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땅의 야수들 - 2024 톨스토이 문학상 수상작
김주혜 지음, 박소현 옮김 / 다산책방 / 202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뭐라고 시작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이 소설의 줄거리에 대한 설명을 굳이 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시대적인 배경은 일제강점기이며 해방 후의 이야기도 포함하고 있지만 사실 해방 이후의 내용은 후기 정도라 생각하면 될 것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더 깊이있는 대서사를 기대했지만 그 기대에는 못미치는 느낌이었고 책을 읽는 중간에 이 책이 우리나라 독자를 대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기보다는 미국에서 출판되었고 우리에게 번역이 된 작품이라는 것을 떠올린 순간 이 책에 대한 관점이 조금은 달라졌다. 내게는 너무나 익숙한 이야기들이고 좀 더 역사적인 이야기가 담겨있기를 바라는 기대가 있겠지만 우리의 역사를 모르는 이들에게는 이 이야기들이 대단한 서사가 될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기때문이다.
평안도의 숲 속에서 사냥으로 생계를 이어나가는 사냥꾼과 사냥을 하다 길을 잃은 일본군 장교의 만남이 서로의 목숨을 구하는 인연이 되고 그 인연이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 이야기의 주축은 이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굳이 숲 속에서의 만남이 필요한 것은 한반도를 상징한다는 호랑이의 영험함을 언급하기 위해서 반드시 그렇게 시작을 했어야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뭔가 이야기기 빙빙 도는 느낌이지만 그렇게 시작된 이야기는 미천하다고 여겨지는 목숨들이 어떻게 나라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걸게 되었는지, 식구들의 생존을 위해 기방에 팔려간 딸들의 삶의 굴곡은 어떤 인생을 만들어가는지, 대한제국군인의 아들이었지만 일제강점하에 고향을 떠나 고아로 살아가며 자신의 삶을 이어나가야 했는지...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은 그 시대의 인물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삶의 접점이 일제강점기의 역사와 맞물리면서 대서사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 이야기들이 낯설지 않다는 것만으로 초반에 책을 읽으며 조금 더 독립투사와 친일행적의 인물들에 대해 묘사를 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오히려 그렇기때문에 더 담담히 우리의 역사에 대해 새겨볼 수 있었지 않을까, 싶어진다. 누구나 독립투사가 될 수는 없었던 시기에 각자의 삶의 한 귀퉁이에서 나름대로의 역사를 만들어갔으며 그것이 곧 우리의 역사가 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작은 일화처럼 지나가지만 자동차에 밀려 인력거꾼들의 생존이 위협당하자 기생들이 그들을 위해 자선활동을 한 그 하나만으로도 그 당시에 자동차를 타고 다니던 친일자본가들의 행적과 확연히 비교되는 것처럼 말이다.
3.1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지만 수많은 이들의 죽음으로 묘사를 하였고, 친일의 표본인 김성수가 한때 마지못해 협력했던 이력으로 독립운동가가 되었다는 아이러니까지 담겨있다. 내게있어 조금 더 안타까운 것은 주요등장인물은 아니지만 주인 단이를 따라 만세운동의 현장에 갔던 제주출신 해순이의 죽음이었고 해녀들의 독립운동의 역사를 떠올리게 했고, 그 연결고리로 제주에 정착한 옥희를 통해 섬사람들의 역사를 한번 더 떠올리게 해 책을 읽으며 생각이 수많은 가지치기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처럼 각자의 관점에 따라 이 이야기는 여러 의미로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아니, 어쩌면 지금의 내가 이 이야기를 읽는 것과 십년 후의 내가 이 이야기를 읽는 것이 또 다를지도 모르겠다. 또한 우리의 역사를 아는 우리가 읽는 느낌과 한국의 역사를 잘 모르는 사람이 읽었을 때의 느낌은 또 다르지 않을까. 책을 읽고난 후 이런 이야기들이 더 궁금해진다.
... 그리고 조금 더 생각해보면... 일제강점기를 버티고 살아낸 이들이 한국전쟁과 정치적 혼돈의 시기를 겪으며 또 다른 학살의 시대를 살아내야 함을 알고 있기에 소설 속 인물들의 그 이후 이야기가 궁금하지 않은 것인지도.
아직도 진행형같은 근현대사의 굴레는 내게 그렇게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