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또 하나의 우리역사
信太一郞 지음, 이종윤 옮김 / 삼국시대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요즘은 우리역사에 대해서 드라마를 통해 많이 알게 되는 것 같아요.
사실 다큐는 보면서 좀 지루하기도 하고 단시간에 많은 정보를 알려주는 것은 좋지만 그만큼 잊혀지는게 많아서 흥미를 잃고 있었는데, 사극을 보면서 그 재미에 푹 빠진 것 같아요.
아무래도 재미를 위해서 조금 과장하고 역사에 없는 일도 넣기는 하지만 그래도 흥미를 끌 수 있잖아요.
그래서 드라마에 있는 내용들을 다 믿을 수는 없지만 가끔씩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이 나오는 경우 한 번씩 역사책을 통해서 알고 싶어지는 욕구가 막 생기더라구요.
과연 우리는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어떻게 보면 지구촌 시대라고 해서 세계로 눈을 돌려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 바탕에는 우리의 뿌리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있어야 세계에 나아가서도 중심을 잃지 않고 당당하게 세계인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아마도 저자가 한국인이 아닌 일본사람이기 때문이 아닐까요?
더구나 역사학자가 아닌 교사이기 때문에 더 특별한 것은 아닐까요?
때로는 역사를 배울 때 너무 우리나라 역사이기 때문에 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한 것도 있지 않을까요?
역사는 지나간 일이기 때문에 현대에 와서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여러가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고 다양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 진실을 밝혀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어떤 편견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게 되면 제대로 된 진실조차도 받아들일 수 없는 오류를 범하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사실 일본인이 지은 우리의 역사라고 해서 처음부터 배격한다거나 또는 맹신한다거나 하는 것은 금물이겠죠.
사실은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고, 잘못된 점은 버리면서 다양한 시각을 통해서 역사의 진실에 접근해나가는 하나의 자료로 이용했으면 해요.
사실 어떻게 보면 일본인이기에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서 객관적인 입장을 가지고 서술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숲 속에 있으면 나무만 보고 숲 전체를 보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죠.
우리 역사의 시작에서 부터 6,25 전쟁 이후까지 일본인이 보는 우리의 역사는 어떤 모습인지 보는 것이 참 신선한 느낌을 주는 것 같아요.
특히나 일본의 역사와 비교하면서 말이죠.
역사의 진실을 밝히려고 노력하는 모습과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려는 모습,
그리고 우리나라의 역사를 따뜻하게 바라보는 그 마음이 느껴지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