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마의 산
린 마굴리스의 내부공생설, 험난한 역정


세포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도 그러한 구조 중 하나다. 식물과 조류에는 동물과 달리 한 가지 구조가 더 있는데,18 광합성이 일어나는 엽록체가 그것이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1MMyLPqHKWnnir8t8

1967년 미국의 생물학자 린 마굴리스Lynn Margulis는 생명체의 초기 진화에서 공생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이론이 불러온 논쟁에서 이 이론을 강력히 지지했다. 마굴리스는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들은 서로 다른 유기체들이 합쳐지면서 ― 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진핵생물은 단세포 유기체에 삼켜진 박테리아가 그 유기체 안에서 공생을 시작하면서 발생했다. 미토콘드리아가 바로 그런 박테리아의 후손이다. 엽록체는 초기 진핵세포가 삼킨 광합성 박테리아의 후예다. 인간을 포함해 그 후로 이어진 모든 복잡한 생명체의 진화 과정은 길고 긴 ‘낯선 자의 친밀감’의 서사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kpsYWgq5YHPYY3SF6

마굴리스의 논문 원고는 자그마치 열다섯 번이나 퇴짜를 맞은 후에야 겨우 채택되었다. 논문이 출판된 후, 마굴리스의 논문도 그 이전의 비슷한 논문들이 당했던 것처럼 격렬한 반대론에 부딪쳤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9R5Pc5GDWrWgjuc46

내부공생설은 생명의 역사를 다시 썼다. 21세기 생물학계의 여론에 가장 극적인 변화였다고 할 수 있다.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 이론이 ‘비정통에서 정통이 될 때까지 포기하지 않고 고수한’ 데 대해 마굴리스에게 찬사를 보냈다. “내부공생설은 21세기 진화생물학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이며, 나는 린 마굴리스의 흔들림 없는 용기와 열정에 큰 감명을 받았다.” 철학자 대니얼 데닛은 마굴리스의 이론을 “지금까지 내가 만난 가장 아름다운 아이디어였다”고 말하면서 마굴리스를 ‘21세기 생물학의 영웅 중 한 사람’이라고 칭송했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bcDVWFjWdJ3wFCLM8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