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22.


《오역하는 말들》

 황석희 글, 북다, 2025.5.30.



서울 까치산나루 길손집에서 새벽을 맞이하는데, 날개(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소리가 다 들린다. 서울로 바깥일을 올 적이면 하루 내내 귀가 멍하다. 어디에서나 귀가 쉴 틈이 없이 시끌소리에 북새소리가 넘친다. 서울은 한여름에 매미소리가 귀를 찢을 만큼 컸다고 느끼는데, 어제오늘은 매미소리를 아예 못 듣는다. 이제 서울매미는 깃들 나무뿌리나 숨쉴 나무줄기가 거의 사라졌을 만하다. 어제 장만한 책짐을 등과 가슴에 안고서 전철을 갈아탄다. 숭실대 옆 〈라이브러리 두란노〉에 닿는다. 찬바람이(에어컨)에 길들면서 무엇을 잊고 잃는지 짚으면서 ‘섬섬꽃’ 모임을 꾸린다. 《감자를 먹으며》라는 그림책이 들려주는 바란, 권정생 님이 쓴 《내가 살던 고향은》이라는 책이란, 언제 어디에서나 스스로 숲이 되는 길이라고 할 만하다.


 《오역하는 말들》을 곱씹는다. 지난달에 부산마실을 하면서 장만해서 읽었는데, 우리말씨로는 ‘말들’이라 안 한다. 우리말은 영어가 아니니까. 우리말씨로는 ‘비들·눈들·풀들·구름들·잎들’이라 안 한다. 우리말결로는 ‘비·눈·풀·구름·잎’일 뿐이다. “잘못 옮긴 말”을 보면, 글쓴이 마음을 못 읽을 때도 있지만, 무엇보다 우리말과 우리말씨와 우리말빛을 영 못 읽은 탓이 더 크다. 우리가 쓰는 말은 우리 들숲메바다를 바탕으로 우리 해바람비와 풀꽃나무를 바탕으로 태어났다. 이웃나라가 쓰는 말은 이웃 들숲메바다를 바탕으로 이웃 해바람비와 풀꽃나무를 바탕으로 태어난다. 이웃말(외국말)은 솜씨있게 다루는 듯해도, 우리말에 감도는 우리 살림살이나 숨결이나 바람이나 빛을 들여다보려고 하지 않으면, 그저 언제까지 “엉뚱히 옮기는 말”에서 맴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