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스트 심벌의 비밀
댄 버스틴.아르네 드 케이저 지음, 김홍래.황혜숙 옮김 / 타임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일단 책의 두께에서부터 심상치 않은 기운이 풍겨져 나오는 것 같아요.
교과서나 참고서라고 한다면 아마 질려서 책을 펴 보기가 싫었겠지만 말이죠.
잃어버린 유물을 찾는 건 영화나 책으로 많이 나왔지만 언제나 가슴 떨리게 하는 무언가가 있는 것 같아요.
찾고자 하는 자와 숨기려고 하는 자의 숨막히는 대결 속에서 오래된 역사가 깨어나고 전해져오는 수많은 이야기들 속에서 미쳐 알지 못했던 수많은 진실 혹은 거짓, 그리고 교묘하게 감춰진 상징들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인류의 역사를 되돌아볼 수도 있고 한 번쯤 유명한 장소나 물건을 보고 싶다는 충동도 막 생기는 것 같아요.
그냥 단순히 작가의 상상으로만 쓰여진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역사적 진실이나 실존하는 인물과 장소 등이 나오기 때문에 쉽게 이야기에 몰입할 수도 있고, 미쳐 몰랐던 이야기들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도 있는 것 같아요.
더구나 다빈치 코드의 작가이기에 더욱 더 관심이 가고 흥미로운 거겠죠?
다빈치 코드나 천사와 악마를 영화로 봤는데 단서를 찾아가는 과정이 처음에는 사전 지식이 없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어렵게 느껴졌었는데,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면 치밀하게 짜여진 한 편의 수수께끼였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 미스터리를 풀어가면서 또 한 번 희열을 함께 맛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어릴적 보물찾기의 흥분처럼 주인공과 함께 미국의 이런저런 유명한 장소를 돌아다니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고, 숨겨진 역사들도 흥미롭고, 상징과 단서들을 찾고 비밀을 풀어나가는 것 또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하지만 그 광대한 분량만큼이나 이야기가 좀 지루하게 늘어지는 것 같다는 느낌이 조금 들기도 하고 역시나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가 아니기 때문에 왠지 이방인이 된 것 같은 생각도 들어요.
그렇기 때문에 단서를 찾고 비밀을 푸는데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서 책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 것 같아요.
물론 다르게 생각하면 낯선 것에 대한 호기심은 충분히 채워주는 것 같아요.
모든 것이 신기하지만 어느 정도는 필연이 아닌 우연적인 면도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모험을 좋아하고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아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처음에 온통 얽킨 실타래처럼 알 수 없는 혼돈 속에서 하나씩 하나씩 실타래가 풀려나가는 재미가 쏠쏠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