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레이] 싱 스트리트 : 스틸북 한정판 풀슬립 B (2disc: 본편BD + OST) - 부클릿(40p)+명대사 엽서(7종)
존 카니 감독, 퍼디아 월시 필로 외 출연 / SM LDG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80년대 감성.


추천받지 않았더라면 이런 영화가 있는 줄도 몰랐을 것 같다. 좀처럼 레이더망에 들어오지 않았을 것 같은, 80년대 감성의 음악 영화, 그것도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사실 이렇게 이야기하지만 80년대 생인 나로서도 그 시절은 아주 어린 시절 어렴풋하게 인상만 남아있던 시기다. 요새는 좀 더 젊은 세대도 몇몇 드라마로 그 시절 감성이 무엇인지 살짝 엿볼 수 있기도 하지만.


그런데 1980년대 아일랜드의 분위기는 또 우리나라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면이 많다. 우선 정치적으로 불안한 시기였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우리나라는 전두환 군부독재로 80년대가 시작되었다면 아일랜드는 이웃한 잉글랜드와의 정치적인 대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 유명한 IRA 같은 무장 단체들이 폭력적인 투쟁을 활발히 하던 시기이기도 하고.


하지만 당시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3저 호황기와 맞물려 국가주도적 경제정책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반면 아일랜드는 극심한 경제침체로 유럽의 병자라고 불릴 정도였으니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크게 분위기가 달랐던 셈. 영화 속에서도 주인공들은 정체되기만 하는 아일랜드를 떠나 런던으로 가려고 한다.


시대물답게 그 시절의 배경과 복장, 그리고 음악에 공을 많이 들였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전반적으로 퇴락한 분위기의 건물들과 거리 풍경, 그리고 그런 분위기를 앞장서 깨고 싶다는 것처럼 보이는 조금은 과장된 화장 같은 것들.





음악영화.


역시 이 영화는 음악을 주요 소재로 하고 있는 영화다보니, 감독도 이 쪽에 많이 집중한 모양이다. 우선 감독인 존 카니의 적작 중에 “원스”나 “비긴 어게인” 같은 어느 정도 성공한 음악영화가 있기도 했으니, 이 분야에 대해 일가견이 있다고 봐야 할 듯.


찾아보니 영화 속 사용된 밴드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 실제로 80년데 밴드활동을 했던 작곡가에게 곡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덕분에 단순히 리메이크가 아니라 정말 이런 밴드가 있었나 싶을 정도의 실감나는 노래들이 삽입될 수 있었다. 뭔가 막연한 향수 같은 걸 불러일으킬 수 있는 그런.


단지 새로운 노래만이 아니라 그 시절 널리 불렸던 여러 곡들도 들어있다고 한다. 이쪽 노래들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또 하나의 관람 포인트가 될 수도 있을 듯.





청춘.


영화의 주인공들이 고등학생이라는 설정이다. 주인공 코너는 이혼 위기의 가정의 둘째 아들로, 경제적인 문제로 빈민가의 학교로 전학을 가게 된다. 흥미로운 건 이 학교가 가톨릭 계통의 학교라고 묘사되는데, 프랑스어 수업 시간에 술을 홀짝이며 라틴어를 가르치고 있는 늙은 교사나, 강압적으로 학생들을 통치하려는 교장 모두 신부들이다.(사실 이 동네에서는 가톨릭 계통 학교의 악명이 일종의 밈처럼 작용할 때가 많다.)


암담해 보이는 가정과 학교에서 무엇 하나 희망을 찾기 어려울 것 같았지만, 우연히 만난 라피나를 보고 그녀에게 잘 보이기 위해 충동적으로 밴드를 결성하기로 하면서 모든 게 달라지기 시작한다. 그야말로 청춘이다.


영화는 그렇게 사랑과 음악이란 두 개의 코드로 진행을 해 나가는데, 음악 쪽은 계속 발전해 나가는 듯하지만, 사랑사업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10대의 연애라는 게 대개 그렇듯 미숙하고, 예측하지 못할 만한 상황들이 늘 일어나곤 하니까. 그런 것 때문에 흔들리는 모습들, 그리고 영화의 결말부에 나오는 모험, 그리고 배경으로 깔리는, 끊임없이 지금 도전하라고 외치는 노래가사까지.. 조금은 유치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또 그런 게 젊음인 것 같기도 하고.


사랑과 꿈으로 얼마든지 현실을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은, 그런 나날들을 떠올리며 유쾌하게 볼 수 있었던 영화. 아, 조금씩 세련되어져 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는 것도 재미 포인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