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도담서림(道談書林)

  여행 하면 즐거움을 떠올린다. 설렘. 미지의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기대. 망설임. 


  그런데 정호승 시의 여행은 그러한 것들과 거리가 있다. 정호승 시에서 여행은 삶의 진리를 찾아가는 구도의 여정이다.


  결코 쉽지 않은, 그러나 가야만 하는 길. 하여 이 시집을 읽으면서 삶은 여행이라는 말을 생각한다. 가볍게, 즐겁게, 조금은 망설이지만 그럼에도 기대가 더 많은 여행이 아니라, 자신의 전존재를 걸고 나아가는 구도의 길.


  시인의 말에서 '시는 내 인생이라는 여행의 동반자이자 스승이다'(125쪽)라고 하고 있다. 그렇다면 시는 인생을 바라보는 눈이자 마음이 된다.


시인은 '슬픔'을 노래하는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슬픔, 낮은 곳, 어려운 곳으로 나아가는 과정, 그것이 여행이다. 하여 여행은 자신을 걸고 슬픔으로 가는 과정이 된다.


슬픔에게 말을 거는 과정을 넘어서 이제는 슬픔과 하나되기 위해 가는 길, 그것이 여행이다. 이러한 여행을 함께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겠지만, 이 여행은 궁극적으로는 홀로 가야 한다.


자신이 홀로 짊어지고 가야 할 여행, 이것이 곧 삶이다. 함께하지만 홀로 갈 수밖에 없는 삶. 


그래서 여행을 하면서 읽어야지 했던, 제목만 보고 시집을 골랐던 선택이 잘못되었음을, 이것은 여행을 하면서 읽을 시집이 아니라, 차분히 자신을 들여다볼 시간을 갖고 읽을 시집이라는 생각.


         여행


사람이 여행하는 곳은 사람의 마음뿐이다

아직도 사람이 여행할 수 있는 곳은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의 오지뿐이다

그러니 사랑하는 이여 떠나라

떠나서 돌아오지 마라

설산의 창공을 나는 독수리들이

유유히 나의 심장을 쪼아 먹을 때까지

쪼아 먹힌 나의 심장이 먼지가 되어

바람에 흩날릴 때까지

돌아오지 마라

사람이 여행할 수 있는 곳은

사람의 마음의 설산뿐이다


정소승, 여행, 창비. 2013년. 초판 3쇄. 10쪽


이런 내용과는 좀 다를지 모르지만, 이 시집에 실린 '사과'(44쪽)라는 시도 역시 여행이란 이러해야 한다고 하는 듯한 생각을 했다.


구족회화 작가들이 그린 사과 그림이 화랑에서 나와 행상을 하는 청년에게 건네져 많은 사람들이 사 먹을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의 시. '그것이 그들 사과가 가장 원하는 일이다'('사과' 마지막 행. 44쪽)라고 하고 있으니...


사과도 이러한 여행을 바라는데, 사람의 여행 역시 그러해야 하지 않겠는가.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