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 지루한 듯 느껴지는 책도 어떤 한 문장으로 인해 처음 들었던 생각이 완전히 뒤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다. 회의실에 감도는 좌중의 싸늘한 분위기를 어쩌다 던진 기발한 농담 한마디로 인해 순식간에 반전시켰던 우연한 경험처럼 말이다. 그러한 경험은 우리가 고전이라고 부르는 오래된 책들을 읽을 때 흔히 발생하곤 한다. 어쩌면 우리는 자신의 자아를 흔들고, 시야를 가로막고 있던 뿌연 안개를 가뿐히 날려버릴 몇몇 문장을 발견하기 위해 지루한 시간들을 꿋꿋이 견뎌야 하는지도 모른다. 고전을 읽는 데 들이는 그 지루한 시간을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책에서 발견하는 보석과도 같은 몇몇 문장에 그토록 열광하며 뿌듯한 희열을 느껴 왔는지도 모른다.
"허영심과 오만은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전혀 다른 성질이에요. 허영심은 없는데 자존심이 강한 사람도 있잖아요. 자존심이 자기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라고 한다면, 허영심은 남들로 하여금 자신을 자기 생각대로 평가해 주기를 바라는 욕구인 거죠." (p.34)
그런 측면에서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 역시 고전으로서의 면모를 충분히 갖추었다고 하겠다. 18세기 말을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이 비록 현대인의 가치관과는 조금쯤 어긋난다고 할지라도 대화체 위주의 빠른 전개를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소설을 읽는 재미를 톡톡히 느끼게 하는 것은 물론 대화 속에 숨겨진 작가의 철학과 인생관이 지금의 우리들에게도 생각할 거리를 충분히 제곤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소설은 자칫 우리가 놓칠 수 있는 여성의 섬세한 심리를 베넷가의 네 자매를 통해 잘 표현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보편적인 인간 본성을 유추하고 탐구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을 받는다. 시대가 바뀌어도 인간관계의 기본적인 모습은 별반 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매일 보고 있듯이, 사랑만 있다면 젊은 사람들은 당장 재산이 없다고 해서 약혼을 못 한다거나 하는 일은 거의 없죠. 그러니 제가 유혹을 느낄 때, 주위의 많은 사람들과 다르게 현명한 행동을 하리라는 것을 어떻게 장담할 수 있겠어요? 아니면 그런 유혹을 거부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이나 들겠어요? 그러니 제가 약속드릴 수 있는 것은 성급하게 행동하지 않겠다는 것뿐이에요. 제가 그분의 첫 연인이라고 성급하게 생각하지 않을 거예요. 그분과 함께 있게 되어도 마찬가지일 거예요. 어쨌든 최선을 다할 거예요." (p.216)
사실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은 워낙 유명한 까닭에 소설 원본이 아닐지라도 영화나 연극 또는 대강의 줄거리를 통해 어떤 내용인지 다들 알고 있을 듯하다. 19세기 영국 시골의 지주 계급이었던 베넷가는 딸만 있을 뿐 아들이 없는 관계로 베넷 씨가 죽으면 그의 모든 재산은 친척인 사촌 콜린스에게 상속되고 딸들은 거주할 곳을 잃게 된다. 이런 까닭에 베넷 부인은 다섯 딸의 불투명한 미래를 보장받기 위해 딸들의 결혼 문제에 매달리는데...
베넷가의 둘째 딸인 엘리자베스는 자신을 존중하지 않고 모욕적으로 굴었다는 이유로 다아시의 청혼을 거절하지만 결국 다아시의 편지를 받은 후 자신 역시 그동안 다아시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 차 있었음을 깨닫게 된다. 다아시는 사실 영지의 주인인 데다 연수입도 많은 상류층 계급으로서 누구나 탐낼 만한 신랑감이었다. 이러한 신분이 오히려 엘리자베스의 청혼 거절을 계기로 자신의 오만을 부추기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고치게 된다. 엘리자베스 역시 자신의 편견으로 인해 다아시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고 그를 존중하게 된다. 책에는 다아시와 엘리자베스 커플 외에도 베넷 부부를 비롯한 다양한 커플이 등장한다. 이를 통하여 당시의 시대상과 결혼관을 알 수 있게 되지만 시대에 상관없이 책을 읽는 독자들 역시 가장 이상적인 결혼은 어떤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엘리자베스는 다아시 씨가 평소와는 다르게 몹시 어색하고 초조해하는 모습을 보며 지금 이야기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는 잠시 머뭇거리긴 했지만 그날 이후 자신의 감정에 중요한 변화가 있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으며, 지금까지 변함없이 자신을 생각해 준 그의 마음에 깊은 감사와 기쁨을 느낀다고 말했다. 엘리자베스의 대답을 들은 다아시 씨는 지금껏 한 번도 느껴보지 못한 벅찬 행복감에 휩싸였다. 그는 기쁨에 겨워 열정적이면서도 침착하게 자신의 감정을 쏟아냈다. 그의 모습은 열화와 같은 사랑에 빠져 버린 남자의 바로 그 모습이었다." (p.532)
내가 이 소설을 처음 읽었던 건 대학 1학년 때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의 나는 이제 막 이성에 눈을 뜨기 시작한 풋내기 대학생이었고,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비를 벌어야만 했던 힘든 나날을 보내던 시기였다. 잠깐의 여유도 허락되지 않을 만큼 정신없이 바빴던 시기에 읽었던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은 삶의 낭만과 대리만족을 느끼게 해 주었던 귀한 책이었다. 시간을 한참이나 건너뛰어 다시 읽게 된 <오만과 편견>. 아스라한 추억들이 손에 잡힐 듯 가까운데 나는 벌써 은퇴를 생각해야 할 나이에 접어들었다. 그 시절에 나는 책을 잡자마자 단숨에 읽어 내려갔지만, 지금은 한 페이지 한 페이지에 눈길이 가는 까닭에 읽는 속도는 마냥 더디고 늘어지기만 했다. 어쩌면 나의 걸음도 지난 세월만큼이나 느려졌는지도 모른다. 그에 비례하여 낭만은 멀어지고, 셈은 분명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간관계에 존재하는 '오만과 편견'이 세월에 비례하여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졌다고는 말할 수 없다. 다시 읽게 된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이 가슴에 남았던 것도 그런 이유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