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 서해클래식 4
토머스 모어 지음, 나종일 옮김 / 서해문집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육문사의 것과 비교하여 검토하겠습니다. 내용은 이미 아시는 분들은 아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략합니다. 그래도 조금 옮긴다면 정치적 풍자글에서 흔히 하듯이 어떤 사람과의 대화를 옮긴 듯한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흥미를 유발하는 몇 가지 이야기들을 맛보여주고, 그 다음에는 그 중 특이한 정치체제를 갖는 한 사회(유토피아라고 되어 있습니다)를 소개하는 형식입니다.

당연히 모어가 살던 시대/지역/사회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육문사의 것과 함께 연이어 읽었습니다. 누군가가 (아마도 서강대 필독서 소개지인 [아무도 읽지 않는 책]에서 어떤 교수가 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서해문집본을 추천했기 때문에 먼저 읽었습니다.

일단 종이질이나 인쇄 그림 등의 자료는 월등하게 낫습니다. 가격이 10,600원과 6,000원이니 돈 값을 하는 것이죠. 게다가 서해문집본은 앞부분에 번역을 위한 원저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라틴어와 영어 병렬본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용어의 발음이나 명칭에 있어 우위에 있습니다. 육문사본은 아마도 영어본을 원전으로 삼아 번역한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용어나 인명이 영어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모어가 라틴어로 썼다고 하니 이 점에 있어서는 서해문집본이 우위에 있습니다.

주석은 서로 다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좀체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데 전체적으로 볼 때에 서해문집본이 낫습니다. 하지만 둘 다 보는 것보단 못합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은 상호보완할 수 있다는 뜻도 됩니다. 참고자료로 들어있는 그림이나 설명이 문제인데, 장단점이 다 있습니다. 어떤 것은 글을 읽는 것을 방해할 정도였고, 어떤 것은 보충설명격으로 좋았습니다. 육문사본에는 이러한 자료가 전혀 없습니다.

문장은 서해문집본이 좀더 세련되게 다듬어졌습니다. 그런데 육문사본이 약간 거칠지만 때로는 직관적인 인식에 있어서는 낫습니다. 둘을 나란히 놓고 본다면 훨씬 이해가 잘 됩니다. 즉 둘 다 단독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비교를 위해 추가했습니다) 

둘 중 하나만 사야 한다면 어쩌겠느냐고요? 목적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유토피아'라는 책 자체를 읽고 싶고 돈이 부족하다면 육문사본을, 마찬가지로 '유토피아'를 읽고 싶은데 돈은 별 문제가 안되면서 좀더 폭 넓게 참고자료를 보고 또 잘 번역된 것을 보고자 한다면 서해문집본이 낫습니다. 그리고 돈이 좀더 많고 책을 잘 이해하고 싶다면 둘 다 사면 됩니다. 다른 출판사 것은 제가 보지 않았으므로 뭐라 말을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영어본(라틴어본이라면 난감하겠죠. 요즘은 라틴어를 거의 안 배우니)을 사서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y 2010-09-05 0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책을 사려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수은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어도 들어오지 않는 책이 있습니다.

코엘료의 책은 몇 권을 읽었고, 그 때마다 공통된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다릅니다. 뭔가 안개에 싸인 듯한 느낌이네요. 그래서 읽었으나 읽지 않은 것처럼 느껴집니다.

코엘료의 신은 가톨릭이 아니라 용어를 잊었지만 그런 신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에게 유리하게 또는 자신이 아는 범위 내에서 해석을 하려고 하거나 우호감을 보이죠.

번역상의 문제였을까요? 사실 책을 읽는 내내 자꾸 끊어진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머리가 복잡해져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속칭 궁합.

어쩌면 항상 이 저자는 가볍게 써왔는데 모처럼 무겁게 쓴 것을 제가 적응하지 못하여서인지도 모르겠습니다. 1994년 작이라.. 연금술사보다는 후대이고 11분이나 포르토벨로의 마녀보다는 전대이네요.

다음에 다시 읽어도 제대로 된 평가를 하게 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포의 제국 2
마이클 크라이튼 외 지음 / 김영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에서는 나열하는 방식으로 인하여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2권에서는 (물론 원작에서는 한권이었겠지만) 그 주제가 나타납니다.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작가로서 그런 자료들로 이런 작품을 끌어낸다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이 작품이 좋다는 게 아니라 그런 발상이 좋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몇 가지 사실을 조합하는 것. 그것은 각자의 상상력에 달려있습니다. 많은 작품들이 그렇게 하여 이 세상에 나타납니다. 일부는 그 결합을 보여줄 때 실패하는데 그것을 우리는 실패한 작품이라고 말합니다. 어떤 것은 보여주지만 호소력이 없을 때도 있습니다. 문제작이라고 말하지요. 잘 결부되면 우리는 명작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어제의 명작이 꼭 오늘도 명작이라는 법은 없습니다.

무엇인가에 공포를 가져야만 하는 세상. 맞는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포의 제국 1
마이클 크라이튼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이클 크라이튼의 책입니다. 의대를 졸업했고, 인류학도 졸업했습니다. 그 다음 둘 다 안하고 책을 쓰는 사람이죠. 글은 재미있게 씁니다. 시간 죽이기에는 최적이죠.

이번에는 다양하게 나열하는 수법으로 시작합니다. 그래서 헷갈립니다. 각 장은 날짜로 구분되는데 불행하게도 읽는 도중 눈에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편집은 3점입니다. 전체적인 흐름은 짐작이 됩니다. 작가가 곳곳에 흘려놓았으니까요. 하지만 어떤 방향으로 끌고갈지는 모르겠습니다. 한 방향으로 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마지막까지 그럴지 지켜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르넷 세계문학 55

3+2

시엔키에비치의 작품입니다. [십자군의 기사]와 [대홍수] 라는 두 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발췌본일 것이기 때문에 줄거리는 연결되지만 전체적으로는 불만족스러운 편집입니다.

아, 시엔키에비치는 그 유명한 쿼바디스(쿠오바디스)의 작가입니다. 폴란드 출신이죠. 따라서, 두 편 다 폴란드 독립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 나라의 작가로서 당연한 일입니다. 당시엔 폴란드 사정이 안 좋았으니까요.

이 책으로 두 작품을 평하는 것은 보류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번역이나 편집이 별로 안 좋은 것 같아서요. 그냥 이런 줄거리구나 하는 정보만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