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물리 여행
최준곤 지음 / 이다미디어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과학이라고 하면, 특히나 물리라고 하면 아마도 모든 사람들이 학창 시절에 공부하기 힘들었을 것 같아요.
왠지 물리하면 머리부터 아파오는지 모르겠어요. 나만 그런가?
어릴 적에 커서 무엇이 되고 싶냐는 질문에 많은 아이들이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이야기하지만 막상 현실에서 과학자가 되는 것은 무척 힘들 일인 것 같아요.
복잡한 수식은 물론이거니와 보이지도 않는 것을 생각해야하고, 상상력을 물론이고 그것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 같은 것은 일반 사람들이 하기에는 왠지 벅차보이잖아요.
아주 특별한 천재들만이 물리를 하다는 생각이 고정적인 생각인 것 같아요.
그것이 어떻게 보면 편견일지도 모르겠지만, 아인슈타인의 경우 엄청난 천재잖아요.
정말이지 노벨물리학상을 받는 사람들은 마치 우리와는 다른 사람들 같다니까요.
아무튼 이처럼 일상 속에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물리가 전혀 필요없고 어렵고 복잡한 학문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하지만 요즘은 이런 과학이나 물리가 점점 변화하고 있는 것 같아요.
아니면 사람들이 더 똑똑해진 건가요? 아니면 좀 더 쉽게 설명하는 그만큼 이론이 체계화되고 일상에서 물리를 이해하고 풀이해주는 여러가지 강의라든지 책들이 많이 나와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느순간부터 이런 과학이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사람들과 친해지려고 노력하는 과학의 이야기.
행복한 물리여행은 어쩌면 모든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과학을 잘 보여주는 제목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살다보면 우리들은 수많은 의문을 품게 되는 것 같아요.
왜 이 세상이 이렇게 만들어졌는지, 왜 사과는 나무에서 떨어지는 것인지, 고양이는 왜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죽지도 않고 멀쩡한 건지, 이처럼 수많은 의문투성이의 세계잖아요.
이런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학문이 바로 물리겠죠.
세상은 우리가 보기에는 무척이나 혼란스럽고 무질서해보이지만 물리의 힘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세상은 어떤 법칙에 따라서 질서정연하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잖아요.
아마도 많은 질문들이 있겠지만 책에서는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43가지의 질문을 가지고 어떻게 세상을 물리적인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지, 과학이 어떻게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지, 사실 모든 과학은 사람들이 풍요롭게 살기 위한 것이 목적이잖아요.
세상을 아는 만큼 사람들의 생활도 편리하고 풍요로워지고 그만큼 사람들의 행복은 커지지 않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