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달러
안드레아스 에쉬바흐 지음, 노선정 옮김 / 페이퍼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3.4

 

762페이지, 27줄, 31자.

 

꽤 흥미로운 소재입니다. 복리로 500년간 불린 원금 1만 달러의 현재 가치를 한꺼번에 상속받는다면 말입니다. 소설에서는 연평균 4%의 증식이 있었다고 가정하여(500년간 매년 이율이 균등했을 리가 없습니다. 그러니 잘못된 가정이지만 조금은 봐줍시다. 이 작가의 다른 소설도 좀 억지스러운 가정을 전제로 했으니까요.) 1만 달러가 1조 달러로 1억배 증가했습니다. 사실 15세기쯤에는 연평균 이자율이 20에서 30%쯤 되었을 겁니다. 한 자리, 게다가 4%라는 아주 낮은(!) 이율이 인류에 정착한 지는 불과 몇 십 년밖에 안되었을 것입니다. 20%라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소설상 설정인 18년이 아니라 4년이면 됩니다. 하지만 아주 보수적인 운영을 했다면 10% 정도까지는 낮아지겠지요. 아무튼 작가의 설정을 받아들입시다. 그리고 그 동안 유럽에서 여러 전쟁이 있었으니 몇 군데 맡겼던 돈은 증발했겠지요. 아무튼 어찌어찌 해서 1조 달러가 만들어졌답니다.

 

존 살바토레 폰타넬리는 500년 전 선조인 지아코모 폰타넬리가 미켈란젤로 바치에게 500년 간 운용을 맡긴 300플로린 금화(현 가치로 1만 달러쯤 된다고 하네요, 책의 설명에 의하면)를 1995년 4월 23일 현재 그의 후손 중 최연소 남자에게 물려주라는 유언에 당첨(!)되었기에 바치 가의 변호사들에게 호출됩니다. 사실은 로렌조라는 소년이 16살로 존재했었기에 물려받을 예정이었지만 2주 전에 벌에 쏘여 알레르기로 사망했습니다. 존은 구두가게 수선공의 아들이고, 28살인 현재 피자 배달부로 일하고 있습니다. 알고 보니 로렌조는 매우 영특해서 수학경시대회에서 상을 받은 적도 있다네요. 그러니 조상이 500년 뒤의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불린 재산을 넘겨받기에는 적격으로 보였던 인물이 탈락하고, 보잘것없는 인물이 행운을 거머쥐게 되었습니다.

 

전세계 부의 전부는 아니지만 좌지우지할 만한 액수를 한 개인이 쥐고 있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를 가지고 작가는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결국 요체는 인간이라는 것입니다. 그것도 한 인간. 인류가 번성한 것은 수많은 개인이나 집단이 경쟁했기 때문입니다. 제아무리 뛰어난 개인이라도 인간은 인간. 따라서 문제가 반드시 따라붙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인간은 뛰어나지 못하니 더욱 문제죠.

 

번역자 또는 편집자가 둘 이상인 것 같습니다. 앞의 백여 페이지는 비교적 잘 되어 있는데 그 다음부터는 문체가 달라졌습니다. 수없이 지적했던 '언제나처럼'이나 '-마냥' 그리고 '-구-'이 많이 나옵니다. 다른 맞춤법 오류도 많습니다. 한 사람이 서로 다른 형식으로 글을 작성하는 건 드뭅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사람들이 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게 상식적입니다.

 

140315-140315/1403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북 3
김경진 / 들녘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2

 

385페이지, 26줄, 28자.

 

6월 17일 04시:32 - 6월 29일 14:25

 

전선별로 밀고 밀리는 공방전입니다. 보급품이 수송됨으로써 화력이 우세해진 한국이 승세를 잡아갑니다.

 

좀 허탈한 게 있는데 마지막에 가면 국방위원장의 독백이 있습니다. 좀 어이가 없는데, 마지막이 상당히 약하다고 할까요?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마감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전쟁이 나면 인간은 인적자원이 되면서 소모품으로 변모하게 됩니다. 그러한 소모전에 대해서는 잔뜩 나열해 놓았습니다. 두어 번 나오고 마는 사람에게까지 이름을 부여한 것은 개인적으로 와닿기를 바란 까닭 같습니다만 꼭 그리할 필요가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140405-140405/1404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북 2
김경진 / 들녘 / 199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4

 

377페이지, 26줄, 27자.

 

제한전은 점차 확대됩니다. 다수의 인민군이 강원도를 거쳐 경북까지 침투하고 또 방송국을 점령하여 현혹시키는 방송까지 내보내고요. 여러 기간망을 타격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후방침투군은 국군으로 위장을 하고 있으니 도통 알 수 없는 게 현장의 사람들이 되겠습니다.

 

철저하게 현장에 있는 사람, 특히 말단에 있는 사람을 위주로 이야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왜 일어났는지, 무얼 목적으로 하는지 등이 모두 가려져 있습니다. 주변국(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에 대한 이야기는 양념 수준입니다. 나온 지 15년 쯤 된 이야기인데 어디서나 전쟁이 벌어지면 이해가 많이 걸린 사람들(당사자라고 보통 말하지요)을 제외하면 적어도 한 발 떨어진 곳에서 관망하는 게 보통이니까 일면 맞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휴전선이라는 게 200킬로미터가 넘는 선인데, 거길 20여만이 지킨다는 것은 1미터에 하나씩 서 있는 셈이지요. 딱 한 줄로. 그러니 방어면에서는 상당히 취약한 셈인데, 소설에선 전면적으로 붕괴되지는 않았네요. 3권까지 가야 조감도를 얻을 수 있겠군요. 이러면 좀 심한 게 아닐까 합니다.

 

140326-140326/1403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북 1
김경진 지음 / 들녘 / 199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3

 

367페이지, 26줄, 28자.

 

연재했던 것을 책으로 펴낸 모양입니다. 읽다가 뭔가를 찾을 때는 텍스트가 편하기 때문에 구해서 비교해 보니 적지 않은 분량을 고쳐 쓴 모양입니다. 뭐, 당연히 연재분보다는 양이 더 많고 내용도 조금 나아졌습니다.

 

일단 1권은 모호한 편입니다. 제한적인 전면전(좀 모순되지요?)이라고 표현해야 할 것 같은 전개입니다. 그러면서 뭔가를 흘리려고 하는데 (국방부 벙커에서, '적의 주력이 어디에 있는가'를 몇 번이나 말하게 하는 것에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한 권이 아깝거든요. '고작 그거 말하려고 한 권이나 보내는 것인지' 하는 생각이 드니까요.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전쟁이 나면, 게다가 우리가 준비해서 시작한 게 아니라면, 혼란에 빠질 것은 자명합니다. 개방사회는 안정성을 바탕으로 합니다. 안정 또는 안전하지 않다면 개방을 유지할 수 없으니까요. 마치 굴러가는 자전거 같다고 해야 할까요? 굴러가야 더 안정성이 증가하는 세상이니까요. 그러니 누가 (잠입한) 적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140313-140313/1403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모리 북
하워드 엥겔 지음, 박현주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4.0

 

277페이지, 22줄, 26자.

 

alexia sine agraphia(실서증 없는 실독증)

 

그랜섬의 사립탐정(또는 사립 수사관) 베니 쿠퍼맨은 4월 어느날 토론토 대학 기숙사로 쓰이는 건물 앞의 쓰레기장에서 뒤통수를 얻어맞은 자세로 발견됩니다. 옆에는 플로라 매컬파인이라는 대학교수가 비슷한 곳을 얻어맞고 죽은 채 같이 있었습니다. 자동차는 몇 블록 떨어진 곳으로 옮겨졌고요. 글자가 기호로 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단기 기억에도 장애가 있어 같은 것을 여러 번 들어도 잘 기억하지 못합니다. 가까스로 알아낸 것은 자기가 뭔가를 수사하고 있었을 거라는 것.

 

시간이 많이 흐른 뒤 (본인은 달력을 읽을 수 없기에, 그리고 기억을 못하기에 언제인지 알지도 못하고 알고 싶지도 않습니다) 조금씩 적응해 가면서 조금씩 내막을 알아갑니다.

 

상당히 색다른 주제여서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작가가 비슷한 증세랍니다. 그래서 구술로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네요. 아주 옛날, 뭔가 적을 수 없었던 시절에는 모든 걸 외워서 생활했었으니 일상 생활 자체가 어렵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현대에서 살아가기는 힘들겠지만.

 

이하는 안 읽은 분이 보시면 안 좋은 것입니다.

 

== 등장인물 ==


애나 에리브러햄(친구, 교수), 캐롤 맥케이(담당 간호사), 바네사 모스(스텔라 세코, 고등학교 동창생), 로스 모스(바네사의 딸, 의뢰인), 쉴라 커즌(로즈의 룸메이트), 스티브 메입스베리(생화학 교수, 실종자), 조지 네스빗(반대파 교수), 파커 샘슨(교수, 스티브의 후견인 격), 아불 카이르 무수프(실습 조교), 헤더 내스빗(네스빗 교수의 딸, 파커의 애인)

 

140311-140311/1403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