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의 뇌에서 도파민 수치를 높이면 쥐는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보상을충동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닥치는 대로 먹이를 먹고 눈에 보이는 어떤 개체든 짝짓기를 하려 한다. 반면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면 먹는 행위를 멈추고 충동성이 가라앉으며 만족을 지연하려 한다. - P105
선충의 단순한 뇌에서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첫 번째 기능, 적어도 아주초기의 기능을 엿볼 수 있다. 선충의 뇌는 자기 주변에서 먹이가 감지되면 도파민을 자기 내부에서 먹이를 감지하면 세로토닌을 분비한다. 도파민이 ‘근처에 뭔가 좋은 것이 있음을 알리는 화학물질이라면 세로토닌은 ‘뭔가 좋은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리는 화학물질이다. 도파민은 먹이를 찾아나서게 만들고, 세로토닌은 일단 먹이를 먹고 나서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P105
도파민과 보상 사이의 이런 연결고리 때문에 도파민에 ‘쾌락의 화학물 pleasure chemical‘이라는 잘못된 이름이 붙었다. - P106
이런 모습은 사람에게서도 확인됐다. 정신과의사 로버트 히스Robert Heath는1960년대에 논란이 있는 실험들을 진행하면서 환자의 뇌에 전극을 심고 버튼을 누르면 환자 스스로 도파민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게 했다. 그러자 환자는 재빨리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기 시작했다. 한 시간에 수백 번씩 19 누를 때도 많았다. 환자가 ‘좋아서‘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히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환자는 버튼을 그렇게 자주 누른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 느낌이 마치 ・・・ 성적오르가슴을 느끼려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그 오르가슴에 도달할수 없었다고 했다. 그리고 그렇게 사주, 때로는 미친 듯이 버튼을 누른 것은 그절정에 도달하기 위한 시도였다고 했다.
도파민은 쾌락을 느끼고 있다는 신호가 아니다. 이는 앞으로 느낄 쾌락을 예상할 때 나오는 신호다. 히스의 환자들은 쾌락을 경험하고 있었던 것이아니다. 오히려 버튼을 눌렀을 때 생기는 엄청난 갈망을 충족시킬 수 없다는사실에 극심한 좌절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베리지는 도파민이 대상에 대한 ‘좋아함iking‘이 아니라 ‘원함wanting‘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했다. 도파민의 진화적 기원을 생각하면 이 결과를 이해- P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