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비 홀러 ㅣ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15
샤론 크리치 지음, 이순미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책장을 덮는 손이 어느 때보다 가벼웠고, 가슴 가득 뿌듯함이 느껴지는 기분 좋은 책으로 책을 한 번 쓱~ 쓸어 주게 된다.^^
표지에 그려져 있는 루비 홀러의 오두막이 어디쯤에나 있을까 싶어 미국 여행을 잠깐 꿈꿔보기도 하면서 이 느낌을 오랫동안 간직하고 싶었다.
댈러스와 플로리다는 호기심 많은 말썽꾸러기 쌍둥이 남매로 고아원과 입양을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내면에 상처가 쌓이고 어른들에 대한 불신이 많은 아이들이다.
그들이 믿을 수 있는 사람들이란 서로를 믿고 의지하는 것 외엔 아무도 그들에게 사랑이나 관심을 주지 않았기에 당연할지도 모른다.
친부모에게 버림받고 파양되는 일이 반복되는 아이들에게 희망이 없어 보였으나, 틸러와 세어리 부부를 따라 루비 홀러에 가게 되면서 말썽꾸러기 쌍둥이가 변화되는 여러 사건이 전개된다.
그리고 그들 부부가 댈러스와 플로리다에게 대하는 것을 보면서, 나이 듦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고, 나도 그들 나이가 되면 저런 지혜와 연륜이 쌓이고 모든 것을 감쌀 만큼의 포용력을 가지게 될까 의문이 들었다.
슬픔-이기기 브로콜리랑 성질-내지 않기 핫케이크 등을 만들 수 있는 따분하지 않고 위트 있는 노인이 되고 싶은데, 그런 자애로운 부모 노릇을 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나는 아직도 서툴고 버거운 일을, 그들 부부는 댈러스와 플로리다에게 무엇을 기대해야 하며, 어떻게 아이들을 사랑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댈러스와 플로리다는 밤기차를 타고 도망가려는 행동을 한 차례 할 만큼, 그들 부부가 보이는 행동에 뭔가 미심쩍어 했지만, 진심을 다한 한결 같은 부부의 사랑에 댈러스와 플로리다도 조금씩 마음의 문을 열어간다.
그 아이들의 나무토막에 새가 들어있는지 배가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어른들에 의해 많이 방치되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희망이 보여 자꾸만 책장을 넘기는 속도가 점점 빨라진다.
Z라는 인물이 등장하면서 한층 긴장감을 주고, 본격적인 여행에 앞서 떠나는 예행 연습에서 틸러씨가 죽을 고비를 넘기거나, 고약한 트레피드를 혼내주는 것 등 갖가지 사건들로 인해
책을 읽는 재미가 배가 되었다.
이들 앞에 펼쳐진 행복한 모습이 떠올라 행복한 미소를 짓게 했고, 루비 홀러의 행복한 마법이 전염되는 듯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