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극한기
이지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청춘이라는 말을 떠올리면 풋풋한 첫사랑이라든지 열정, 꿈, 눈부신 태양 같은 단어들이 생각나네요.
그만큼 인생에 있어 가장 축복받은 시기가 아닐까 싶어요.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실패조차도 좋은 경험으로 여겨질 수 있는 마치 마법처럼 세상이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 같은 환상의 세계.
하지만 지금 이 시대의 청춘들은 그들의 시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수많은 청년들이 그들의 꿈을 펼칠 기회조차도 얻지 못하고 누군가는 고시원의 한 평 남짓한 공간에서 햇빛 대신 우중충한 형광등 불빛 아래 미래도 알 수 없는 어두운 현실과 마주하고 있거나, 한 잔 술에 인생의 쓴 맛을 느끼고 있겠죠.
그러나 청춘이라는 것은 이것마저도 하나의 추억이나 낭만으로 여길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있잖아요.
왠지 젊음에는 방황이나 아픔, 고뇌와 같은 단어도 포함되어 있는 것 같아요.
아이에서 어른으로 가는 성장통이라고나 할까요?
어떤 원주민들은 성인식에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기도 하고, 며칠씩 정글속에서 그야말로 야생에 맞서야하는 것처럼 어른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어려운 일인 것 같아요.
누군가에게는 젊음이 잃어버린 시간이고 되돌아가고 싶은 시간이고, 아름다웠던 추억들이 있는 시간들이죠.
세상에 굴복하지 말고 당당히 가슴을 펴고 세상을 향해 한 번 외쳐볼 수 있는 것이 청춘의 용기 아닐까요?
청춘을 이야기 할 때 때로는 지독한 현실을 보여줌으로서 진실을 바라보고 그것을 극복할 용기를 가지게 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밝은 미래를 보여줌으로서 용기를 북돋을 수도 있는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백조이고 애인도 없는 초라한 젊음이지만 어느 날 러브 바이러스에 빠진 한 여자의 이야기를 통해서 불안한 청춘이지만 그래도 아름답고 아름다운 청춘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
진흙 속에서 연꽃이 피는 것처럼 초라한 현실 속에서 밝은 미래를 꽃피울 수 있는 것은 청춘의 특권이 아닐까요?
힘들고 지치고 상처받은 청춘들에게 보내는 작가의 위로와 치유의 이야기인 것 같아요.
누군가에게는 그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고, 누군가에게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겠죠.
청춘이라는 단어에서 우리는 어떤 단어를 연상하게 될까요?
방황이나 아픔보다는 사랑이나 희망을 떠올렸으면 좋겠어요.
만약에 러브 바이러스 같은 것이 있다면 감염되어도 좋지 않을까요?
아무튼 무엇을 하든 청춘이 지난 후에 후회하지 않는 시간이 되도록 한 순간, 한 순간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