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과 혀 -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권정현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0월
평점 :
어느 한 시대의 역사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일이다. 그럼에도 순간적으로 잊고 산다. 하지만 소설 속에서 보이는 역사의 한 페이지에 우리는 숨막혀 하며 그 시간들을 떠올리려고 한다. 그 시간을 견뎌야 했던 사람들을 생각한다. 그 시절에도 희망이 있었을까.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살지 않았을까. 그 때에도 삶이 있었으니 지금처럼 오늘 하루를 위해 살았을 것 같기도 하다. 하나의 이야기를 만난다는 건 소설 속 역사를 떠올리는 일이다.
소설 속 배경은 1945년 패망 직전의 만주 땅이다. 일본 관동군 사령관 모리와 그를 암살하려는 중국인 요리사 첸, 그리고 그 두사람 사이에 조선인 여성 길순의 이야기가 각자의 시점으로 이야기한다. 자경단원인 요리사 첸은 관동군 사령관 모리를 암살하고자 황궁에 숨어든다. 그를 잡아온 헌병대에게서 그가 요리사라는 말을 들은 모리는 그의 목숨을 살려주는 대신 불가능한 요리를 주문한다. 기름과 어떠한 양념도 사용하지 않아야 하고, 조리도구도 한정되어 있어야 하며 제한된 시간은 단 1분이다. 불가능한 요리를 완료해 사령관 모리의 혀를 만족시킨 첸은 그날 부터 장교식당에서 요리사로 일한다.
소설 속 관동군 사령관 야마다 오토조(모리)는 실제 인물이라고 한다. 전쟁을 싫어했다고도 하는데 요리애호가 이자 예술비평가로 전쟁이 시작되기 전 시와 문학을 강의했던 인물이다. 그가 바라는 건 고향 구마모토의 풍경과 어머니가 해주시던 음식이다. '먹는다는 것은 내게 잠시나마 전쟁과 직위를 잊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121페이지) 라고 말하는 그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안고 있다. 그가 자주가는 곳은 그들이 용궁이라고도 부르는 극락사다. 그곳의 반가사유상의 미소를 보며 향수를 달랜다. 그에게 있어 요리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었다. 구마모토의 천수각, 어머니의 품을 그리워하는 어린아이로 돌아간다.
왕첸. 그는 천재 요리사다. 모리를 죽이겠다고 장교 식당에 들어가서도 그의 혀를 자신의 요리로 길들이게 하는 남자다. 그는 아버지의 요리법을 배웠다. 요리의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 요리에 가장 중요한 칼과 도마를 대하는 자세를 아버지에게서 배웠다. 요리를 하지 않겠다는 그를 아버지가 죽으며 남겨둔 도마가 요리로 이끌었다. 아버지의 도마는 그에게 요리를 하는 매개였다. 모든 요리에 임하며 아버지의 말을 떠올린다. 독을 써 사령관 모리를 죽일 수 있음에도 지금이 아니라고 시간을 늦추는 일이다. 자신의 요리를 그의 혀에 길들이는 일. 그를 죽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도마에 놓인 것은 그것이 무엇이든 하나의 생명이야. 칼은 그들의 생명을 끊는 도구가 아니라 그들을 굴복시키는 도구야. 칼을 다룰 때 조금이라도 허점이 보이면 재료들은 접시에 오르는 순간까지 말썽을 부리잖아. 칼은 등을 보여서도 안 돼. 칼날로 재료를 지그시 눌러가면서 놈들의 눈을 제압해. 숨통을 단박에 끊어놓을 듯 위협하면서 동시에 재료 고유의 빛깔과 싱싱함이 다치지 않도록 배려해. (98페이지)
나는 인간이 혀로 느낄 수 있는 맛이 아닌 고통의 맛을, 사랑했다.... 단맛, 신맛, 짠맛, 쓴맛, 감칠맛 따위가 아닌, 혀를 뚫고 혀를 째며 점막에 와닿는 그 찢어지는 아픔을! 그건 혀로 느껴지는 맛이 아니라 온몸으로, 몸으로, 몸, 몸으로 느껴지는 맛이다. (317페이지)
이 둘 사이에 조선 여인 길순이 있다. 남방으로 가겠다고 했다가 위안부의 삶을 살았던 여인이다. 길순은 사내들을 믿지 않았다. 자신을 훔쳐본 오빠의 대의(나라를 구하겠다는)도, 첸의 대의도 믿지 않았다. 오빠의 대의를 위해 메모지를 남기지만, 자신이 왜 그 일을 해야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했다. 그녀에게 있어 가장 힘든건 사내들이었다. 대의를 위해 어머니 베베와 자신을 두고 갔어도, 모리의 품에서 혀가 잘린 남자의 요리를 맛보면서도 그녀는 끝없이 갈구한다. 삶과 죽음의 눈 앞에서 고향 청진을 떠올린다. 돌아가야 할 그 곳. 돌아가지 못하는 청진의 고향집 부엌을.
모리와 첸, 길순에게 삶과 죽음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암살하려던 자도 그를 독살시키겠다는 것보다는 그의 혀를 자신의 요리로 길들이려고 하고, 그를 죽일 수 있음에도 그의 요리를 맛보며, 그의 혀를 잘라서도 혀로 맛보지 못하는 궁극의 요리를 맛보고자 한다. 죽어가는 이에게 극락사의 부엌에서 마치 어머니처럼 안고 있는 여자. 사내들을 미워했지만 결국 사내들을 품어 안았던 것인가. 그들에게 칼은 현재의 상황이고, 혀는 현재의 상황을 잊고자 하는 꿈꾸는 그 무엇이었는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