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도, 마감일도 없이 살다 보니 책 읽는 패턴이 "충동 따르기"형으로 바뀌어 간다. 예정에 없던 책을 손에 쥐면, 그냥 읽어버리기가 부지기수.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는 400페이지가 훌쩍 넘어가는 두꺼운 에세이다. 반납일이 많이 지나서 도서관에 고이 보내드리려고 모시고 나왔다. 하지만 앞 몇 페이지를 읽는 순간 저자 김범석의 필력에 반해서 4시간을 꼬박 읽었었다. 아. 이런 충동성은 자제해야 하는데, 책 앞에서는 특히 안 되네.

"서울대학교 의예과 96학번"임으로 미루어, 김범석 교수는 50세 일 듯하다. 열일곱 살에 아버지를 폐암으로 여의고 가정이 풍지박살나고 사람들에게 배반 당하는 쓴 경험을 했다. 하지만 "이를 악물고," "책상 의자의 방석이 너덜너덜해질"(13) 때까지 공부하여 의대에 들어갔으니 얼마나 정신력이 강한 사람인지 가히 짐작이 간다.
내가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를 손에서 못 놓은 이유, 읽자마자 다만 몇 줄이라도 기록하려는 이유는 사실 이 책의 키워드- #암, #진화 #죽음 #삶 #자아 #피아 #self와non-self-보다도 저자의 학문하는 자세 때문이다. 김범석 교수는 학문, 특히 암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분처럼 느껴질 정도로 소명의식, 암을 골자로 발산형으로 뻗어가는 철학적 사유를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아버지를 잃고 삶의 고통을 처절하게 겪던 고등학교 2학년 소년은 "아버지의 목숨을 앗아간 '암'이라는 병에 대해 알아야만 했다." (13) 처음에는 '암'이라는 실체 모를 적을 향한 증오심으로 공부했으나 공부가 깊어갈수록 그는 '암'이라는 비정상 세포(들)보다는 정상세포, 죽음보다는 삶, 적보다는 나를 성찰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암은 변절된 나(암세포)를 죽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나를 죽여야 내가 사는데, 나를 죽이지 못해서 내가 죽는다.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146쪽
의 인식에 이른다. 이는 단순히 시적 낭만이 아니라 이십여 년 환자를 돌보며 생사生死 과정을 관찰하고 치열하게 연구한 자만이 도달할 수 있는 인식이다. 김범석은
암세포도 처음부터 암세포는 아니었고, 범죄자도 처음부터 범죄자가 아니었다. (257)
내가 이해하건 이해하지 않건 고정불변의 나는 처음부터 없다. 내가 받아들이든 받아들이지 않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살아 있지만 끊임없이 죽어가고 있다... 내 몸은 고정된 실체라기보다 모래성과 같은 존재다. 바닷가에서 조금씩 무너지는 모래성을 조금씩 다시 쌓듯이 내 몸도 없어지고 생기기를 반복하며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317)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라며 "직선이 아닌 죽음"을 이야기한다.
나는 그가 본과 1학년 때, 크리스마스에 또래 스무 살들은 혜화동 대학로에서 연인의 허리를 감싸안고 데이트를 할 때, 창경궁 위로 내려앉는 석양을 보면서 의학논문을 읽고 연구하는 모습을 상상한다.
크리스마스이브에 혼자 실험실을 지키고 있자니 왠지 궁상맞게 느껴졌다...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붉게 물든 창경궁을 바라보며 그렇게 혼자 실험을 했다... 그날 읽던 논문에서 이런 구절을 발견했다.
태아는 암과 같은 생존 전략을 이용한다
이 한 문장은 나를 온전히 사로잡았다... 온몸에 전율이 찾아왔다... 그때, 확신했다. 아, 나는 평생 암을 연구할 팔자인가 보다.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225쪽
전문의료인으로서 학자로서 더 크게 성장한 후에도 김범석의 지적욕구와 소명의식은 점점 더 커져만 갔다. "이름 없는 수많은 연구자가 한 편씩 논문을 내며 자기 어깨를 다음 사람에게 빌려주었고, 그 어깨를 딛고 다음 사람은 또다시 자신의 어깨를 내어"(101) 준 학문공동체에서 그는 더 가열하게 연구했다. 세계의 내로라하는 학자들이 모인 학회 건물 남자 화장실을 상상하게 했던 다음 페이지에서 나는 빙긋 웃었다.
논문에서만 보던 이름들이 내 앞에 걸어 다니고 나에게 말을 걸었다는 사실이 너무 신기하고 기뻤다. 심지어 화장실에서 거장들과 나란히 오줌을 누었다. 오줌을 누며 거장들을 힐끗 보면 생각했다. 저 사람들이 했으면 우리라고 못 할 것도 없지. 우리도 한번 해봐야지.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105쪽
나는 단순히 생의학의 시선에서 "암" 그 자체를 분석하는 데 집중하는 게 아니라, 암에서 출발하여 "자아와 비자아, 삶과 죽음, 내몸과 세계"의 경계를 철학적으로 사유하는 김범석에게 놀랐다. 그리고 이 분이 계속 좋은 글과 말로 자신의 깨달음에 사람들을 동참시켰으면 좋겠다.

김범석 교수에게 배우던 서울대 의예과 학생이 어찌보면 매우 무례한 말을 교수에게 했다. "교수님은 아버지가 암으로 돌아가시고 힘드셨던 경험이 있어서 환자들과 가족의 입장을 누구보다도 잘 헤아릴 수 있어서 좋으시겠어요."(239) 부모님 모두 의사에게다 강남에서 유복하게 자라 불행한 자의 처지를 공감하기 어렵다는 그 학생의 말에 독자로서 나는 다소 불쾌해졌지만, 직접 그 말을 들은 김범석 교수는 오히려 대인배 마음으로 대응한다.
나의 어려웠던 환경과 내가 겪은 고단함이 30년 뒤 누군가에게 부러움의 대상이 되리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뒤집어 보면 좋은 환경은 나쁜 환경이고, 나쁜 환경은 좋은 환경이다.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240쪽
참 좋은 의사, 참 열린 어른이다. 앞으로도 김범석 교수가 좋은 글을 많이 써주시기를 다시금 (독자로서) 부탁드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