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비처네 (양장) - 목성균 수필전집
목성균 지음 / 연암서가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는 제목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도통 모르겠더라구요.
물론 아이가 없어서이기도 하겠지만 처네라는 말이 일상생활에서 그리 잘 사용되지 않는 말이잖아요.
어쩌면 지금까지 한 번도 접해보지 못한 단어라고나 할까요?
"누비"라는 말은 그래도 누비이불인가? 아무튼 누빈다는 말이 생각나서 어느정도 감은 잡을 수 있었지만 말이죠.
혹시 처네라는 말을 나만 모르고 다들 알고 있는 건가요?
그래서 검색을 했더니 "이불 밑에 덧덮는 얇고 작은 이불" 또는 "어린애를 업을 때 두르는 끈이 달린 작은 포대기" 라는 뜻이더라구요.
그러고보니 책의 표지에 나온 엄마와 아기, 그리고 포대기가 심상치 않네요.
이처럼 잊혀진 옛 말 같은 아련한 향수가 느껴지는 이야기인 것 같아요.
아마도 다들 갓난아이 시절에 처네에 싸여서 엄마에게 업혀 있었던 일이 있었을지도 모르죠.
왠지 엄마라는 말도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것 같아요.
뭔지 모르게 아련한 향수랄까?
돌아가고 싶은 그 시절...
이제는 그 갓난아이가 어른이 되고 아이를 낳고 그 옛날 우리들의 어머니가 한 것처럼 우리들도 아이들을 처네에 감싸겠죠?
사실 돈이 많아서 으리으리한 집에 살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지 않아도 가족이 있기에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우리들은 점점 잊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어요.
옛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들이 그동안 소홀히 했던 소중한 것들에 대한 기억이라든지 아련한 추억들, 진정 삶 속에서 행복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게 만드는 것 같아요.
그것은 누비처네가 가지고 있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사랑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굳이 뭔가 특별한 것이 있는 것도 아닌데, 마음 속이 따뜻해지고 기분이 좋아지니까 말이죠.
지금은 너무나 물질만능주의가 되어버린 것 같아요.
그만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이라든지, 소소한 것에 대한 행복이나 즐거움 같은 것이 퇴색되고, 오로지 물질이 정신이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현실에 대한 어쩌면 반항이랄까? 반성에 대한 글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가난한 옛날에 비하면 정말이지 풍요해지고 살기 좋아진 것 같은데 뭐가 허전하고 공허한 느낌이 드는 것은 무엇때문일까요?
그것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뭐가 채워지지 않는 것에 대한 그리움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r. 버돗의 선물 - 한정판 스페셜 기프트 세트 (스태들러 색연필 세트 + 그림엽서 + 케이스)
테드 겁 지음, 공경희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사실 누구나 선물이라는 것은 주는 것보다 받는 것을 더 좋아할 것 같아요. 나만 그런가?
아무리 선물은 마음이고 정성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막상 값비싼 선물에 더 마음이 가는 건 어쩔 수 없지 않나요? 나만 속물인가?
그래서 사랑도 하는 것보다 받고 싶은데, 그게 쉽지만은 않는 것 같아요.
남을 사랑하기 전에 먼저 자신을 사랑하라고 했던가요?
선물을 받으려고 한다면 먼저 선물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여기에 세상에서 가장 가치있는 선물이 하나 있는 것 같아요.
바로 버돗이 사람들에게 준 선물 말이죠.
지금도 어려운 사람들이 참 많이 있잖아요.
지금은 지난 이야기가 되었지만 미국의 대공황 시절에는 정말이지 모든 사람들이 힘든 나날을 보냈을 것 같아요.
그렇게 계속 올라가는 물가와 떨어지는 화폐가치, 언제 끝날지 모르는 불안한 경제상황 속에서 사람들이 절망하고 있을 때 결코 세상에 혼자가 아니라는 것, 누군가가 나를 도와주려고 하고 따뜻한 손을 내밀고 있다는 것, 어려울수록 함께 힘을 합쳐서 서로서로 도와가면서 극복해나가자는 희망과 위안의 선물 말이죠.
비록 그 선물이라는 것이 아주 값비싼 보석이 아니라 10달러도 아닌 그저 5달러에 불과한거지만 그 가치는 이루말할 수 없을 정도로 값비싼 것이 아닐까요?
사실 어려울수록 도움의 손길이 절실하지만 막상 누군가가 도와준다고 해도 막상 그 손길을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힘든 사람들을 상대로 사기를 치는 사람들이 더 기승을 부리기 때문이죠.
그래서 아마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보낼 기회를 준다는 작은 광고에 사람들이 미심쩍은 눈길을 보냈을 것 같은데요.
하지만 그것을 믿은 150가구에게는 정말 행복한 크리스마스가 되었을 것 같아요.
지금도 많은 곳에서 도움을 손길을 원하고 있고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있지만 막상 누군가를 돕는다는 것은 실천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인 것 같아요.
무엇을 기부한다고 해도 가진 것이 너무 적어서, 봉사를 하려고 해도 시간이 없다던지, 어디서 무엇을 해야할지 잘 모르는 것 같아요.
조그마한 것이라도 함께 나누고 작은 선행이라도 한다면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버돗의 선물을 통해서 그래도 역시 세상에는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네요.
기적이라는 것은 우연히 생기거나 얻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나와 여러분이 만들어가는 것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니 캠폴로의 회복 - 101일 동안 삶으로 읽는 로마서 8장 묵상
토니 캠폴로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살면서 많은 상처를 받는 것 같아요.
어쩌면 산다는 것 자체가 바로 상처를 받는 건지도 모르죠.
만남이 있으면 이별이 있는 것처럼 항상 행복할 수 없는 것이 운명일까요?
때로는 살면서 자신이 가장 힘들고 불행한 사람이라고 느낄 때도 있고,
지금 이 순간이 정말 영원히 회복되지 않을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 그럴 때마다 기적처럼 누군가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기도 하고 예기치 않게 회복을 하게 되기도 하는 것 같아요.
물론 기적이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힘들고 외롭고 지칠 때 누군가가 나를 따뜻하게 감싸주고 상처를 어루만져 주고 있다는 기분이 가끔씩 들어요.
평상시에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지만 아주 특별한 때에는 강하게 느껴지잖아요.
세상은 가시밭 길이라고도 하는데 그런 가시밭 길을 걸어가면서 입는 수많은 상처를 어떤 약으로 치유할 수 있을까요? 어떤 사람에게 위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바로 해답은 하나님에게 있는 것 같아요.
자신의 이야기에서부터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이야기까지 가족 속에서 항상 함께 하신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함께 공감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이 비단 토니 캠폴로 자신의 가족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함께 느낄 수 있어 좋은 것 같아요.
왜 나에게만 상처를 주고 힘들게 하는지 원망을 할 때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나를 사랑하시고 회복시켜주시는 하나님의 기적을 아이가 방황하고 고집을 부릴 때도 항상 지켜봐주시고 사랑해주시는 부모님의 마음처럼 언제나처럼 우리들을 돌봐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조금이나마 생각할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세상에 아무런 소용이 없는 사람은 없잖아요.
지금 힘든 것은 아마도 나 자신의 자만이나 고집, 하나님를 찾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하나님의 품 안에서 세상의 아픔을 회복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지금까지 듣지 못했던 말씀을, 사랑을, 이제는 듣을 수 있고, 느낄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지...
세상 모든 일들이 모두 사람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 같지만 모든 것은 하나님에게 의지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을, 세상에서 얻는 상처와 사람에게서 받은 상처들.
항상 상처투성이의 몸을 회복하고 위안을 받을 수 있는 곳은 바로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가 아닐까요.
기도를 통해서 죄를 씻고 몸과 마음의 상처를 회복할 수 있기를 소망해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수연의 앤토익 3000 유수연의 앤토익
유수연.English& 어학연구소 지음 / (주)잉글리쉬앤(Engliah&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사실 무슨 시험이든지 많이 풀어보는 것이 실전에 도움이 되잖아요.
다양한 문제유형을 파악할 수도 있고, 시험치는 것처럼 문제를 풀다보면 막상 진짜 시험 당일에 긴장도 덜 할 수가 있고, 이런저런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문제위주로 푼다는 것은 그만큼 기본적인 실력이 있어야 재미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많이 틀리면 무슨 재미로 문제를 풀겠어요.
하나 하나 맞추는 재미로 푸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기본 실력을 쌓는다기보다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실력을 점검하고 앞으로 어떤 부분을 더 열심히 공부해야할지 자기평가의 기회로 삼는 것이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3,000 문제 어떻게 보면 많은 것 같지만 실상은 15회분량이네요.
아무래도 문제를 푸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문제를 푸는 과정이라든지 틀린 문제에 대해서 확실히 알아가는 과정이 있다면 아마도 이 책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마 올해는 토익 고득점을 새해목표로 세운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모두 다 열심히 해서 바라는 점수를 꼭 이루기를 바래요.
많이 틀렸다고 속상해하지 말고, 많이 맞추었다고 자만하지 말고, 조금씩 조금씩 꿈을 향해 나아가는 거에요.
그 꿈으로 가는 길에 물론 앤토익 3000도 있겠죠?
사실 영어는 너무 힘들어~
하지만 그럴수록 더 열심히 노력해야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발의 천사 -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 반려견들의 이야기
리처드 데이 고어.줄리안 게리 엮음, 이선미 옮김 / 좋은생각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동물들을 인간의 친구라고 하는데 특히나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경우는 특히나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고 키우고 있잖아요.
누군가에는 정말 사람보다 더 친한 친구, 또는 동물 그 이상의 가족 같은 교감을 나누는 경우도 참 많은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동물들에 대해서 학대를 하고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같아요.
예전보다 지금이 더 많은 동물 학대가 이루어지고 있다기보다는 아마도 요즘에는 각종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같은 매체를 통해서 정보들이 많이 공유되고 있어 그런 것 같아요.
영화를 모방해서 고양이를 살해하겠다느니, 아무렇지 않게 동물들을 죽이는 것은 비단 그것이 자칫하면 동물의 생명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에 대한 가치 또한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무척이나 위험한 생각인 것 같아요.
외국에서는 이런 동물확대에 대해서 많은 법들이 있어 처벌을 하고 있다고 하던데, 이제는 우리나라도 이런 동물학대에 대해서 한 번쯤 진지하게 생각해봐야할 것 갈아요.
그런 의미에서 이런 반려견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동물들이 얼마나 우리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지 생각해보게 되네요.
가끔씩 여행지를 보다보면 개의 동상이 서 있는 곳도 있더라구요.
주인을 위해서 자신의 몸을 던져 구한 의로운 개에 관한 이야기도 많구요.
시각장애인의 눈이 되어주는 안내견이 있고, 사람을 구조하는 구조견도 있고, 마약을 탐지하는 마약탐지견이나 집을 지키는 경비견까지 수많은 분야에서 우리들을 도와 주고 있는데, 이런 특별한 곳에서 특별한 일을 하는 개도 있는 반면에 아주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는, 아니 그보다 더 특별한 일을 하는 개도 있는데 그것은 바로 반려견이 아닐까 싶어요.
사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힘든 것이 바로 외로움이 아닐까 싶어요.
물론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이런 반려견이 바로 이런 허전함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동안 우리들이 잘 몰랐던 반려견과 함께 우정을 나누는 마치 기적과도 같은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실린 이 책을 보면서 반려견에 대한 새로운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그동안 사실 우리와 가장 친밀한 동물이 개이지만 막상 개와 사람이 함께 감정을 나눌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그렇게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거든요.
사람도 하기 힘든 일을 하는 반려견들이 아마도 한 사람에게는 정말 천사와 같은 존재일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