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7권> 까지 읽었다.  

개학 하기 전까지 다 읽는 게 목표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

조선왕조를 보면서 새삼 아이러니를 느낀다. 

 

어떤 점이냐면  

성군 아들 중에서 폭군이 나왔고 폭군의 아들에게서 성군이 나왔다는 점이다 

세종의 아들 수양대군이 바로 조카를 죽인 후 세조가 되었고, 

세종 이후 태평성대를 이룬 성종은 또 그 세조의 아들이었다. 

그 성종의 아들이 바로 조선왕조 최대의 폭군,암군인 연산군이라는 점이다.  

27대 조선 임금 중의 모든 경우가 다 그렇지는 않고 

이들의 예가 우연히, 아니 돌연변이적일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부전자전. 좋은 부모 밑에 좋은 자녀 나온다는 통념을 깨고 있어서 읽는 내내 

왜 이런 현상들이 벌어질까 의문점을 만들어냈다. 

어떻게 세조 같은 아버지 밑에서 세종이 나올 수 있었을까? 

어떻게 성종 같은 아버지 밑에서 연산군이 나올 수 있었을까? 

자식은 부모의 유전 형질을 이어받아 어느 정도 그 성격을 타고 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들은 한마디로 돌연변이처럼 부모의 성격이 아닌 정반대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게 어떤 의미에서 

인간은 유전적인 것보다 환경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증거가 되기도 하는 듯하다. 

(아님 이들은 어머니쪽 유전자를 물려 받았을까?) 

연산군의 말대로 

아버지 성종이 대신, 대간들에게 일일이 고하고, 청하고, 의논하는 것에 답답함을 많이 느꼈다고 한다. 

그래서 본인이 왕위에 오르면 절대 권력을 가지겠다고 결심을 다졌고, 

무지 실천을 잘하였다. 

 

연산군까지 살펴 보면서 

또 한 가지 느낀 것은 

100% 성군도 없고, 100% 폭군도 없다는 점이다. 

물론 연산군을 보면 99% 이상 폭군이지만 그것도 어찌 보면 중종 때 사관들이 중종반정을 합리화, 정당화시키기 위해  

상당부분 연산군을 폄하한 부분이 있을 것이기에 연산군도 100% 나쁜 왕이라 할 수는 없겠다.  

그토록 성군이라 하는 세종도 

4군과 6진을 개척한 후 사민정책을 하느라 백성들의 원성이 자자했다는 이야기는 

모든 지도자가 100%  백성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한다.  

다만 지도자가 누구를 두려워하고, 누구를 위하여 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평가는 달라진다고 본다.  

연산군처럼 자신만을 위한 정책을 한 지도자는 후대에 폭군으로 평가되는 것이고, 

세종처럼 백성을 위한 정책을 하면 성군으로 존경을 받게 되는 것이다.

 

또 하나 

조선왕조가 왕의 권력도 굉장히 컸지만 그것과 비견하여 신하의 권력 또한 막강하였다는 점이다. 

예전에는 왕이 있던 시대니깐 왕만이 절대 권력을 가지고 있겠지 막연하게 생각했었는데 

실록을 읽어 보니 생각보다 왕이 신하의 눈치를 굉장히 살폈고, 

왕과 신하의 권력이 팽팽하다는 것이 전반적인 느낌이었다.  

 

근데 이 책 가지고 리뷰를 쓸 수 있으려나? 

아무튼 아주 흥미롭게 잘 읽고 있다.  

때마침 요즘 역사극을 많이 하던데 

다 볼 수가 없어서 <무사 백동수>만 보고 있다.  아들이 칼 싸움 하는 거 좋아해서리.. 그리고 유승호 나오잖아!!! 

<공주의 남자>도 세조편이라서 꼭 챙겨 보고 싶긴 한데 

드라마에 빠지면 안 돼~~~

  

 

 

 

 

 

 

 

표지 디자인도 참 세련됐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찬샘 2011-08-18 15: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몰랐는데, 우리 학교 도서관에 쫘악 꽂혀 있더군요. 책이 어디나 널려 있다니까요. 단지, 부지런함이 그에 못 미친다는 것. 부지런히 읽는다고 읽었지만, 아이들 그림책 정도밖에 소화 못했는데 개학이 코앞이네요.
 
싫다고 말해도 괜찮아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3
코르넬리아 프란츠 지음, 이주실.조주현 옮김, 슈테파니 샤른베르크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파올라는 엄마와 단둘이 사는 꼬마 숙녀이다. 

엄마가 위킹맘인 관계로 이웃에 있는 클레 할아버지 집에서 엄마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데  

언젠가부터 파올라는 클레 할아버지가 자신에게 수염을 갖다 대고 무릎에 앉히는 느낌이  싫었다. 

그 느낌이 싫다고 할아버지께 말하고 싶어도 할아버지가 싫어하실까봐 혹시나 그 말을 했다가 자신을 안 돌봐주시기로 한다면 

엄마가 곤란해질까 봐 말도 못하고 혼자 끙끙 앓는다. 

엄마에게 " 할아버지 집에 가기 싫어요. 혼자 집에 있고 싶어요." 라고 말해보지만 

엄마는 여전히 속내용을 모른 채 여전히 할아버지 집에 파올라를 맡긴다. 

파올라는 할아버지가 자신에게 뽀뽀하거나 만졌을 때의 그 싫은 느낌을 클레 할아버지께 말할 수 있을까? 

엄마는 파올라의 고민을 언제쯤 눈치챌까?  

  

예전에 읽었던 <빨간 모자 울음을 터트리다>책이 떠올랐다. 

그 책에 비하면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씌어진 성범죄 예방 책이다. 

빨간 모자에서는 친할아버지가 성범죄자였는데 

이 책에서는 이웃집 할아버지이다. 

할아버지의 말을 들어 보면 자연스런 스킨십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어찌 되었건 중요한 건 파올라 자신이 그 스킨십이 싫었다면 그건 분명 <싫다>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고, 

할아버지는 그 행동을 당연히 중지해야 하는 것이다.  

저학년 어린이들에게 좀 더 쉽게 성범죄에 대해 알려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요즘 학교에서도 성범죄 예방 교육을 꼭 하기는 하지만 

이런 구체적인 상황을 가지고 점검을 해보는 것도 정말 필요할 것 같다. 

누가 내 몸을 만졌을 때 싫은 느낌이 온다면  싫다고 말하는 것 

그것 또한 우리가 갖춰야 할 진정한 용기임에 틀림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1-08-18 0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 이건 <빨강모자 울음을 터트리다> 어린이판 같은 책이네요.
그럼요~ 당연히 '싫어요!'라고 의사표시를 하게 해야죠.
<슬픈 란돌린>보셨나요?
그 책은 그림도 너무 리얼해서 아이들이 정확히 인지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수퍼남매맘 2011-08-18 0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 책 제목이 <빨간모자 울음을 터트리다>가 맞아요. <빨간모자>글씨만 크게 써져 있어서 그것만 기억하고 있었네요. <슬픈 란돌린>은 너무 사실적이라서 아직 못 보고 있어요. <빨간 모자>도 참 읽기가 힘들더라구요.
 

내가 너의 어둠을 밝혀줄 수 있다면
빛 하나 가진 작은 별이 되어도 좋겠네
너 가는 곳마다 함께 다니며 너의 길을 비추겠네

내가 너의 아픔을 만져줄 수 있다면
이름없는 들에 꽃이 되어도 좋겠네
눈물이 고인 너의 눈 속에 슬픈 춤으로 흔들리겠네

그럴 수 있다면 그럴 수 있다면
내 가난한 살과 영혼을 모두 주고싶네

내가 너의 사랑이 될 수 있다면
노래 고운 한마리 새가 되어도 좋겠네
너의 새벽을 날아다니며 내 가진 시를 들려 주겠네

그럴 수 있다면 그럴 수 있다면
이토록 더운사랑 하나로 내 가슴에 묻히고 싶네
그럴 수 있다면 그럴 수 있다면
내 삶의 끝자리를 지키고 싶네

내 사람이여~ 내사람이여~
너무 멀리 서 있는 내 사람이여~~~!!!!!!!!
 

 

엊그제 <나는 가수다>다 원년 멤버였더 YB가 이 노래를 끝으로 명예졸업은 하지 못하고 탈락하였다. 

명예졸업을 목전에 두고 탈락한 거라서 더 안타깝지만 

좋은 노래를 가지고 우리 곁으로 돌아올 거라 믿는다. 

어제 S 방송사에서 윤도현이 출연하여 유심히 봤는데 보면 볼수록 사람 괜찮더라! 

그러니깐 김제동이랑 친하게 지내겠지. 

경향신문에도 <김제동의 똑똑똑>에 윤도현 인터뷰가 실렸다. 

한국의 대표적인 소셜테이너 윤도현, 김제동 그동안 알게 모르게 마음 고생 많았는데 (어제 방송을 보니 그렇더라)

비상하길 바란다. 

탈락하면서 너무도 시적인 가사를 지닌 멋진 노래를 알게 해 줘서 감사하다. 

작사가가 바로 백창우 씨네. 

이동원씨가 부른 것도 좋고, 김광석 씨가 부른 것도 좋다. 

경연 중에 울컥해지는 윤도현의 솔직함이 좋았다.  

이런 가사에 어느 누가 무덤덤하겠는가!!! 

다음에 노래방 갈 일 있으면 불러 봐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들이 제일 먼저 여름 감기에 걸려 지금까지 치료를 받고 있는데 

그 후에 아빠, 엄마, 드디어 오늘 누나까지 다 전염되어 

가족 모두 감기 소굴에서 살고 있다. 

여름 감기가 원래 이렇게 지독한가? 

아들도 3주 이상 감기가 가고 있고, 

아빠도 무지 심하고, 

딸도 심하다.  

이렇게 온 가족이 모두 아픈 것은 처음이다.

나도 아픈데 가족들 간호하랴, 세 끼 챙겨 먹일랴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느라 도서관연수도 다 취소하고, 

대학 친구들 모임에도 못 나가고, 

이번 여름은 날씨도 구질구질한데 

가족 모두 골골하니 정말 신경이 예민해지고, 급우울 모드로 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1-08-15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온가족이 여름감기로 고생하는군요.
따뜻한 물(차)을 자주 마시면 회복되는데 도움이 되던데...

수퍼남매맘 2011-08-16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지 않아도 도라지 우린 물을 계속 공급해 주고 있는데 지독하네요. 님도 조심하세요. 목감기로 시작했다가 나중에 기침이 심해지네요.
 
귀서각 - 한밤에 깨어나는 도서관 보름달문고 43
보린 지음, 오정택 그림 / 문학동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귀서각>이라는 책 제목과 <보린>이라는 작가명에 귀신에  홀린 듯 이 책을 집어 들었다. 

한밤에 깨어나는 도서관 귀서각 

제목만 들어도 으시시해지지 않는가?   

보린 이라는 이름은 <뿔치>라는 책으로 푸른문학상을 수상한 탓에 알고 있었고, 하도 이름이 특이해서 

(보리, 보림 출판사가 딱 떠오름) 기억하고 있었는데 

보린 이라는 필명(?)의 뜻을 보니 더 매력적이다.  기울 보에, 비늘 린 . 즉 하나하나 비늘을 깁듯이 글을 쓴다는 의미란다.  

 

재미? 

우리 딸이 나보다 이 책을 먼저 차지하고 단숨에 읽은 걸로 보아 아주 재미있다. 

말더듬이에다 조손가정에서 자란 주먹대장 구오는 어느 날 자신의 할아버지가 하고 있는 오래된 책방에 나타난 

할아버지 친구 송영감에게 자신이 겁쟁이가 아니란 것을 증명해 보이기 위해 송영감의 도서관에서 책을 정리해주기로 한다. 

송영감을 따라 간 곳은 오래된 기와집에 왠지 귀신이 나올 것 같은 분위기의 도서관인데 

안으로 들어가 보니 생각보다 꽤 넓었다. 

들어온 것은 구오의 의지대로 들어왔지만 나가는 것은 귀서각지기가 문을 열어줘야 나갈 수 있다는 걸 모른 구오. 

귀신들이 나올까 조마조마한 구오에게 진짜 귀신이 나타나 책을 읽어달라고 조른다. 

책을 무지 싫어하는 구오가 귀신에게 책을 읽어 줄까? 

 

구오는 할아버지가 책방을 하는 데도 책을 무지 싫어한다. 

책을 싫어하는 이유때문일까 ? 말까지 더듬거려 친구들의 놀림을 받자,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친구들에게 센 주먹을 자랑하여 스스로 따가 되어버린 한 마디로 귀신 같은 존재가 바로 구오다.  

구오와  제이, 책귀신들, 야광귀신,호랑이 귀신, 삼 신령, 처용, 지귀 등의 등장 인물이 귀서각에서 펼쳐 가는 

으시시한 모험 이야기가 짜임새 있게 전개된다. 

구오가 귀서각에서 만난 유일한 인간 제이와 함께 호랑이 귀신과 맞서서 귀서각을 탈출하기 위해 마지막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은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귀서각지기의 실체가 밝혀지는 순간 작가의 역량을 새삼 실감할 수 있었다. 

단순히 책 싫어하는 구오가 귀서각의 경험을 통해 책을 좋아하게 된다는 구조였다면 시시했겠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처용 설화까지 이야기 속에 담아 내며 

구오를 비롯한 상처를 가지고 있는 자들이 어떻게 그 상처를 치유받게 되는지 

귀신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이야기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될 것이다.

  

귀신들에게 책을 읽어 줄 때의 규칙 

1.귀신이 원하는 책을 읽어 줄 것  

2. 감정을 넣지 말고 읽어 줄 것 

3. 귀신의 얼굴빛을 잘 살필 것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1-08-15 2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도서관의 귀신이라니, 순례자의 책에 나올듯한 소재로군요.
보린 작가 상상력과 필력이 대단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