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셉과 그 형제들 1 - 야곱 이야기
토마스 만 지음, 장지연 옮김 / 살림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5

토마스 만의 역작이라고 거창하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오랫동안 쓴 책이라네요. 이게 1권인데(총7권) 판형이 좀 작지만 아무튼 650페이지나 됩니다. 그중에서 역작답게 서론이 75 페이지 가까이 됩니다. 

서론이든 본문이든 특징은 하나입니다.

'주절주절' 

작가는 마음대로 주어진 자료(성경밖에 없습니다. 당시엔 대부분이 구전으로 이야기가 전달되었고 한 가족의 이야기를 남이 알고 있을 필요도 없으니 성경 외에는 다른 기록이 없지요.)를 재해석해서 이 글을 지었습니다. 많은 오류가 섞여있는데 너무 많아서 일일이 지적할 필요도 없습니다. 아, 해석이 잘못 되었다는 게 아니라 내용 자체를 다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마 저자의 신앙심(?)이 깊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뭐 목사님이나 신부님들도 간혹 가다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을 노출하니 작가가 좀 틀리는 것은 별 문제는 안됩니다. 아무튼 열심히 새로운 글을 써냈습니다. 실제로 얼마 안되는 길이의 자료에서 이렇게 엄청나게 방대한 소설을 만들어 낸 것으로도 칭찬할 만합니다. 다만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주절주절 중언부언하였기 때문에 점수가 낮습니다. 어쩌면, 그래서 한번도 우리말로 번역이 안되었던 것인지도 모르겠네요. 2권을 읽을까 말까 고민중입니다. 아직 안 빌렸으니 빌릴까 말까가 옳은 표현이겠습니다. 순서는 요셉과 야곱의 회상이 겹치는 형식입니다. 당연히 소설이니 연대순으로 하면 재미가 덜하겠죠. (결국 안 빌리기로 하였습니다. 혹 모르겠습니다. 정 읽을 게 없어지면 다시 빌려 볼 지.)

100204/1002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시대 포도청에 가다 역사가 보이는 우리 문화 이야기 2
황문숙 지음, 윤진현 그림, 심재우 감수 / 가나출판사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4.0

재미있습니다. 내용을 이미 아는 것이여서 그럴지도 모릅니다. 이 책을 처음 보는 사람이 잘 이해하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는 내용이지만 재미있습니다. 이런 유의 책은 짧은 이야기를 하나 하고, 관련된 지식을 정리해서 제시하고 다시 이야기가 이어지고 또 다른 지식이 제공됩니다. 이것도 그 범주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둘은 관련이 있지만 관련이 없습니다. 그게 단점이지요. 

필요에 의해 포졸에 지원하는 게 나오고, 시험과목이 나오고, 합격한 후의 월급이 나오고 포상금에 대해서도 기술됩니다. 해야하는 일도 나오고요. 편제도 포함되어 있으니 거의 대부분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덧붙여서 월급이 살아가기에 부족하다는 것도. 대부분의 근세이전 국가에서는 국가에 근무하는 사람(국가 및 지방 공무원과 군인 등)에게 부족하게 월급을 지급했습니다. 나머지 액수는 알아서 채울 수 있도록 약간의 불법을 해도 방조하고요. 요즘은 부족하지 않지만 관례로 내려와서 그런지 뇌물을 받지요.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일벌백계가 필요할 때에만 처벌하는 것 같습니다. 선진국에선 처벌횟수와 강도가 높고 후진국은 낮은 게 다른 점이지요.

100202/100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 다른 바람 어스시 전집 6
어슐러 K. 르귄 지음, 최준영.이지연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1

어스씨 시리즈의 마지막입니다. 

수선사 오리나무가 게드 앞에 나타납니다. 그는 섬의 마법사를 거쳐 로크에 갔다가 다시 이리로 안배된 것입니다. 게드는 그의 이야기를 진득하니 들어줍니다. 왜냐하면 있는 것은 시간뿐이니까요. 테나와 테하누는 왕의 부름을 받아 해브너로 갔습니다. 서쪽에서 용들이 난동을 부리기 때문이죠. 다 들은 게드는 오리나무를 해브너로 보냅니다. 게드는 테하누에게 두 가지를 물으라고 전해줬습니다. 첫번째 질문은 "그 메마른 땅으로 가는 이들은 누구인가?"이고 두 번째 질문은 "용이 돌담을 넘어갈는지?" 해브너에도 용이 나타났기 때문에 왕은 테하누와 함께 그들을 만나러 갑니다. 다행히 테하누가 그 용을 부르자 용은 화답을 합니다. 그래서 오름 이리안이 왕도로 와서 왕과 만나는 것을 주선합니다. 이리안는 용의 몸으로 나타나서 사람의 모습으로 변신합니다. 대화 끝에 왕 등은 로크 섬의 [내재의 숲]으로 가기로 합니다. 오리나무는 두 경계를 이어주었고, 이리안, 테하누, 마법사들 그리고 왕 레반넨은 그 담을 허물어 버립니다. 오리나무는 아내 흰나리꽃과 함께 피안의 세계로 갑니다. 남아 있던 그의 육체는 싸늘해집니다. 카르그의 왕녀 세세락은 왕 레반넨이 깨어나지 않자 울상이 됩니다. 나중에 왕은 깨어납니다. 테나는 게드에게 돌아와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게드가 왕의 즉위식에 참여하지 않은 것처럼 테나도 왕과 왕녀의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마지막이 조금 약한 것 같은데, 너무 무게를 잡아서인지도 모르겠습니다.

100203/100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꾸는 책들의 도시 2
발터 뫼르스 지음, 두행숙 옮김 / 들녘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4.0

1권보다는 재미있습니다. 이야기가 좀더 짜임새 있네요. 원래 한권 짜리일 테니 글의 앞뒤가 질이 다르다는 뜻일까요, 아니면 제가 익숙해져서 그럴깡요? 두 권 사이에 나흘이라는 간격이 있으니 더 잘 이해해서 그런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권은 읽으면서 지루한 느낌이 있었는데 2권은 아닙니다.

결국 그림자의 제왕을 만납니다. 그가 대부로 하여금 더 이상 글을 쓸 의욕을 잃게 만든 장본인이네요. [피스토메펠 스마이크]를 만나 몸을 빼앗기고 다른 것으로 태어난 것입니다.(몇 개의 간, 고문서로 된 몸 등) [롱콩 코마]를 비롯한 책 사냥꾼들은 부흐링의 최면에 의해 공멸 또는 자멸하고, 그림자의 제왕은 창문을 열어 햇빛에 노출됨으로써 몸에 불이 붙자(스마이크가 재구성한 몸의 재료가 그런 특성을 갖고 있었습니다) 스마이크를 쫓아 지하실로 가게 한 다음 붕괴되자 함께 매몰됩니다.

일부 이해가 되지 않지만 글 자체는 나름대로 재미가 있습니다. 일부는 분명 뭔가를 패러디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체 줄거리는 암시하는 바가 큽니다. 자세한 것은 직접 읽어서 얻으세요.

100205/100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꾸는 책들의 도시 1
발터 뫼르스 지음, 두행숙 옮김 / 들녘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3.0

기괴망측하다' 라는 한 단어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를 위한 이야기일지도 모릅니다. 

'얼마 전에 읽은 [에코와 소름 마법사]가 나름대로 재미있어 같은 작가의 것을 빌려왔는데, 극히 일부는 두 책에서 공통된 내용(차모니아 라든가 특정 음식 같은 설정)을 갖고 있습니다. 

이 책의 주인공은 [힐데군스트 폰 미텐메츠]라는 공룡입니다. 갖가지 짐승들의 크기가 비슷한지 서로 잘 어울려 사네요. 책에서 시작해서 책으로 끝나는 이야기입니다. 아, 내용이 아니라 그냥 '물체'로써의 책 말입니다. 하편까지 보아야 뭐라고 말을 할 수 있을 듯합니다.

100201/100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