 은솔이는 어디에 간 것일까?







도로에서는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다.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 건널 때는 첫 째,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자마자 뛰어서 건너면 안 된다. 둘 째, 신호등의 초록 막대가 몇 칸 남지 않았거나 숫자가 몇 초 남지 않았을 때는 다음 신호를 기다린다. 셋 째,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손을 들고 건넌다.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 횡단보도 건널 때는 첫 째, 자동차가 오지 않을 때 천천히 건넌다. 둘 째, 횡단보도를 건너다 말고 다시 되돌아오면 위험하다.





안전하고 즐거운 학교 가는 길이 되기 위한 다섯 가지 방법.

1.걸어 다닐 때는 반디시 인도로 다녀요

2.골목의 갈림길에서는 자동차가 오는지 잘 살펴봐야 해요.

3.길가에 주차된 자동차를 조심해요.

4.길에서 장난치거나 딴짓하지 않아요

5.등굣길보다 하굣길이 더 위험해요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고민을 해결해 주는 학습 동화답게 아이의 시선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가독성이 매우 뛰어나다. 책의 총 3장으로 구성 되어 있고 각각의 장이 끝나면 여러 질문을 통해 다시금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 준다. 1장 뒤에 있는 <도로에서는 지켜야 하는 규칙> 주제를 가지고 방법들을 쉽게 설명한다. 또한 <같이 생각해요>를 통해 횡단보도를 건널 때 조심해야 하는 부분을 직접 생각하고 쓰게 구성 되어 있다. 



 


끝으로 책 맨 뒤에는 <나도 이제 초등학생 OX퀴즈>가 있다. 초등학생 저학년이면 누구나 맞출 수 있는 난이도로 되어 있다.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었으니 바로 건너면 될까요?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는 천천히 건너야 하나요? 길가에 주차된 차 뒤에 숨어 있다가 친구를 놀라게 해도 될까요? 인도는 안전하지만 혹시 모르니 길 안쪽으로 다녀야 할까요? 계단은 우측통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나요? 에스컬레이터에서 더 빨리 가기 위해 걸어가도 될까요? 이러한 OX퀴즈를 통해 아이는 학교를 오가는 길에 만나는 위험한 것들을 배우고 익힐 수 있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기옥 -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 두레아이들 인물 읽기 9
박세경 지음, 김세진 그림 / 두레아이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독립운동가 권기옥



이 책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가 된 독립운동가 권기옥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1901년 음력 1월 11일 평안남도 중화군 설매리에서 '권기옥'은 1남 4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기옥의 아버지는 부유하게 태어나 돈 잘 쓰고 놀기 좋아하는 한량이었다. 노름판에까지 뛰어들어 돈을 물 쓰듯 펑펑 써서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얼마 안 되어 많던 재산을 다 날려 버렸다. 1910년 8월 29일 기옥이 열 살 되던 해에 대한제국은 일본에 강제로 합병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해 이미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강탈한 일제는 기어코 우리나라를 식민지로 만들었다. 기옥은 수업료가 없어 학교에 다닐 수 없었지만 당시 옆집이었던 장대현 교회는 소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당시 교회 목사님이 기옥의 재능을 안타까워하여 장학생으로 받아들여 주었다. 기옥은 열두 살이라는 늦은 나이에 숭현소학교에 입학했다.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지만 뛰어난 재능으로 한 달만에 1학년으로 월반하고 곧이어 다시 2학년으로 월반했다.



4년제인 숭현소학교를 3년 만에 졸업한 기옥은 열다섯 살이 되던 1915년 3년제 숭현소학교 고등과로 진급했다. 학교에 김경희 선생님은 역사를 가르칠 수 없게 되자 지리 시간에 학생들에게 우리 겨레의 역사를 가르쳤다. 그러던 어느 날 일본 순사들이 잡아갔고 끝내 학교로 돌아오지 못했다. 열일곱 기옥은 미국인 비행사 아트 스미스의 곡예비행을 보았다. 이때 기옥은 자신도 커서 비행사가 되겠다는 꿈을 꾸게 된다.  나라가 없고 가난했고 여자라는 현실 속에서도 기옥은 비행사를 꿈꿨다. 1918년 기옥은 열여덟 살이 되었다. 혼담이 많이 들어왔지만 공부를 더 하겠다면서 5년제인 숭의여학교 3학년에 편입해 들어갔다. 1919년 1월 21일 고종 황제가 승하했다. 기옥은 독립운동을 하다 잡혀 가혹한 고문의 후유증으로 학질에 걸린다. 학질은 학질모기에 물려 걸리는 전염병으로, 고열이 나고 설사나 구토에 시달리기도 하고 발작이 일어나기도 하는 병이다. 몸이 갑자기 추워졌다가 갑자기 더워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기옥의 상태가 악화되자 일본 경찰은 죽을지도 모른다고 판단해 1920년 4월 부랴부랴 석방한다.


기옥은 석방 후 '평양 청년회 여자 전도대'를 조직한다. 일본 경찰의 포위망을 피해 중국 상하이로 망명한다. 중국에는 항공학교가 네 군데 있었다. 그중 원난항공학교에 우여곡절끝에 1924년 입학을 한다. 1924년 7월 초 단독비행을 하고는 사진을 찍어 도산 안창호에게 편지와 함께 보낸다. 자신의 독립의지와 비행사가 되었음을 알리는 편지였다. 기옥은 자신을 찾아온 남자가 일본의 앞잡이라는 사실을 알고 한국인 동료들과 함께 사살을 한다. 그 일 이후 학교에 갇히게 된 신세가 되었고 기옥은 1925년 2월 28일 1기 졸업생이 되었다. 기옥은 난징항공대에서 한국인이면서 동시에 중국 군인이자 중국 유일의 여성 비행사였다. 낮게 비행하며 기총소사를 하였다. 기총소사란 항공기에서 땅 위의 표적을 기관총으로 쏘는 것을 말한다. 한번은 일본군이 쏘아 올린 대공포 파편이 비행기 날개에 맞았다. 기옥도 부상을 당했고 팔에 박힌 파편을 빼내고 한동안 치료를 받아야 했지만 다친 부위가 다 아물지 않은 상태에서도 또다시 비행기를 몰고 나가 일본군과 싸우려고 했다.


미국에서 주문했던 비행기가 석 달만에 도착했다. 그런데 사고가 일어났다. 비행기 동체를 조립한 뒤 미국인 비행사가 시험 비행을 하다가 그만 프로펠러를 부러뜨린 것이다. 결국 선전비행은 취소 되고 말았다. 1933년부터 기옥은 중국 항저우에 있는 항저우항공대에서 비행사이자 비행교관으로 지냈다. 1935년 8월 비행사를 그만 두었다. 1988년 4월 19일 숨을 거두었다. 권기옥이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고 그녀의 삶은 많은 이들에게 아직 조명받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자신의 목숨을 바쳐 조선총독부와 일본 왕궁을 폭파하겠다는 그녀의 신념과 집념, 결기는 성별을 떠나 존경 받아 마땅하다. 더욱이 당시 여자라는 이유로 받았을 수 많은 차별과 편견의 벽을 뛰어넘고 역사에 길이 기억되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 초등학교 아이에게 꼭 알려주어야 할 위인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왜 고추가 없어? - 부모와 아이가 함께 배우는 첫 성교육 그림책
노지마 나미 지음, 장은주 옮김 / 비에이블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아~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꼭 필요한 성교육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왜 고추가 없어? - 부모와 아이가 함께 배우는 첫 성교육 그림책
노지마 나미 지음, 장은주 옮김 / 비에이블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부모와 아이가 함께 배우는 첫 성교육 그림책



이 책은 유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필요한 성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몇 해 전 미국에서 촉발된 미투 운동이 한국에서도 열풍을 일으켜 자라나는 아이들에 대한 성교육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이때 꼭 맞는 책인 ‘당엄마는 왜 고추가 없어? 을 통해 부모인 자신과 더불어 아이에게 어떻게 성교육을 해야 할지 배워보자. 



우선 바르게 성교육하는 5가지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 첫 째, 우리 몸에는 정말 소중한 곳이 있다는 사실을 전한다. 둘 째, 욕실에서 속옷을 세탁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셋 째, 아이의 성적 질문에는 '좋은 질문'이라고 칭찬해준다. 넷 째, 성교육은 만 3세부터 10세 이전까지는 해야 한다. 다섯 째, 밝게, 즐겁게, 바르게 전한다.




왜 털이 날까?, 여자의 성기는 뭐라고 부르면 좋을까?, 고추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보통일까?, 고추가 커지고 서는 이유는 뭘까?, 변성기는 뭘까?, 생리는 몇 살부터 시작할까?, 왜 생리 중에는 예민해질까?, 생리를 하면 아플까?, 생리 양은 얼마나 될까?, 사정이 뭘까?, 몽정이 뭘까?, 오줌과 정액은 섞이지 않을까?, 정자 수는 얼마나 될까?, 고추를 만지면 왜 기분이 좋아질까?, 왜 남자는 임신하지 않을까?, 아기는 어떻게 생길까?, 쌍둥이는 어떻게 태어날까?, 배 속 아기는 무얼 하고 있을까?, 왜 아기는 10개월이나 배 속에 있을까?, 아기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몇 살이 되면 임신해도 괜찮을까?, 친구가 팬티 속을 보여달라고 하면?, 모르는 어른이 말을 걸면?, 무료 스마트폰 앱은 사용해도 될까?, 몸의 고민을 인터넷에 털어놔도 될까? 의 질문 목록만 봐도 충분히 아이에게 성교육을 할 수 있을 듯 하다. 



책에는 퀴즈가 2번 나오고 부모님을 위한 충고가 10가지 있다. 현재 부모인 세대(1980~1990년대생)들은 성교육을 학창시절에 받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지거나 진부한 학술 용어로 받았기에 기억에 잘 남지 않는다. 결국 호기심이 왕성한 사춘기 시절 대다수 잘못된 정보를 접하기 쉽게 되어 있다. 야동을 비롯한 영상 매체나 성인 잡지에 기고된 글을 통해 성관계에 대한 환상을 가지거나 성관계를 먼저 경험한 친구들의 무용담(?)을 통해 그것이 진리인 것처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환경 속에 살아왔다.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첫 성관계 연령은 13세이고 성관계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 비율은 6.3%이다. 대다수 피해자는 여성이지만 남성이 피해자로 신고된 성폭행은 2010년 702건에서 2014년 1375건으로 5년 동안 195%나 늘었다는 사실, 즉 전체 성폭력 피해자 수의 5%는 남성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성폭력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기에 단순히 피해자 예방을 넘어 가해자 예방이 시급한 현실에 처해 있다. 성폭력 피해자 중 23%정도가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이기에 어릴수록 정확한 성교육이 필요하다.


 

아들을 가진 부모들은 이러한 질문을 한번쯤 받게 된다. ‘아빠는 고추가 있는데 엄마는 왜 없어?’이럴 때 대다수 부모들은 남자는 고추가 있고 여자는 고추가 없다는 식으로 대답을 하지만 이러한 대답은 아이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겨줄 위험이 높다. 아이가 유튜브나 친구로 잘못된 성 인식이 사로 잡히기 전인 유아~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부모와 많은 대화를 통해 올바른 성 인식을 갖게 해줄 책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 본 눈 삽니다 킨더랜드 이야기극장
제성은 지음, 정은선 그림 / 킨더랜드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본 대로 말할 수 있는 용기



이 책은 남들은 못 보는 걸 보는 능력을 지닌 특별한 아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파란초등학교 3학년 1반에는 다양한 아이들이 있다. 동글동글 말기 대회 1등 '강지후' 호기심 대장 '안소유' 힘도 목청도 챔피언 '나태풍' 재미있는 이야기 수집 왕 '진달래' 그리고 윤세호, 송윤비가 있다. 마지막으로 존재감 없는 주인공 '공원'이가 있다. 공원이에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그것은 바로 남이 못 본 걸 잘 본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누군가 코딱지를 묻혀 책상에 붙이는 것, 화장실 변기에 구렁이 똥을 누고 물을 내리 않은 것, 옆 반 선생님 턱에 아주아주 긴 털이 있다는 것, 담임 선생님 양말에 구멍이 났다는 것, 교장 선생님이 강아지랑 통화 했다는 것, 보건 선생님이 손톱을 다 물어뜯어서 피가 난다는 것 등을 공원이는 볼 수 있다. 


어느 날 피구 시합 중 나태풍과 진달래가 공을 동시에 맞고 아웃이 되었다. 태풍이는 목청 높여 자신이 맞지 않았다고 소리 쳤고 친구들은 남들이 못 본 것을 잘 보는 공원이에게 물었고 공원이는 망설인 끝에 사실대로 본 대로 태풍이랑 달래 다리 사이에 공이 스치고 지나갔다고 말을 하자 지후와 소유 팀의 아이들은 환호하고 난리가 났다.


다음 날 또 피구 시합이 열렸고 태풍이는 이기기 위해 휴대폰으로 촬영을 하기로 한다. 그러다 그만 태풍이는 휴대폰을 잃어 버렸다. 태풍이는 자신의 휴대폰을 누군가 훔쳐갔다고 했고 선생님과 같이 찾기로 한다. 휴대폰은 안소유 신발주머니에서 발견이 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공원이는 고심 끝에 자신이 본 대로 사실 그래도 모든 사건의 전말을 알려준다.


‘안 본 눈 삽니다’라는 다소 자극적이며 유쾌한 말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다. 또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아이인 공원이가 양심을 따르는 모습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을 잘 묘사하고 있다. 때론 진실이 불편하고 외면하고 싶기도 하지만 누군가의 용기 있는 행동이 억울한 피해자가 생기지 않다는 다는 것을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 잘 설명할 수 있는 동화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