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9 - 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
김탁환.강영호 지음 / 살림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매우 독특한 느낌이 드는 제목인 것 같아요.
99라는 숫자의 의미가 100이라는 완전한 숫자에서 하나가 빠진 듯한 묘한 느낌이 드네요.
마치 인간이 아닌 드라큘라의 비애 같은 것이 느껴지는 듯도 하구요.
홍대라는 젊음의 거리에 있는 상상사진관이라는 곳, 그 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한 번 살펴볼까요?
예전에 사람들은 사진이 찍히면 영혼이 빠져나간다는 생각을 했는데 책에 나오는 괴이한 사진들을 보면서 사진에 정말 영혼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누구나 동전의 양면처럼 선과 악의 모습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거에요.
지킬박사와 하이드에서 지킬박사가 악을 불러낸 것처럼 사진으로 악을 불러낸 듯 하네요.
드라큘라 성이라 불리는 곳에서 찾아오는 괴물들의 모습.
우리와는 다른 존재에 대해서 품게 되는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 같은 것이 사진이라는 것에 담겨 있지만 여전히 우리를 지켜보는 듯한 눈빛에 전율이 막 일어나네요.
마치 상상속의 괴물이 현실 속의 괴물보다 더 무서운 것처럼 말이죠.
음산한 분위기에 사람들의 공포를 즐기고 새빨간 피가 아닌 검은 피를 마시며 살고 있는 홍대 앞 상상사진관 속의 괴물들의 모습들은 정말이지 한 번 보게 된다면 결코 잊혀지지 않는 강렬한 이미지가 될 것 같아요.
어쩌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자화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는 건 무엇때문일까요?
수많은 사람들이 지나가는 홍대의 거리를 보면서 저마다 마음 속에 꿈틀대는 괴물들의 모습을 하나씩 볼 수 있을까요?
드라큘라의 성이라 불리는 상상사진관 속에서는 아마도 우리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어요.
우리 모두는 괴물을 두려워하고 무서워하지만 어쩌면 자기 자신이 그 괴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말이죠.
요즘 영화로도 그리고 오래전부터 소설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드라큘라의 이미지와는 사뭇 다른 모습에 좀 무서운 느낌이 드는 것 사실이에요.
영화에서 이미지로 표현되는 건 사람과 흡사하고 아님 더 미남, 미녀잖아요.
그런데 책에 실린 모습들은 아마도 밤에 혼자 본다면 좀 무서울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정말이지 이런 상상을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무엇보다도 존경스럽네요.
때론 이런 이미지를 통해서라도 우리 속에 있는 괴물을 자각할 필요도 있는 것 같아요.
그래야지 선도 부각되는 것 아니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