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33 - 세상을 울린 칠레 광부 33인의 위대한 희망
조나단 프랭클린 지음, 이원경 옮김, 유영만 해설 / 월드김영사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인간의 위대함, 인간 승리, 기적...
무엇으로 벅찬 감동을 말할 수 있을까요?
무엇보다 전원이 죽음의 문턱에서 무사히 가족들의 품으로 살아돌아온 느낌을 말이죠.
지금까지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특히나 이번이 더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은 과거에는 알려지지 않았을 이야기가 지금은 바로 실시간으로 전세계로 생중계될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 모든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된 것 같아요.
그리고 또한 역사를 통해서 가장 오랜 시간을 땅 속에서 시간을 보냈다는 것도 이유가 되겠죠.
69일. 700미터. 세상의 빛과 단절되어 어두운 지하에서 견뎌낸 시간들.
칠레에서 벌어진 일이기에 단지 칠레사람들만의 일, 가족들의 일이 아니라,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간절히 빌고 빈 것에는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같은 사람으로서 인류애이겠죠.
매 순간 위험에 직면해야 하는 광부들의 삶.
그들이 광부라는 삶을 살게 된 것은 모두 다 자신보다는 가족을 책임지고 있는 가장으로서의 무게 때문이겠죠.
가족을 위해서 일을 하다가 지하 깊은 곳에 갇혔지만 또한 가족이 있기에 희망을 버리지 않았을 것 같아요.
33인.
모든 사람들이 왜 저마다의 사연이 없겠어요.
누구는 생명이 소중하고 누구는 덜 소중하겠어요.
아이의 보육비를 위해서 처음 출근한 광부, 첫 아이의 출산을 얼마 남겨 두지 않은 광부 등등.
모두다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견뎌야 했던 지옥과도 같은 시간들을 감히 우리들이 어떻게 알겠어요.
세상과 단절 되었을 때, 식량과 물이 부족하고, 공기가 희박할 때 생존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을 먼저 챙기게 되고, 다툼이 일어날 수 있잖아요.
하지만 결코 인간이 다른 동물들처럼 오로지 본능과 욕구에만 충실하지 않고 이성적으로 상황을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죠.
각자가 할 수 있는 것을 스스로 하면서 기록담당, 유머담당, 의학담당 등등 하나의 개인이 아닌 공동체가 함께 살 수 있도록 누군가는 기도를 드리고, 누군가는 주변을 정리하고, 식량과 물을 엄격하게 배분하면서 정말이지 아무것도 없는 빛도 없는 어둠 속에서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내듯이 하나씩 하나씩 빛과 희망을 만들어낸 것 같아요.
깊이도 깊이이지만 단단한 암석으로 인해서 구조가 쉽지 않았지만 칠레뿐만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의 염원과 도움의 손길로 무사히 아무도 다치지 않고 구조되어 정말 감동적이에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구조에 대해서 회의적이 되어 가고 있었지만 그래도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했겠죠.
광부들 뿐만 아니라 구조대원들과 간절히 무사귀환을 염원한 모든 전세계 사람들이 바로 진정한 영웅인 것 같아요.
하지만 물론 그런 이면에는 너무나 상업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아무쪼록 희망과 감동의 이야기가 훼손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에서라도 희망은 있다는 것을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