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페크pek0501의 서재




우리 딸에게


“엄마 어디야?”

네가 초등하교 5학년인 열두 살이었을 때 내가 너에게서 가장 많이 받았던 핸드폰 문자 메시지는 “엄마 어디야?”였다. 내가 시장에 가거나 친구 모임에 가서 집에 없는 날이면 너는 학교에서 돌아와 내가 없음을 알고 그런 문자를 내게 보내곤 했다. 내가 어디에 있다고 말하면 너는 “언제 와?” 하는 문자를 보내고 나를 기다렸다. 집에 엄마가 없으면 허전하게 느껴졌던 모양이다. 아마도 네가 5학년 때 처음으로 핸드폰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너의 주된 관심은 엄마였으니 엄마가 집에 있느냐 없느냐 하는 문제가 중요했을 터. 그래서 핸드폰을 갖게 되자 내게 그런 문자를 보냈으리라. 그때까지만 해도 너는 내 눈에 애기였다. 언제 커서 집에 엄마가 없어도 찾지 않을까, 언제 커서 나로부터 독립이 될까. 이런 생각을 하곤 했다.  


그러던 네가 중학생이 되고부터 돌변하였다고 나는 기억한다. 내가 외출을 해도 “엄마 어디야?”라는 문자 메시지가 오지 않았다. 엄마를 애타게 기다리던 어린애가 아니라 집에서 혼자서도 잘 노는 중학생 소녀가 된 듯했다. 그때 난 너에게도 너의 세계가 생긴 거라고, 드디어 엄마와 정신적으로 분리되어 독립된 세계를 가진 거라고 여겼다. 


너에게 라디오를 듣는 취미가 생긴 것이 그 무렵이었을 것이다. 라디오가 친구가 되어 주니 엄마의 외출로 불편하지도, 허전하지도 않은 것 같았다. 중학교에 들어가 새 친구들을 사귄 것도 한몫했겠다. 이제 엄마의 존재는 너의 삶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가 되었다. 이 사실이 기뻤다. 결혼한 여성은 출산과 육아로 인한 부담을 갖고 있기에 아이가 더 이상 엄마를 찾지 않으면 마음이 편해지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으니.  


돌아보면 엄마를 찾던 그때가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지금은 반대로 내가 너를 찾으니 말이다. 밤이 되면 너의 귀가를 기다리는 신세가 되어 “일이 언제 끝나니?”, “언제 와?” 하고 내가 너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곤 한다. 우리 모녀 관계에서 기다렸던 자는 기다리게 하는 자가 되고, 기다리게 했던 자는 기다리는 자가 되었다. 서로 입장이 바뀌었다. 


엄마 타령이나 하던 아이가 어느새 성인이 되었고 게다가 노력 끝에 절실히 바라던 한 전문 분야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보니 자랑스럽고 대견스럽다. 너에게 용돈을 주었던 내가 오히려 너에게 용돈을 받고 있는 요즘 자식을 키우는 보람을 느낀다. 자식을 키우는 보람이 이런 것이구나 싶다. 하고 싶은 일을 즐겁게 하며 사는 너는 나를 흐뭇한 미소를 짓게 한다. 그리하여 너는 내게 고마운 딸이다. 


너의 포부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며 사는 너를 항상 응원한다. 사랑하는 우리 딸 파이팅!  

                        

                                                                 2025년 5월 27일 엄마가.




........................

한 달 전쯤 딸에게 내가 쓴 편지 내용이다.  

딸 생일날에 생일을 축하한다며 축하금을 주었는데 딸은 받지 않겠다며 

그 대신 자신에게 편지를 써 달라고 해서 쓰게 된 것이다.  

노트북으로 쓰기 시작하여 편지지에 옮겨 적고 편지 봉투에 넣어 딸에게 전했다.

참고로 남편도 똑같은 부탁을 받아서 딸에게 편지를 써서 주었다.

딸은 힘들 때마다 남편과 내가 준 편지를 읽겠다고 말하며 기뻐했다.  

이런 글도 쓴 적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여기에 올린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