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읽지 않는 책 2 - 대학생이 꼭 읽어야 할 세계 고전 130선
서강대학교 교양인성교육위원회 엮음 / 서강대학교출판부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로 서강대 교수들이 추천한 책들입니다.

 [아무도 읽지 않는 책]에 이은 나머지 필독서 130권을 실은 2부인데요, 역시 교수들이 추천해서인지 절판/품절된 책들이 많습니다. 자신이 갖고 있으면 더 이상 남을 위한 배려(인터넷 서점 검색으로 절판된 것을 가려내는 정도)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역시 교수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번 책에서도 비판을 하였지만 아무리 역사적으로 중요한 책이라고 하여도 현 시점에서 필독서로 제시하려면 지금 구입해서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필독서가 아니라 참고서로 분류해야지요. 저도 교수직에 있습니다만, 서강대학교 교양인성교육위원회의 의도를 얼떨결(?)에 참여한 개개 교수들이 몰라주는 것 같습니다. ㅎㅎ

죽 훑어보고 일부는 쳐다볼 필요도 없기에 제외하고 일부는 추천한 책이 없거나 나름 부실해 보여서(이미 산 사람들의 품평으로) 다른 책을 선택하고 했더니 60여 권 80여 만원 어치가 됩니다. 다 읽으려면 적어도 600시간은 걸리겠네요. 1주일에 10시간을 낸다 해도 1년 2-3개월이 족히 걸릴 분량입니다. 전체 목록을 다 본다면 4년 내내 못 보겠네요. 교수님들 너무하신 거 아닌가요?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원어로 감상하면 좋다는 하나마나한 글이 잦다는 것입니다. 영어로 된 글을 감상하려면 영어를 얼마나 공부해야 할까요? 게다가 제각각 그 언어로 감상하라고 하니, 영어, 독어, 불어, 일어, 노어, 스페인어, 중국어, 라틴어, 그리스어, ... 생을 몇번 살아도 불가능하겠습니다.


선정한 자료를 인정해서 그나마 낫게 평가했습니다. 

(09년 5월 18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브르 곤충기 4
앙리 파브르 지음, 김진일 옮김, 정수일 그림, 이원규 사진 / 현암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록된 주제와 각각의 양(페이지)입니다.

1. 청보석나나니 (18)
2. 좀대모벌, 그리고 청보석나나니의 식량 (16)
3. 본능의 착오 (19)
4. 제비와 참새의 둥지 (17)
5. 본능과 통찰력 (15)
6. 체력 소모의 경제학 (16)
7. 가위벌 (28)
8. 가위벌붙이 (20)
9. 수지(송진) 채취 가위벌붙이 (29)
10. 작은집감탕벌 (33)
11. 진노래기벌 (31)
12. 나나니의 사냥 수단 (16)
13. 배벌의 사냥 수단 (22)
14. 황띠대모벌의 사냥 수단 (19)
15. 반론과 답변 (17)
16. 벌침의 독성 (18)
17. 하늘소 (16)
18. 송곳벌에서의 문제 (22)

역시 대부분이 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생각보다 벌의 종류가 많네요. 우리가 풀밭에서 보았던 벌레들 중 적지 않았던 것이 벌 종류였습니다. 끈질긴 관찰과 학살(?)을 통한 실험이 여전히 이어집니다. 물론 오래 전의 기록이기 때문에 그 이후에 밝혀진 것에 의해 잘못이 드러난 것도 많습니다. 번역하신 분이 일일이 그런 것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책 자체를 곤충연구의 교본으로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다만 면면이 흐르는 학자정신만 본받으면 되겠습니다. 

(09년 5월 18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민담 전집 03 - 몽골 편 황금가지 세계민담전집 3
유원수 엮음 / 황금가지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저기에 보이는 설명 등을 종합해 보면 엮은이는 어떤 책을 보고 번역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내용은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의 것처럼 기술되어 있더군요. 민담이라는 것이 최근의 이야기이던가요? 물론 그것을 포함하기는 하지만 오랫동안(몽골이란 민족이 2-3백 년밖에 안된 민족이 아니지 않습니까?)의 이야기여야 할 것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이 책은 한참 부족한 것이 되겠습니다. 다른 이유가 있어 제한된다면 어쩔 수 없겠지요. 그런 것을 우리가 알지 못하니 낙제점을 안 주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 책은 '셍게' 이야기에 230페이지를, '바다이' 이야기에 51페이지를 할애하고 다른 이야기에 77페이지를 배당했습니다. 즉 358페이지 중 230페이지를 20세기 초의 어떤 특정인 (시리즈) 이야기로 꾸민 것입니다. 64%입니다. 몽골의 민담인지 셍게 이야기인지 구분이 안될 정도입니다.

출판사 입장에서 무리한 편집이었을까요? 

(09년 5월 18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구아나의 선물 꿈꿈이의 자연학교 8
우현옥 지음, 노영주 그림 / 느림보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가 재혼했는데 새아빠가 '나'에게 잠시(?) 맡긴 이구아나를 미워하는 주인공입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이구아나는 맡긴 게 아니라 자신에게 주어진 선물이었다는 것입니다. 선물이면 괜찮고 잠시 맡긴 것이면 안될까요? 잘 이해가 안됩니다만..

 그 구실로 이구아나를 소개하는 책입니다. 이야기는 사실 뒷전입니다. 물론 읽는 사람에 따라서 주객이 전도될 수 있겠죠.

왜 그렇게 생각하냐면, 전개상 마음이 바뀌는 게 너무 허술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구아나 기르기를 소개하기 위해 글을 쓴 게 아닐까 하는 것입니다. 

(09년 5월 18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한지 6 - 동트기 전, 이문열의 史記 이야기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호기 있게 나간 유방의 군대가 일도지패하는 장면을 주로 그린 책입니다. 당시 인구가 몇천만에 불과했다는 게 요즘의 정설인데, 기록에는 나라마다 수십에서 백만의 군대가 쉽게 동원되고 또 죽습니다. 뭐 혹자는 1/10으로 줄여서 보면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 라고 주장하기도 했으니까요.

 두어 달만에 다들 잘도 동서로 왔다 갔다 합니다. 수백년 뒤 삼국시대에 가면 그 짧은 거리를 진행하는 게 어려워서 통일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만 아마 인구가 증가한 것이 그 원인 중 하나겠지요.
  

 앞에 다른 분이 리뷰하신 것을 보니 저보다 더 혹독하게 비판을 하셨습니다. 상당히 동감하는 바입니다.

 그런데 모든 것을 떠나서 책 자체만 보면 대충 읽을 만한 책입니다. 사실 누가 사기를 직접 읽겠습니까? 그나마 이런 책이 있으니 내용을 아는 방편이 되는 것이지요. 

(09년 5월 14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