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나는 우리가 인간의 반려견으로서 존재하는 이유를 크게 세가지로 생각해 봤어. 첫번째는 맹인 아내견처럼 어떤 필요에 의해서, 두 번째는 인간의 외로움이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혹은 그들의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내가 주요하게 생각하는 건 세 번째인데 그건 바로'사랑'이라는 마음이야. (-6-)
우리에게 목줄은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 가장 주요한 의미는 나와 반려인 사이의 유대감이다. 반려인은 내가 보호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고, 동시에 내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버팀목이기도 하다. (-22-)
맹견 출신인 탱크는 험악한 외모를 지녔지만 늘 풀이 죽어 있다. 그의 반려인이 공원에서 누구와 인사를 나누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51-)
강아지가 태어나는 모습을 보며 눈물까지 흘리면서 감동하는 함미가 왜강아지를 만드는 모습은 꼴도 보기 싫어하는 걸까? 분명 마운팅이 인간의 눈에 민망해 보이는 짝짓기 행위인 것은 맞지만 우리에겐 존재의 목적이며 평생의 과제라 할 수 있다. (-72-)
책 『똥꼬의 개그림 노트』은 망치와 똥꼬의 교감을 그리고 있다. 인간에게 감정이 있다면, 반려견에게도 감정이 있다. 두 발로 걸어 다니는 인간은 네 발로 걸어다니는 반려견을 보며서, 서로 동질감을 느끼고, 때로는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로 각인시키고 있다. 추운 겨울, 남극에서, 이누이트인들은 개썰매를 통해 이동을 할 수 있었고, 시각장애인은 맹인 안내견의 도움을 받아서, 함께 길을 걸어갈 수 있었다.
반려인과 반려견의 사랑, 서로가 배려할 수 있는 방법, 따스함과 이해와 공감을 느낄 수 있다.
책에 등장하느 똥꼬는 '똥꼬집'을 줄여서 부르고 있다. 하나의 생명과 감정을 가진 존재, 학대하고, 폭력적인 우리의 모습에 대해서 성찰하였고,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먼저다. 특히 활동적인 반려견에게, 서로 따스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먼저다. 활동적인 개 그레이하운두는 매일 100km를 달릴 수 있을 정도로, 활발하므로, 잘못 고른 견종으로 인해 반려견주는 악순환이 될 수 있다.
동물 병원에 가면 항상 궁금한 것이 있다. 인간은 다치면 혈액 투여가 가능하다.그렇다면 반려견은 수술하거나, 반려견이 다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바로 헌혈개가 존재한다. 평생 헌혈을 목적으로 키우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 개가 있고, 그 역할을 다하면, 필요한 사람들에게 분양된다. 이처럼 인간은 반려견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쓰고 있으며, 사육하고, 존중하며 서로 필요한 관게가 유지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