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EO의 현실부정
리차드 S. 테들로우 지음, 신상돈 옮김 / 아이비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참 난감하네요.
CEO라고 하면 냉철한 현실 판단으로 회사를 잘 운영해나가야 할텐데, 현실부정이라니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그런데 조금만 책을 읽다보면 부정을 부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사실 몇몇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 바로 긍정의 힘이라고 하던데 아무튼 부정은 좋지 않은 느낌이 많이 들죠?
세상이 변하고 있는 변하지 않는다고 현실을 부정하는 것만큼 치명적인 것은 없을 것 같아요.
더구나 CEO라면 회사의 정책을 만들어가고 중요한 판단을 해야하는 자리인만큼 자칫 한 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회사를 망하게 할 수도 있기에 CEO가 가져야 할 덕목 중에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도 무척이나 중요할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어떻게 부정의 덫에 사로잡히게 되는지,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지피지기라고 했던가요?
성공을 위해서는 수많은 실패를 겪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현실을 바로보기 위해서는 그만큼 현실을 부정적으로 보는 방법도 알아야지 그런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우리는 그동안 한 때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회사들이 지금은 사라져버렸거나 도태되어가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잖아요.
그만큼 현실에 적응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 같아요.
하지만 그만큼 현실에 적응하는냐 그러지 못하느냐에 따라 회사의 존망이 걸린 중요한 일이라는 것도 알 수 있죠.
저자가 이야기하는 것처럼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이 현실부정의 덫에 빠져서 몰락한 이야기들을 통해서 경각심을 갖고 또한 그렇게 되는 방법을 통해서 그렇게 되지 않는 방법을 배우고, 현실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단순히 이론적인 이야기뿐만 아니라 세계적 기업인 포드나 코카콜라, IBM의 사례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현실을 부정했을 때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또한 현실을 제대로 수용해서 부정을 물리치는 경우는 어떻게 되는지 보여줌으로써 좀 더 이해하기가 쉽고 직관적으로 와 닿는 것 같아요.
사실 누구나 부정에 빠지지 않을 수는 없겠죠.
하지만 그 부정을 어떻게 떨쳐낼 수 있는지, 또한 가장 좋은 경우는 그런 부정을 피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을 것 같아요.
우리들은 역사를 통해서 많은 교훈을 얻잖아요.
기업의 역사를 통해서도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할지 많은 교훈을 얻게 되는 것 같아요.
지금도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현실을 부정하지 말고 현실을 잘 수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