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리셋, 클럽하우스 - 소셜 미디어의 새로운 미래를 만나다
김경헌 외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소셜 미디어의 새로운 미래를 만나다



이 책은 실시간 음성 소통 미디어 클럽 하우스에 대해 알려준다. 라이오나 팟캐스트처럼 듣기만 하는 것이라 오해 할 수 있지만 클럽하우스의 매력은 소통이다. 글이 아닌 진짜 목소리로 나누는 대화이다. 초창기 소셜 미디어는 자신의 간단한 소식을 전하고, 오랫동안 연락하지 못했던 현실 세계의 친구들과 온라인에서 연결되는 공간으로 기능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는 10년이 넘는 시간을 거치면서 정제된 콘텐츠를 전시하는 개인 쇼룸으로 변모해버렸다.


공개 음성 대화 플랫폼인 클럽하우스는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멤버쉽 컴뮤니티를 구성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클럽하우스’라고 부르는 데서 착안한 것이다. 이전 앱과는 달리 녹음이나 재방송 기능 없이 휘발성 대화를 담는 형태로 출시됐다. 코로나19로 콘퍼런스와 공연, 여행 등이 막혀버린 시점에 사람들은 새로운 놀이터를 발견했고 빠르게 클럽하우스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클럽하우스의 특별함의 중심에는 ‘실존성’과 ‘진정성’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실존성은 한 사람이 실명에 기반한 하나의 계정을 사용한다는 데서 기인하며, 진정성은 음성과 실시간성에서 비롯한다.


클럽하우스 다섯 가지 원칙


➀자기 자신으로 임하세요

➁존중하는 태도를 가지세요

➂포용적 자세를 보이세요

➃공감력과 이해심을 형성하세요

⑤의미 있고 진정성 있는 인연을 만들어가세요



클럽하우스의 방은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대와 객석이다. 무대에 있는 사람들은 ‘스피커’라고 부르고 스피커 중에 방을 만든 사람은 ‘모더레이터’가 되며 모더레이터는 다른 스피커를 공동 모더레이터로 지정하여 방을 운영하는 권한을 위임할 수 있다. 모더레이터와 스피커는 말하거나 음소거인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객석에 있는 모든 이들을 ‘액티브 리스너’라고 한다. 이들은 언제든지 우측 하단에 있는 손바닥 버튼을 눌러서 모더레이터에게 자신이 발언하고 싶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현재 클럽하우스에서 사진을 공유하는 방법, 추가로 텍스트 기반 연락을 보낼 수 있는 메시기 기능, 강연 등을 녹음하거나 동시 송출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요구는 있지만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는 클럽하우스의 서비스 방향성과 우선순위가 명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럽하우스에서 가장 특별한 것은 확장된 친밀함이다. 약점으로는 서비스 개발 속도와 안드로이드 접근성이다.




페이스북에 수 천명, 인스타에도 수 천명씩 친구가 있지만 같은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하면 생각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온라인 세상에 살지만 여전히 오프라인을 그리워 하고 있다. 이런 우리의 양면적인 감정을 잘 파고든 것이 바로 ‘클럽하우스’인 듯 하다. 훗날 안드로이드 버전이 완료 되면 가입하여 나와 같은 취미, 생각을 공유하는 이들과 많은 이야기를 하면서 친분을 쌓을 수 있을 듯 하다. ‘홍수에 마실 물이 없다’라는 말처럼 온라인 친구들이 우후죽순 늘어나지만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장이 그 동안 없었다. 이런 목마름을 가진 사람들이 이제 곧 클럽하우스로 모여들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음 찾는 겁깨비 좋은책어린이 창작동화 (저학년문고) 123
전은희 지음, 정경아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겁이 많은 도깨비, 겁깨비의 좌충우돌 인간 세상 경험 이야기



이 책은 겁이 많은 도깨비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겁깨비는 겁이 많은 도깨비이다. 다른 도깨비들은 인간 세상에 내려갈 생각에 잔뜩 들떴지만 겁깨비는 인간 세상을 생각만 해도 겁이 났다. 대장깨비는 이번에는 겁깨비를 인간 세상에 내려 보내기로 한다. 땅에 떨어진 겁깨비는 떨어지면서 도깨비방망이를 잃어버렸다. 2학년 '이건호'는 놀이터 모래에 있는 도깨비방망이를 집어 가방에 쏙 집어넣었다. 겁깨비는 자신의 도깨비방망이를 가져간 건호를 뒤쫓아간다. 건호는 태권도장에 갔다 집으로 돌아왔다. 겁깨비는 집까지 따라왔지만 도깨비방망이를 찾을 수 없었다. 건호는 학교 교실에서 ‘대용’이와 딱지치기를 하다 결국 선생님에게 발각되어 빼앗긴다. 그러는 중 가방에 있던 숙제 공책이 없어져 건호는 받아쓰기 틀린 것 다섯 번이나 써야 하게 되었다. 건호는 집에 와서 자신의 방이 어지러워진 것을 발견하고 드디어 겁깨비와 마주친다. 과연 건호에게 무슨 일이 벌어질까? 겁깨비에겐 또 무슨 일이 벌어질까?



겁깨비가 가지고 있는 방망이의 에너지가 강해지려면 인간을 공탕먹어야 한다. 건호는 자신과 함께 학교에 가자고 부탁을 한다. 다음날 건호는 겁깨비를 데리고 학교에 간다. 어제 딱지를 같이 친 '대용'이에게 도전을 한다. 그 결과 건호는 대용이의 딱지를 다 딴다. 건호를 혼내는 선생님을 보고 겁깨비는 도와줘야겠다는 생각에 선생님 머리를 망가트리고 더 장난을 치고 싶은 생각이 들어 아이들 물건을 움직이게 한다. 하지만 그 모습에 아이들은 겁먹는 표정이 되었다. 겁깨비의 방망이는 인간을 골탕 먹일 때보다 인간에게 웃음을 줄 때 에너지가 더 강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도깨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섭게 생긴 모양과 인간을 괴롭히는 것을 상상하기 쉽지만 그러한 도깨비의 형상과 이미지는 일제시대 일본이 심겨놓은 것이라도 한다. 한국의 도깨비는 친근하고 친숙하고 사람과 어울려 놀고 장난을 치는 것을 좋아 했다고 한다. 이 책에 나온 도깨비는 겁이 많은 도깨비지만 자신의 겁 많음이 결국에는 인간을 즐겁게 해줄 수 있고 더 큰 즐거움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다. <웃음 찾는 겁깨비>도 두고두고 오랫동안 아이와 같이 읽을 듯 하다. 



그간 읽었던 도깨비가 등장한 동화책들 

만구 아저씨가 잃어버렸던 돈지갑(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670651751)

우리 집에 도깨비가 살아요 / 우리 집에 아이들이 이사왔어요

(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139425408)

천둥 도깨비가 쿵(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75123765)

부글부글 도깨비 셰프(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2377156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뿡빵뽕 - 우리 아기 방귀를 응원해!
젤라 글.그림 / 한림출판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우리 아기 방귀를 응원해!






이 책은 아이와 가족의 건강한 생활을 응원한다. 방귀 삼남매 '뿡' '빵' '뽕'을 따라 신나고(?) 재미난(?) 방귀를 뀌어 보자! 집에 36개월 이전의 아이가 있다면 이 책이 아이에게 무척 즐겁게 보여줄 수 있을 듯 하다. 모방 행위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생후 6개월이 넘은 둘째에게 방귀 삼남매 중 첫째(?)인 '뿡!'을 보여줬다. 그러나 반응이 없었다. 흠.. 왜 이러지?!


 




방귀 삼남매 중 둘째(?)인 '빵!'을 보여주니 바로 반응하기 시작한다. 한참을 그림을 쳐다보면서 만지고 입에 가져 오려고 한다.




 



방귀 삼남매 막내 '뽕!'은 더욱더 활발하게 가까이 자신에게 끌면서 격렬한 반응을 보였다. 아직 방귀에 대한 개념이 없는 아이이지만 곧 방귀, 똥 등 생리 현상을 인식하게 될 텐데 그때 더욱더 친근하게 접근 할 수 있을 듯 하다. 프로이트의 학설에 따르면 유아의 삶에 나타나는 첫 번째 단계인 '구강기'(뭐든 입에 집어넣고 물고 빠는 것)를 지나면 항문기가 온다. 이 시기에는 배설이나 배설 욕구, 배설물에서 쾌감을 얻고 스스로 배설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사진에 대한 일종의 자존감과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게도 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도 있다. 유아기 시절 아이들은 똥, 코딱지, 똥꼬, 엉덩이 같은 단어만 말해도 까르르 웃어 넘긴다. 이것을 프로이트는 ‘구강기’라고 표현 했다. 구강기에 해당하는 아이들, 앞둔 아이들이 읽으면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 발, 누구 발? 보랏빛소 그림동화 19
줄리 머피 지음, 한나 톨슨 그림, 김지연 옮김 / 보랏빛소어린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지구 곳곳 동물들의 발 이야기






이 책은 다양한 동물들의 특징과 습성을 알려준다. 아기들은 엄마, 아빠 발과 자신의 발을 비교한다. 크키가 크고 거뭇거뭇 털이 있고 뒤꿈치에 각질이 있는 것을 제외하곤 아이 발과 큰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다양한 동물들의 발은 어떻게 생겼고 무슨 역할을 하게 될까? 동물들은 발로 걷고, 달리고, 차고, 기어오르고, 뛰고, 파고, 헤엄 치고, 먹이를 잡는다. 책 속에 등장하는 여러 동물들의 발을 통해 다양한 동물들을 알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져보자.


치타 발은 쌩쌩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만큼이나 빨리 달리지만 달리면서 절대 미끄러져 넘어지지 않는다. 축구화처럼 튼튼한 발톱이 있어 땅을 움켜쥔다. 얼룩말 뒷발은 사자를 물리칠 만큼 세고 사자 이빨도 부러트릴 수 있다. 오리 발은 넓적하고 사이사이 물갈퀴가 있어 헤엄치기 좋다. 물에도 잘 뜨고 땅에서도 잘 걷는다. 질퍽질퍽 늪에서도 빠지지 않는다. 도마뱀발은 끈적끈적하고 착착 붙기 때문에 미끄러지지 않고 나무를 탈 수 있다.


코알라 발은 엄청 날카롭다. 뾰족뾰족 발톱이 나 있어 나뭇가지를 꽉 움켜준다. 발가락이 엄지손가락 역학을 하고 나뭇가지에 매달려 잠잘 만큼 쥐는 힘이 세다 황제펭귄 발은 엄청 따뜻하다. 알을 올린 채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다. 다만 발끝에는 뾰족하고 강한 발톱이 있어 미끄러운 얼음 위를 쉽게 걸을 수 있다. 붉은 캥거루 발은 길쭉길쭉 생겨 호주의 사막을 뛰어다니기 좋다. 한 번에 멀리 높이 뛸 수 있다. 수컷 푸른발부비새 발은 파란 색이다. 가장 진한 푸른색 발 수컷이 암컷에게 인기가 많다. 바다거북 발은 지느러미로 물속을 헤엄치기 좋다. 하지만 땅 위를 걸을 때는 불편하다. 큰뿔야생양 발은 튼튼하다. 바위나 돌산을 자유롭게 뛰어다닐 수 있다. 수리부엉이 발은 무지무지 세고 날카롭다. 어떤 먹잇감도 단번에 낚아챌 수 있다. 북아메리카두꺼비 발은 땅을 잘 판다. 뜨겁고 건조한 사막에서 땅 속에 들어가 시원하게 지낸다. 침팬지 발은 엄청 커다랗고 길어 흔들흔들 나무에서 매달리며 뛸 수 있다.



책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발의 역할은 아이에게 다양한 상상력을 자극 시켜 주는 듯 하다. 단순히 걷고 뛰고 차고 기어오르고 파고 헤엄 치고 먹이를 잡는 데만 필요한 것이 아닌 생존과 구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되는 것을 책을 통해 알게 된다. 각각의 동물들의 발을 설명하면서 배경을 통해 어디에서 살고 있는 지 유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발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의성어, 의태어가 있기에 운율감 있고 생동감 있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란의 경제 - 과거 위기와 저항을 통해 바라본 미래 경제 혁명
제이슨 솅커 지음, 최진선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과거 위기와 저항을 통해 바라본 미래 경제 혁명










이 책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극대화되어 가는 시기에 앞으로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 궁금한 이들을 위한 훌륭한 안내서이다. 블룸버그 선정 세계 1위 미래학자인 ‘제이슨 솅커’의 책들을 여러 읽어 보았다. 그가 판단하고 예측한 미래는 허무 맹랑하지 않고 현실적이며 사실적인 느낌을 많이 받았다. 


그간 읽었던 책들로는


코로나 이후 불황을 이기는 커리어 전략(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098528345), 


코로나 이후의 세계(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981551948), 


금융의 미래(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172982547), 


로봇 시대 일자리의 미래(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315291379) 이번 <반란의 경제>역시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2020년 2월 NBER(전미경제연구소)는 미국이 경기 침체에 돌입했다고 선언했다. 경제는 두려움과 탐욕에 의해 움직인다. 코로나19 사태는 인간에게 심각한 고통을 안겨주었다. 시장 경제는 마비되었고 인류의 고통은 가중되었다. 1776년 미국, 1789년 프랑스, 1848년 프랑스와 유럽, 1899년 중국, 1905년 러시아, 1917년 러시아, 1918년 독일, 1933년 독일, 1959년 쿠바, 1968년 미국, 1968년 유럽, 1979년 이란,  1989년 소련, 1998년 베네수엘라, 2010년 아랍의 봄, 책 속에 등장하는 혁명들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먹고사는 문제였다. 경제적·재정적 부분이 해결됐느냐에 달려있다. 빈곤으로 허덕일 때는 매우 폭력적인 양상을 보이며 혁명은 대체로 성공했다. 사회의 불안과 큰 변동을 초래하는 핵심 요소는 심각하고 위태로운 경제 상황이다. 역으로 생각하면 경제가 안정적이라면 혁명이 발생할 가능성은 훨씬 적어진다. 코로나19 여파로 미국과 여러 국가에서 벌어지는 경제 상황은 역사상 최악에 속한다. 빈곤, 차별, 기회의 부족, 먹고사는 문제라는 경제적 용인의 절박함은 혁명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코로나19 팬더믹의 경제 불황속에서도 원격 근무 가능성, 전자상거래로의 접근, 온라인 강좌 수강 및 이수 등 몇 가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요인들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제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 또한 실업률도 낮아질 조짐조차 보이지 않는다. 지속적인 높은 실업률은 부동산 위기를 낳는다. 늘어난 정부 지출과 수입 부족에 따라 마이너스 금리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저자는 코로나19에 필요한 국가 안보와 정치적 안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NOISE'라는 이름을 붙였다. 아래의 요소들이 안정적으로 충족될 때라야 국가 안보와 사회에 미치는 위험이 최소화 할 수 있다.




Necessaries(필수품) : 식량, 물, 에너지, 주거지, 안전


Occupations(직업) : 일, 직업, 취미


Information(정보) : 정확하고 안전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것


System(시스템) : 금융, 보건, 대중교통, 교육


External(외부 요인) : 국제 관계. 군사, 공급망, 무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