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2025년 6월 27일(금) 19:30
장소 : 경동교회
프로그램 및 연주
1) 송은주 (하프시코드)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C장조 Kk.420
2) 강주호 (하프시코드)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D단조 Kk.213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D장조 Kk.443
3) 조남수 (하프시코드)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F장조 Kk.437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F장조 Kk.438
4) 이경희 (하프시코드)
- 리게티, 헝가리풍 파사칼리아 (1978)
- 리게티, 헝가리안 록 (샤콘느) (1978)
5) 우지안 (포르테피아노)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E장조 Kk.380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A장조 Kk.533
6) 황문희 (하프시코드)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A단조 Kk.149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A장조 Kk.39
7) 하연우 (하프시코드)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D단조 Kk.9
- 리게티, 연속체(Continuum) (1968)
8) 윤철희 (포르테피아노)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C장조 Kk.132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F장조 Kk.17
-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D단조 Kk.141
9) 강은수 (하프시코드), 송은주 (포르테피아노)
- 라모, 무언극(La Pantomime)
- 라모, 이방인(Les Sauvages)
* 세줄평
실연으로 처음 듣는 하프시코드와 포르테피아노 사운드다. 두 번 놀랐는데, 하프시코드 소리는 예상보다 작아서 포르테피아노 소리는 의외로 풍성해서이다. 아기자기한 맛은 하프시코드가 낫지만 포르테피아노가 더 친숙하게 다가온다. 우지안과 윤철희 연주가 기억에 남는 까닭이다. 두 악기의 특성은 마지막 라모의 곡 이중주에서 두드러진다. 리게티의 작품은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