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페크pek0501의 서재














프랜시스 베이컨, 「베이컨 수필집」

이 책에서 뽑아 옮겼다. 



4. 복수


어떤 사람들은 복수를 결행하기에 앞서 상대방에게 보복을 당하는 까닭을 알리고 싶어 한다. 이것은 비교적 대범한 자세다. 보복을 하는 것보다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뉘우치게 하는 데 복수의 기쁨이 있는 듯하기 때문이다.(24쪽)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복수하려는 사람이 상대편에게 “내가 꼭 복수하고 말거야.” 또는 “밤길 조심해.”라는 말로 겁을 주는 장면이 나올 때가 있다. 베이컨의 말대로 상대편이 뉘우치게 하려고 그런 말을 한 것일까? 아니면 단지 시청자들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가가 그렇게 썼을까? 


나는 복수하려는 사람은 복수의 계획을 상대편에게 말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 때문에 작가가 그렇게 썼다고 본다. 그 엄청난 복수의 계획을 혼자만 알고 있기에는 너무 벅찬 것이다. 또 상대편이 자신이 복수할 거라는 것을 알고 안절부절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만들고 싶은 것이다. 어떤 불행이 닥치리라는 상상은 그 자체만으로도 불안에 떨게 만드니까.


복수를 궁리하는 사람은 곧 나아서 쾌유될 수도 있었을 상처를 늘 아프게 간직하는 셈이다.(24쪽)


남을 해칠 방법을 모색하며 마음이 편할 리 없다. 



5. 역경


번성한다고 두려움과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 아니요, 역경 속이라고 위안과 희망이 없는 것이 아니다. 재봉일이나 수예에서 슬프고 장중한 바탕에 경쾌한 무늬를 넣는 것이, 밝은 바탕에 어둡고 침울한 무늬를 넣는 것보다 훨씬 즐겁다. 그러니 이와 같은 눈의 즐거움에 미루어 마음의 즐거움을 판단해보라. 향이나 양념은 피우거나 빻을 때 가장 향기로운 법이다. 미덕도 이러한 값진 향기와 같다. 번성은 악덕을 가장 잘 드러내지만, 역경은 미덕을 가장 잘 드러낸다.(27쪽)



7. 부모와 자식


자녀에게 용돈을 인색하게 주는 것은 해로운 실책이다. 그로 인하여 자녀들이 비열해지고 수단을 부리게 되고 좋지 않은 친구와 사귀게 된다. 그리고 풍족해지면 쉽게 방탕해진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식에 대한 권위는 유지하면서도 돈줄까지 틀어쥐지 않을 때에야 최선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람들은 (부모나 학교 선생이나 하인이나 모두들) 어린 자식들 간에 경쟁심을 일으키고 부채질하는 어리석은 버릇이 있다. 대개의 경우 이것은 그들이 어른이 된 후에 불화의 씨가 되어 가정에 풍파를 일으킨다.(34쪽)



8. 결혼과 독신 생활 


아내는 젊은이에게는 연인이고, 중년에게는 반려자이며, 늙은이에게는 간호사다.(38쪽)



10. 사랑


부부의 사랑은 인간을 만든다. 친구 간의 사랑은 인간을 완성시킨다. 그러나 방탕한 사랑은 인간을 부패하게 하고 타락하게 한다.(48쪽) 



23. 자기 자신을 위한 지혜


제 자신만을 위한 지혜는 여러 가지 면에서 타락한 행위다. 그것은 집이 무너지기 조금 전에 틀림없이 빠져나가는 쥐의 지혜다. 그것은 자신을 위하여 땅을 파서 살 곳을 마련해준 오소리를 쫓아내는 여우의 지혜다. 그러나 특별히 주목해야 할 사실은 키케로가 폼페이를 가리켜 말한 것처럼 “비길 데 없이 자기 편애에 빠진 사람”은 대체로 불행하다는 점이다. 평생을 두고 제 자신을 위하여 모든 것을 희생했지만 결국은 그들 자신이 운명의 변덕에 제물이 되고 만다. 운명의 날개를 제 몸을 아끼는 잔꾀로 묶어두었다고 잘못 생각했을 뿐이다.(108~109쪽)


이기적인 사람보다 이타적인 사람이 행복하다. 이것이 세상의 이치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