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처님과 제자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원영 지음 / 불광출판사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요즘은 출가를 하지 않아도 불가의 삶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 것 같아요.
어쩌면 그만큼 도시에서 살아간다는 것이, 세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이 그만큼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건강을 해치고 있는가에 대한 반증이기도 한 것 같아요.
비록 잠시나마의 시간이지만 스님과 함께 일상을 보내고 수행을 함으로써 자신을 되돌아보고 삶의 지혜를 깨달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어요.
맑은 공기와 맛있는 물. 정갈한 음식으로 인해서 건강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말이죠.
하지만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런 불가의 삶이 조금은 환상에 젖어 있는 면도 참 많은 것 같아요.
어쩌면 그만큼 일반인들이 알지 못하는 스님들의 생활규율 같은 것이 있겠죠.
마찬가지로 그 옛날 부처님과 그 제자들은 어떻게 살았을지?
비록 현재와 그렇게 많이 다르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 세상 사람들이 살아가는데에는 법이라는 것이 있잖아요.
그 법을 통해서 서로간에 다툼을 없애고 서로가 행복하게 살아가려고 하는데, 불가에서도 이처럼 스님으로서 어떻게 생활해야 되는지에 대한 해답이 실린 불교경전이 있다고 하네요.
바로 "율장"이라고 하는데, 이 율장을 통해서 그 옛날 부처님과 제자들이 살았던 이야기를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처음에는 이런 율이 필요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제자가 되고 불교가 전파되면서 어떤 규칙들이 필요해졌다고 해요.
그래서 만든 율에는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출가, 수행, 생활, 사찰, 행사, 계율이고, 이 율을 통해서 일상의 모든 행동들에 대한 정해지고 또한 그것이 바로 수행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그리고 이 율을 지키고 수행하면서 진리를 깨닫고자 했던 수행자들의 삶을 바라보면서 어쩌면 지금 우리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요.
율 중에서는 특이한 것들이 참 많고, 정말이지 세세한 부분에까지 신경을 쓰는 것들이, 우리들이 생각하기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그 속 뜻을 살펴보면 왜 이런 율이 정해졌는지 새삼 감탄하게 되요.
비록 우리의 생활과는 맞지 않는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율 속에 흐르고 있는 정신이나 마음은 우리들이 잊지 않아야 할 것 같아요.
먹고, 입고, 자는 모든 것이 수행인 만큼, 우리들도 생활하는 모든 것이 이처럼 수행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