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보다 적금통장이 좋다는 누구는 화장실에서 잠까지 잔다는데, 나는 왜이렇게 화장실과 친해지지 못할까?

오늘 오후 화장실을 향해 가는데, 앞에 여자가 걸어가고 있다.  복도의 그쪽으로는 화장실 아니면 계단 밖에 없다. 역시나 그 여자는 화장실 쪽으로 간다.

방향을 바꾸어서 계단을 통해 아랫층 화장실로 갔다. 화장실에서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이 어색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크를 해보니 화장실에 사람이 이미 있다!

다시 방향을 돌려 윗층으로 올라왔다. 화장실 쪽으로 가려는데, 앗! 옆집 치과 원장님이 인사하신다.

'어디 다녀오세요?'

'저... 그냥 아랫층좀 다녀와요.' 하고는 병원쪽으로 발길을 돌린다. 화장실은 가지도 못하고...  ㅜㅡ

그 치과 선생님도 마치 바람 쏘이러 나온 것처럼 창밖을 내다보신다. 복도를 걸어오다 돌아보니 치과 원장이 안보인다. 남자 화장실로 들어간거다.

병원으로 왔다가...... 그 치과 원장님이 사라졌음직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도전. 이번에는 아무도 만나지 않고 성공했다.

 

늘 가던 곳이 아니면 잘 못간다. 재래식 화장실은 못간다. 여행 가서도 잘 못간다....

어려서는 학교 화장실에 안가려고 참다가 신우신염에 걸린 적도 있다.

참 사서 고생이다.   --;;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明卵 2004-07-12 2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화장실을 어색해 하시다니! (뭐라고 말해야 될지 모르겠음)

미완성 2004-07-12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디 가을산님의 배변활동에 지장을 주지 말아야할텐데....
나쁜 화장실들!!
좀 더 몸단장을 아름답게 해서 가을산님을 꼬시지는 못하고,
가을산님의 배변활동에 지장을 주다니!!
화장실들아! 반성햇!!-0-

가을산 2004-07-13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고민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거였군. 그럼 나도 이제 신경쓰지 말아야겠네요.

sooninara 2004-07-13 17: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집에 오시는 재진이 학습지 선생님중에서 사립초등학교를 나왔는데 중학교를 일반 중학교에 가서 화장실을 못가셨답니다..너무 더러워서..ㅠ.ㅠ..그래서 신우염으로 고생하셨다는데..
가을산님하고 찌찌뽕..잘먹고 잘자고 잘싸는게..잘사는법이라는데..화장실 가시는 연습을 하세요..어쩐데요...ㅠ.ㅠ..

ceylontea 2004-07-14 15: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 얼른 화장실하고 친해지셔야... 그리고... 화장실에 오는 여타 사람들을 무시하셔야겠네요..
제가 화장실 문제로 고민했을 때는 초등학교때 시골레 놀러 갔었는데... 재래식도 그런 재래식이 없었죠... 밤에는 무서워 못갔고요... 여름엔... 꼬물거리는 하얀벌레들 때문에 못갔지요...
그래서... 시골 큰 집에 며칠씩 있는 것은 안했답니다..

마태우스 2004-07-15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님처럼 다른 사람 있으면 안가버려요. 아는 사람인 경우는 특히 더...

ceylontea 2004-07-15 1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화장실 말고도 버스나 지하철.. 엘리베이터 등에서 아는 사람인데.. 말하고 싶지 않을때 있잖아요.. 그때는 좀 뭉그적거리며 안마주칠라고 하는 것 같아요... ㅡ,ㅡ

가을산 2004-07-15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흑흑, 실론티님, 저도 초등학교때 캠프 가서 하얀 벌레들을 보았어요. 으아아악~~!
저희 어머니도 제가 어려서는 깔끔한 척 해서 (다른것은 다 깔끔치 못하면서 화장실만) 고생 많으셨을거에요.
 

대전서 살고, 투자나 이재에 어두운 관계로, 수도이전이 이러쿵저러쿵 할 때 별 감흥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말에 서울로 나들이를 해보니 서울 사람들은 상당히 불안해 하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종합청사나 청와대가 공주로 내려온다고 한들, 대전에 3청사 들어왔을때 서울에 별 영향이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 아니겠느냐?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내려온 사람들이 서울서 살던 집 팔고 이곳에 와서 더 큰 집에 인테리어 해서 들어가고, 차까지 살 수 있어서 좋아한다는게 정설입니다. (역으로, 저희집은 대전서는 비교적 큰 평수인데도 서울에 가면 강남의 30평대 전세밖에 안된다는군요.) 

어쨌든, 이런 불안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오른 집값은 생각 안하고 떨어질것만 걱정하는 것은 맘에 안들지만...

한가지 특이한 것은, 정부에서 하는 일은 무조건 다 싫어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이번에 서울시에서 버스 노선 개편으로 북새통을 이루는 것에 대해서는 무척 관대합니다.

'언론에서 이명박 죽이기를 하는거야. 별로 불편한 것도 없는데 언론에서 과장해서말이지.'

온누리 교회에 열심히 다니는 시누이의 말입니다. 문제는, 우리 시누이는 평소에 버스나 전철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 집에 자가용 두 대를 굴리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서울시를 하나님께 봉헌한 기특한 사람을 왜 못살게 구는지 이해가 안가겠지요.

서울 갈때마다 정치 이야기가 나올때는 조심스럽습니다. (아직도 친정과는 화해 못하고 있음...  --;; )

어제는 시아버지께서 중재를 해주셨습니다.  '거 노무현이 내 고등학교(부산상고) 후밴데, 좀 봐주자.' 

아직까지도 한나라당 지지자이신 아버님께서 딸과 며느리의 중재에 나서주셨다는 것은 참으로 크나큰 변화였습니다.  이유야 어쨌든 며느리 편들어주신 아버님, 고마웠습니다. ^^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부리 2004-07-12 15: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치 얘기는 언제나 조심스럽죠. 코드가 맞는 사람과만 해야죠... 아니면 화 안낼 사람과도 해도 되죠.

마립간 2004-07-12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치 (같은 부류에 종교도 들어감) 애기를 조심스럽게 하는 것은 동감이 되는데, 코드가 맞는 사람과만 하는 것은 동의하지 않습니다. 상대의 이해, 조율과 타협, 더 나은 새로운 방안 등을 생각하면 오히려 적극적인 대화가 필요하지 않나요. 그리고 차이를 안 다는 것도 중요한 것 같은데요.

sooninara 2004-07-12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어렵네요..본인은 대중교통을 이용을 안하니 서민들의 고통을 모르겠지요..
저도 출퇴근하는 서울시민은 아니지만..2~3시간 걸려서 목적지 가보면 정말 머리뚜껑 열리겠죠?
그나마 이명박씨가 서울시장으로 본모습을 보여주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아무것도 모른채로 2007 대선에 나와서 된다면...정말 무섭습니다..
이미 보여줄것 다 보여 주어서 2007년은 물건너 갔겠지요?
무슨 기독당이나 그런걸로 안나온다면요...^^

다연엉가 2004-07-12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친정에서요. 처음에는 적극적인 대화를 했는데요 나중에는요 서로 씩씩거렸거든요. 그래서 제가요 만약에 친정와서 정치이야기 종교 이야기하면은 불을 싸질러버린다고 했거든요. 이제는 안 해요...해도 그냥 살짝만 해요. 참고로 우리 친정 식구들 법 없이들 산다고 하더군요. ^^^^

starrysky 2004-07-12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정치얘기는 너무 무서워요.
저랑 아주 친한 친구 둘이 지난 대선 이후로 쫙- 갈라섰다니까요. 그래서 저는 A친구 따로 B친구 따로 눈치 보면서 만나야 해요. 엉엉. ㅠㅠ 정치가 미워요!!!

다연엉가 2004-07-12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가을산님 돈벌이랴 서재질하랴 바쁩니다. 한가지 정작 까먹은 말 . 저희집도 서울가면 전세도 안됩니다. 그리고 지금 이 곳 진주에도 서울 부자들이 땅을 사들이고 있다는 소문이 듭니다. 대전과는 이미 가까워졌고 서서히 이곳에도.....

sooninara 2004-07-12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우리집 팔아도 강남에 전세 못 들어가요..^^

마태우스 2004-07-12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립간님/나이가 들고나면 정치적 입장이 확립되어 버리니, 정치 얘기가 늘 싸움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특정한 이념적 성향이 있어서 입장이 다른 것도 아니라, 순전 지역갈등이잖습니까. 합리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면 모르겠지만, 제가 겪은 바로는 사이만 나빠질 뿐 하등 도움이 안되더군요. 수도이전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사람이라도 노무현이 추진한다는 이유만으로 반대를 하는 판국에 대화가 될 수가 없지 않을까요.

마립간 2004-07-12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싸움판이 되는 현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가족끼리도 대화가 안 되는 것을 정치인들은 왜 저럴까 비판하는 것도 우습지 않나요. 정치적 입장의 확립과 대화 때 마다 감정을 주체 못해 흥분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교육에서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가르치는 것이 결여된 것이 문제죠. (가정교육에서라도 보완해 주시길...)

ceylontea 2004-07-12 16: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 저도.. 일단... 오른 요금 내야하고...
버스는 마포에서 종로1가 오는 것 260번인가 한대만 알고 있고... 그것도 전에 내리던 정류장보다 멀어져 출근할 때 더 걸어야 한답니다.
저는 알라딘에서도 가급적 정치이야기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거의 이야기 하지 않는 편인데... 여기저기 글 올리시는 거 읽으면서.. 제가 지금.. 이러고 있는 것이 잘 하는 것인가 싶을때도 있긴 합니다...

가을산 2004-07-12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역시 민감한 주제인가봐요.
저는 대화의 필요성은 늘 느끼면서도 합리적인 의견교환이 안되는 현실에 부딪칩니다.


가을산 2004-07-12 17: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마태님, 마립간님 - 알고보니 동성이시네요! ^^ - 반전평화의 원칙에 동의하는 의사들의 온라인모임이 있습니다. (별로 활발하지는 않지만서도... 저도 회원은 아닙니다만..)
반전평화의사모임이 그것인데요, 이 모임에서 반전평화와 파병반대를 위한 서명을 받고 있습니다. 사이트 주소는 http://nowardr.jinbo.net/ 입니다.
혹시 동의하시면 서명좀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기회를 놓치지 않는.... ^^;;;

 

미국의 어떤 암환자가 조사한 대표적인 제약회사의 약값과 그 약품의 원가입니다.

옆에 우리 나라의 약값도 적어놓았습니다.

공평하게 하기 위해서 설명을 첨가하자면, 이 원가는 약품의 원가이지, 제형으로 만들고 포장하는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같은 제형과 포장의 훨씬 싼 약들도 많은 것으로 보아 제형과 포장비도 그다지 많이 들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약 이름                    미국 소비자가 (100정)       유효성분의 원가(100정)          소비자가 / 원가 (%)

                                  한국 소비자가(100정)

Celebrex 100 mg          $ 130.27                      $ 0.60                             21,712 %
(해열진통소염제)          \  98,100

Claritin 10 mg               $ 215.17                     $ 0.71                             30,306 %
(항히스타민제)              \ 28,000

Keflex 250 mg              $ 157.39                     $ 1.88                                8,372 %
(항생제)

Lipitor 20 mg                $ 272.37                     $ 5.80                                4,696 %
(고지혈증치료제)           \ 188,200

Norvasc 10 mg             $ 188.29                     $ 0.14                             134,493 %
(혈압약)                       \ 52,500

Prozac 20 mg               $ 247.47                     $ 0.11                             224,973 %
(항우울제)                   \ 90,300

Tenormin 50 mg           $ 104.47                     $ 0.13                               80,362 %
(혈압약)                       \ 28,300

Vasotec 10 mg             $ 102.37                     $ 0.20                               51,185 %
(혈압약)                      \ 19,800

Xanax 1 mg                 $ 136.79                     $ 0.024                            569,958 %
(항불안제)                   \  41,000 

Zestril 20 mg                $   89.89                    $ 3.20                                 2,809 %
(혈압약)                       \  51,800

Zithromax 600 mg       $ 1,482.19                    $18.78                                7,892 % 
(항생제)                     \ 205,300 (250mg짜리)

Zocor 40 mg                 $ 350.27                    $ 8.63                                 4,059 %
(고지혈증 치료제)          \ 125,100

Zoloft 50 mg                  $ 206.87                    $ 1.75                               11,821 %
(정신신경과용제)           \ 101,400

----------------------------------

보시면 알겠지만, 원가 대비 소비자가가 작게는 40배, 많게는 5699배에 이릅니다. 

물론, 모든 소비재가 원가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꼭 필요한 약의 가격이 너무 비싸서 사지 못하는 경우는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또 의료보험의 재정이 제약회사의 이윤을 위해 지나치게 많이 흘러나가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를 위해서 약의 가격 결정 과정이 좀 더 투명해졌으면 좋겠습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nrim 2004-07-10 1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699배.. 엄청나네요;;; @@

호랑녀 2004-07-10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가에 제품 개발비... 뭐 이런 거는 안 들어간 건가요?
진짜 약값의 결정과정이 투명했음 싶네요. 제약회사의 약만이 아니라 각종 한약, 보약들두요.

가을산 2004-07-10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발비는 정산이 안된, 생산비입니다.
그렇지만, 제약회사들의 지출 중에 연구개발비(R&D)는 전체 5-15%정도이니, 나머지 85%는 운영비, 판촉비, 이윤입니다.

starrysky 2004-07-10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아악, 너무해요. ㅠ_ㅠ 약국이 돈 버는 이유가 다 있구만요. 엄마한테 다시 약국 하자 그래야겠어요.

가을산 2004-07-10 15: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 스타리님! 저 약값은 제약회사에서 벌어가는거에요. 물론, 약값의 일부분이 마진으로 약국에 가겠지만....

마립간 2004-07-11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먼저 저의 직업상 아는 사람외에 개인적으로 제약회사를 포함한 약drug과 관련된 사람은 없습니다. (제가 수학을 좋아한다는 것을, 모르시는 분을 위해 먼저 이야기를 하고)

사람은 숫자에 현혹됩니다. 위의 도표도 마찬가지이고요.
예를 들어 원가가 10원인 약품이 있는데, 약 한알에 100만원으로 계산하면, 소비자가 대비 원가는 10만배이지만 이 약이 한달에 한 알밖에 안 팔릴 정도의 수요를 갖는다면 이 제약회사에 이 약으로 벌어드이는 한달 매출은 100만원, 이윤은 한 달에 100만원 미만입니다. 이 약만 만들어서는 한 사람의 월급도 줄 수 없습니다. 비율%도 중요하지만 매출, 이윤, 마진률, 그리고 약인 점을 고려하면 이 약이 얼마나 많이 팔리는가. 얼마나 흔한 질병에 사용되는가,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 약인가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항암제는 고가가 많은데, 개발비에 비해 소화제처럼 여러 사람에게 아무렇게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장이 한정되어 있죠. 또 다른 예를 들면 아스피린은 개발된 후 계속 사용되지만, B형 간염 치료제 제픽스(lamivudine)는 다른 약이 개발되면 대체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 약을 만든 회사에서는 다른 대체 약품이 나오기전에 개발비, 운영비, 홍보비, 회사 성장을 위한 이익을 얻으려고 합니다. 저는 오히려 우리 나라에서 소화제, 제산제, 술 마신 후 먹는 음료(일명 드링크제)를 팔아서 공룡이 된 제약회사를 보면 한심합니다.

참조) 마립간의 페이퍼 5월 4일자, 친구와의 대화 - 통계의 함정

미완성 2004-07-11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그래서 가끔 영화나 드라마에서 제약회사의 비리를 보여줬던 거군요...
(역시..의도하지 않아도 가을산님 서재에선 꼭 뭔가 얻어가게 돼;;)

마립간님, 정말 멋져요 *.* (처음 뵙겠습니다. 전 초특급미녀....-_-)

가을산 2004-07-11 2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초특급 미녀님! ^^ 마립간님이 멋있으신 걸 한눈에 알아보셨네요. ^^

통계에 관한 것은 마립간님 말씀이 맞습니다. 이윤이 몇배인지를 알리는 것은 원가가 적을수록 커보이기 때문에 언듯 보면 대단한 것 같지만 의미는 크지 않습니다.
위의 약중에 Xanax 1 mg 를 보면 원가는 100알에 0.024불 밖에 되지 않는데, 소비자가는 135불이죠. 원가가 워낙 적으니 이윤이 5,699배가 됩니다.

약가 산정의 문제에 있어서, 가격을 보시면, 대부분 약값은 약의 원가와는 전혀 상관 없이 산졍되어 있습니다. 대체 약물이 없을 수록 비싸고, 고혈압제재같이 경쟁 약품이 많으면 비교적 저렴합니다.

문제는 '대체 약물이 없을 수록 비싼' 약가 책정 정책입니다. 약의 개발비용과도 상관 없고, 약의 원가와도 상관이 없습니다. '얼마면 환자가 사면서도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준일 겁니다. 게다가 '얼마면 살 것인지' 하는 것도 선진국들의 - 소득도 많고 의료보장제도가 잘 뒷받침되어서 본인부담급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 소비자를 대상으로 결정됩니다. 이 가격을 그 나머지 국가들이 따르도록 '강제되고' 있구요.

그 결과로 선진7개국 국민이 아닌 사람도 이 약값을 울며 겨자먹기로 내야 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여름 비수기임이 확연한 요즘, 남는 시간에 이런걸 만들었습니다. (정말 할일 없다)

몇일간만 이미지로 걸어두려고 합니다.


 

 

 

 

 

 

 

 

 

 

 

가운데의 이라크 여자아이에게 평화를.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4-07-09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했당..
눈아포요... ㅠ.ㅜ

nrim 2004-07-09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직접 만드신거에요??
우와... 프린트해서 해봐야지...

가을산 2004-07-09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로는 이 아래 주소에 가면 만들어지구요,
http://puzzlemaker.school.discovery.com/AdvMazeSetupForm.html
이미지 작업만 제가 했어요.

비로그인 2004-07-09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한 마리 비둘기가 되어 꼬마 숙녀에게 희망을 전해 주고 오는 길입니당~ ^^
근데 님의 리플 옆에 나오는 미로 이미지는 잘 알아볼 수 없어 .... 에구, 속상해용!

물만두 2004-07-09 1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 달라지셨군요. 극과 극의 색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미로에 저 갇혔어요. 구해주세요...

호랑녀 2004-07-09 1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저는 입구에 실을 묶어두고 들어가야겠군요.

어룸 2004-07-09 2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유~~~살았다!!!
가을산님!!! 마침내 소녀를 구했어요!!! >ㅂ< (어찌나 조마조마했던지...남들은 쉽게 하시는것 같은데 전 여러번 실패...ㅠ.ㅠ)


미완성 2004-07-10 1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어..어려워요.
초등학교때만 해도 참 잘 찾았는데..
O.O

*^^*에너 2004-07-10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미~ 소녀에게 평화를 전하기도 전에 눈이 빙빙 돌아서 쓰러졌또요.
다시 힘을 내서 아자~~ 소녀에세 평화를..

ceylontea 2004-07-12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아프다 투덜거렸는데... 냉열사님은.. 표현이 넘 멋진거 아녀요?
 
 전출처 : 플레져 > 지금 어디 있나요?


 

 

새장 속에?

새장 밖에?

어디에 있나요, 당신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