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츠나구 - 죽은 자와 산 자의 고리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김선영 옮김 / 문학사상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츠나구 -> 연결하다, 이어주다 라는 뜻이라고 해요.
작가가 이 말을 삶과 죽음을 이어주는 사자라는 뜻으로 사용했다고 하네요.
예전에나 지금이나 우리나라도 산 자와 죽은 자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특별한 존재인 무당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아마도 이런 뜻으로 사용되지 않았나 싶어요.
책을 보면 크게 다섯 가지의 이야기로 나뉘어져 있는데, 그것이 마치 따른 이야기 같기도 하지만 하나의 이야기처럼 이어지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면 이렇게 이야기를 씨줄과 날줄처럼 잘 얽히고 설키게 하는 것을 잘하는 것이 바로 작가의 재능이 아닐까요.
그런 면에서 보면 마치 하나의 잘 짜여진 이야기로 읽는 사람들을 이야기 속 세상에 푹 빠져들게 하는 것 같아요.
이야기는 "아이돌의 본분", "장남의 본분", "단짝의 본분", "기다리는 자의 본분", '사자의 본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사람들은 정말 가슴 속에 꼭 한 번 만나보고 싶은 사람이 있잖아요.
피천득 선생님의 인연에서는 만나지 않았더라면 더 좋았을 거라고 하기도 하지만, 죽은 사람과의 재회가 가능하다면 그것도 단 한 번, 단 한 사람과 재회를 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날까요?
돌아가신 부모님? 남편과 아내? 연인? 아이들?
사랑하는 사람의 마지막을 지켜보지 못했다는 것만큼 더 가슴 아프고 후회되는 일이 있을까요?
그 잃어버린 마지막 순간을 찾으려는 사람들.
돌연사한 아이돌, 암으로 돌아가신 어머니, 화해하지 못한 친구, 실종된 약혼녀.
살아남은 사람의 슬픔이랄까? 떠나간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랄까?
보름달이 뜨는 날. 죽은 자와 산 자가 만나는 것.
츠나구를 통해서라도 간절히 원하는 이들의 사연은 무엇일까요?
왜 그들은 이미 떠나간 사람들을 그토록 한 번이라도 보고자 그를 찾아가는 건지.
아이돌을 만나고 싶은 20대의 여자, 어머니를 보고 싶어하는 아들, 친구를 만나고 싶은 여고생, 약혼녀를 보고 싶은 남자.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간절한 그리움과 사랑이라는 거에요.
이 책을 읽으면서 만약 내가 죽는다는 그토록 나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랑하는 사람이 존재할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비록 삶과 죽음이 서로를 갈라놓고 있지만 자신을 잊지 않고 기억해 준다는 것.
그것만큼 감동적인 일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