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디를 이기는 한마디
장원철 지음 / 카르페디엠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살다보면 사람들과 많이 만나게 되고 수많은 관계를 맺게 되는 게 그런 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바로 대화인 것 같아요.
대화를 통해서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우리들은 말을 잘하는 사람들이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을 보게 되잖아요.
굳이 연예인들이 아니더라도 정치가가 아니더라도, 주위에 보면 정말이지 말을 잘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많은 사람들이 말을 잘 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단순히 말을 잘하지 못한다는 것은 거기에서 끝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잘 전달하지 못한다는 것, 상대와의 관계에서 어쩌면 치명적인 단점이 될 수도 있고, 그것은 사회생활에서 많은 기회를 잃을 수 있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가 착각하고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말을 잘 한다는 것이 말을 많이 한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것 같은데, 사실 정말 말을 잘 하는 사람은 제목처럼 백 마디의 말이 아니라 단 한 마디로도 상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는 거겠죠.
그럼 어떻게 백마디의 말이 아니라 중요한 한 마디를 할 수 있는 걸까요?
말이 중요하다는 것은 아마도 모두가 알고 있겠죠.
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갚기도 하지만 때로는 말 한마디로 인생을 망칠 수도 있는 것처럼 무엇보다 신중하게 해야 하는 것이 말이잖아요.
엎지러진 것이 물뿐만 아니라 말도 다시 담을 수는 없는 거잖아요.
말 한 마디로 상대방을 친구로 만들 수도 있고, 위안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말 한마디로 돌이킬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입힐 수도 있겠죠.
대화의 기술이라고 해서 각종 미사어구나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타이밍을 포착하고, 이성보다는 감성을 움직일 수 있는 말 한 마디.
그리고 때로는 상대에게 쓴 소리를 하면서도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말.
말 한 마디로 나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이익이 되는 그런 말들.
아마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들기까지 우리들은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수많은 말을 하고 살잖아요.
그런 말 중에서 때로는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하지는 않았는지 한 번 돌이켜봐야 할 것 같아요.
물론 대화를 하는 많은 기술들이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상대를 향한 마음.
마음이 담긴 말 한 마디면 어쩌면 수많은 말보다 더 상대방을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때로는 말 한 마디로 상대는 물론 나 자신의 인생도 바뀔 수 있다는 것.
지금까지 나는 어떻게 대화를 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는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트 리더, 핵카톤하라 - 구글 인재는 왜 페이스북으로 옮길까?
김영한.김영안 지음 / 북클래스(아시아경제지식센터)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문화.
어쩌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수많은 변화들은 기존의 많은 기업이나 사람들에게 낯설고 적응하기 어려운 위기의 순간이 될 수도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이런 변화에 어떻게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새로운 가치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느냐에 따라서 위기의 순간은 바로 기회의 순간으로 바뀌지 않을까요?
과거보다 더 많은 소통을 할 수 있고, 기업과 고객, 사람들간의 거리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의 혁명. 소셜 네트워크.
창의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조직의 문화를 바꾸어야 된다고 이 책에서는 주장하고 있는데, 바로 이런 수평적인 소통과 관계.
스마트 시대에 어떻게 소통할 수 있을지?
다양한 소통의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어떻게 하면 새로운 시대의 조직 문화를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
제목에서보면 알 수 있듯이 스마트 시대의 리더.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리더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볼 수 있겠지만, 정작 핵카톤이라는 것이 뭔지 모르겠더라구요.
그런데 이 핵카톤이라는 말은 해킹이라는 말과 마라톤이라는 말의 합성어라고 하네요.
즉, 서로의 아이디어를 해킹하듯이 교환하면서 결론이 날 때까지 마라톤을 하듯 멈추지 않고 협동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고 해요.
그런데 이런 핵카톤을 기업의 문화로 받아들인 페이스북이 구글이라는 거대 공룡을 이길 수 있는 비법이 되었다고 하네요.
사실 기업도 바로 어떤 인재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성장할 수 있는지 퇴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겠죠.
그런데 왜 구글의 중요한 인재들이 페이스북으로 옮겼을까요?
무엇이 그들을 구글에서 페이스북으로 옮기도록 마음을 움직였을까요?
어쩌면 그들은 페이스북의 핵카톤이라는 문화를 통해서 기업의 성장과 미래를 보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그들의 아이디어를 회사가 받아들이고 모든 참여자들이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마음껏 재능을 펼칠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나온 수많은 좋은 아이디어들이 상품화되는 것.
아이디어 하나로 거대 기업이 될 수 있다는 것.
그만큼 어쩌면 현대는 많은 기회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그런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것은 그만큼 노력하고 준비하고 있어야 가능한 일이겠죠.
그것이 바로 페이스북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고, 핵카톤은 직원들과 회사가 함께 소통할 수 있고 무궁한 아이디어가 샘솟는 우물이 된 것 같아요.
스마트 시대에는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이야기인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내 첫사랑의 부임지입니다 - 사랑의 사계...봄
김하인 지음 / 자음과모음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봄바람이 분다. 벚꽃이 만발한 봄.

다정한 연인들의 모습 속에서 사랑을 찾는 사람들과 사랑에 취한 사람들.

겨울내 꽁꽁 얼어붙은 땅 속에서 만물이 소생하는 봄날 기지개를 켜고 피어나는 생명들을 보면서 봄날은 그렇게 꿈을 키우고 사랑을 만들어가는 계절이 아닌가 싶어요.

어느 시인은 4월을 잔인한 계절이라고 했던가요?

사랑하는 사람들과 사랑을 그리워하는 사람들, 가슴 아픈 기억을 간직한 사람들.

기나긴 겨울을 견디어 내고 꽃을 피우는 생명의 힘처럼 사랑도 어쩌면 그렇게 기나긴 기다림을 필요로 하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때로는 보이지만 잡을 수 없는 아지랑이처럼 그렇게 가슴 아린 시간들도 있지만 추운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는 것처럼 그런 아픈 시간이 지나면 사랑이 다시 찾아오겠죠.

너무 기쁘면 눈물이 나기도 하죠.

너무 행복하기에 불안하다는 그 마음을 이해할 수 있나요?

사랑의 아픔을 알고 불안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또 다시 사랑에 빠지고 싶은 것은 아마 엄마의 품을 그리는 아이의 마음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따뜻한 봄날, 세상이 아름다운 날. 사랑하고 싶네요. 그리운 사람...

아름다운 꽃 향기에 취하듯이 사랑에 취하고 아름다운 시에 또 한 번 취하게 되네요.

누구나 사랑을 하게 되면 시인이 된다고 했던가요?

사랑이 가지는 갖가지 감정들.

행복, 그리움, 외로움, 따뜻함 등등.

때로는 감정을 느끼면서도 표현할 수 있는 말이 생각나지 않거나 감정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들이 많은데 가슴 속에 있던 이야기들이 글을 통해서 생명을 얻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가 되었습니다 - 초보 아빠의 행복한 육아 일기
신동섭 지음 / 나무수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누군가의 딸에서 누군가의 엄마가 된다는 것.

그리고 누군가의 아들에서 누군가의 아빠가 된다는 것.

둘의 차이가 무엇이고 어떤 것이 같을까요?

사실 많은 사람들이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에 대해서 모성을 이야기 하지만 정작 모성에 비해 뒤지지 않는 부성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은 것 같아요.

왜 이런 일들이 생기는 걸까요?

아마도 예전에는 전적으로 아이의 양육에 관여하는 것이 엄마의 몫이고 아빠의 경우는 사회에서 가족을 부양할 돈을 버는 것이 당연했겠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은 것이 현실이잖아요.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아빠뿐만 아니라 엄마가 사회에 진출해서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 당연시 되고 그만큼 아이의 양육에 대해서 엄마뿐만 아니라 아빠의 역활이 더 중요하게 된 것 같아요.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아이를 키우는 것이 여성의 몫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대다수인데, 이런 편견에 반기를 든 사람이 있네요.

물론 요즘에는 육아휴직을 남성도 쓸 수 있다고 법에 명시되어 있지만 사회적인 편견 때문에 쉽게 그러지 못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과감하게 이런 사회적 편견을 깨고 전업 아빠를 선언한 저자가 대단하게 느껴지면서도 정작 어떻게 남자가 아이를 키울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네요.

그것을 편견이나 고정관념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사회적으로나 그런 사례들이 많이 없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잖아요.

누군가가 이미 만들어 놓은 길을 걸어가는 것과 자신이 스스로 길을 개척하고 만들어나가는 것은 다른 의미잖아요.

어쩌면 앞으로 많은 아빠들이 전업 아빠를 선언할 수 있도록 그 길을 개척하는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이 처음이기에 모두 다 서툴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좌충우돌하고 실수도 하지만 그러면서 경험을 쌓고 노하우가 쌓이는 것 아니겠어요.

그리고 이런 자녀 양육법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면서 서로간에 좋은 것을 배우고 또한 아빠가 될 예비 신랑들에게 이런 경험들을 후에 아이가 태어나고 해야될 수많은 실수들을 줄여주겠죠.

아마도 이 세상 모든 부모들이 그러하겠지만 아이에게 있어서만은 바보가 되어도 좋다는 마음이겠죠.

스스로도 "딸바보"라고 이야기하고 있듯이 그런 사랑이 있기에 어쩌면 서툴고 실수투성이 아빠지만 아이가 무럭무럭 사랑을 먹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해맑게 웃는 아이들의 모습이 너무나 사랑스럽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융 사기꾼 - 탐욕에 눈먼 돈을 삼킨 사람들
데이비드 사르나 지음, 최정숙 옮김 / 미래의창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어쩌면 인간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욕심, 탐욕인 것 같아요.

가지면 가질수록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싶은 것이 바로 인간의 본성이겠죠.

누군가는 뺏으려고 하고 누군가는 막으려고 하는 끊임없는 전쟁.

이것은 비단 금융이나 주식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겠죠.

사실 요즘은 누구나 투자를 하고 투자가 지극히 당연한 재테크의 수단이 되었지만 이것에 만약 탐욕이 끼어들게 된다면 그것은 기존의 목적이 변질되어 투기가 되어버리지 않겠어요?

이처럼 만약에 인간의 탐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아마도 17세기의 네덜란드에서 일어났던 튤립광풍이라든지 벤처기업들의 주식열풍, 그리고 먼 곳의 사례가 아니더라도 일본이나 우리나라의 부동산 열풍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정상적인 시장 경제가 아니라 비현실적인 거품이 생기게 되고 사람들이 점점 더 몰려 부풀어지는 것을 보면서 인간의 탐욕이 얼마나 경제이 미치는 영향이 크고 무서운지 알게되는 것 같아요.

그러다 결국 감당하지 못하고 언젠가 그 거품이 터지게 되면 수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게 되잖아요.

그런데 정작 이런 피해들이 다수의 선량한 피해자들을 양산하다는 게 문제겠죠.

어쩌면 처럼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킨 금융 사기꾼은 이미 그들의 탐욕을 채웠을테죠.

사실 지금은 금융사기가 일어나지 않을만큼 잘 관리되고 운영되리라고 생각하겠지만 글쎄요?

인간의 탐욕이 사라지지 않는 한 언제나 그런 문제를 안고 있지 않겠어요.

과거의 수많은 사례들을 통해서도 그렇고 최근의 저축은행 사태를 보더라도 언제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사실 여러 사례들을 보면서 아~ 이런 일도 있었구나라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금융사기가 일어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봐야하는게 바로 우리들의 숙제인 것 같아요.

문제가 일어난 후에 사후처리를 하는 것은 이미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난 다음이고 또 그런 피해들을 되돌릴 수 없기에 사전에 그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한 과제가 아니겠어요.

근본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제도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감시하고 교육한다면 아무래도 발생이 줄어들거나 어쩌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을지도 모르죠.

어쩌면 지금도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