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 마리 개구리 깃발 식당 - 요리와 사랑에 빠진 천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지음, 박이정 각색, 김현철 옮김 / 책이있는마을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레오나르도에게 '천재'라는 말을 붙이는데 주저할 이는 아마 한 사람도 없을 것이다.
미술, 음악, 수학, 건축, 천문, 지리, 해부 등 분야를 가리지 않는 재능도 그러하지만 그 업적도 놀랍다. 거기에 보태서 요리에까지 높은 관심을 보여 이와 관련한 기계나 도구를 만들어 낸 것 또한 어마어마하게 많았다는 사실은 잘 몰랐다.
그도 그럴것이 1981년에서야 그가 쓴 희귀 노트 한 권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요리에 관해 쓴 짤막한 글들의 소책자인 <코덱스 로마노프>에는 요리 레시피와 식이요법, 식사예절, 주방도구와 조리기구와 관련하여 그림들까지 세세히 기록되어 있는 126쪽의 요리책이라 할 수 있다.
이전까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모나리자와 최후의 만찬, 인체 비례도와 같은 유명한 그림이나 실용적인 과학 결과물들이 전부였다. 그러니 다빈치가 요리에 관해서도 뜨거운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 하나라도 흥미로울 것 같았다. 그리고 처음으로 읽게 된 '들어가는 말'에서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 따른 설명은 앞으로 읽을 본문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 생각했다. 예를 들면 가난한 사람일지라도 캐비아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서민 음식인 캐비아 요리는 폴렌타(죽의 일종 Polenta)보다도 못한 음식으로 취급했다는 것이 그러하다. 시덥지 않은 얘기로 김을 빼지 않아 좋은데 싶었다. 가독성도 좋은 편이고.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앞 부분이 각색 부분이라면 뒤쪽에 실린 것이 노트에 적힌 짤막한 글인 셈이된다.
앞부분을 읽을 때만 해도 차라리 다빈치가 쓴 기록을 그대로 옮겨 놓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내용적으로 일정 부분이 겹치기도 하고 각색한 부분과 원본 노트가 스토리가 없다 뿐이지 다를 바가 없다고 느꼈다.
산타마리아 수도원에서의 '최후의 만'찬이 탄생되기까지의 비화라고나 할까 싶은 부분과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어준 프란체스코 델 조콘도라는 장사꾼의 부인의 초상화를 의욕을 불태우며 1년간 꼬박 그려서 탄생한 '모나리자' 등에 대한 부분. '먹을 수 있는 끈' 이라 할 신개념 국수 등이 흥미로웠다면 흥미로웠을 부분으로 기억된다.
또 하나 프랑스군의 대대적인 공습이 시작 되었을 때, 이전에 만들어 창고에 처박아 두었던 겨자 추수기나 장작 나르는 기계, 후두까기용으로 만들어진 기계가 잠깐이나마 활약한 부분이 나오는데 이 부분이 아마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다빈치가 다양한 무기를 만들었다고 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아니면 실제로 성능 좋은 무기를 만들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라면.
그런데 책을 넘길수록 '이건 아닌데' 하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나중에는 '이걸 다 읽는 건 시간 낭비야!'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요리에 대해서도 대단히 큰 관심을 가졌다는 정도 외에는 특별히 건질 게 없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