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에어 네버랜드 클래식 26
샬럿 브론테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시공주니어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분류에 초등학교 명작동화로 되어 있어서 잠시 당황했습니다. 제 기억 속의 것은 그런 게 아니었으니까요.

사실 너무 오래 전에 읽어서 이젠 단편적인(게다가 영화를 몇 번 본 적이 있었으니 기억이 뒤죽박죽 되었습니다) 내용과 줄거리만 남아 잇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책을 받은 지는 좀 오래되었지만 800여 페이지에 달하는 -비록 한 페이지에 겨우 23줄이여서 사실 페이지가 과장된 면은 있지만- 분량에 압도되어 시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30년 전에 읽었던 것은 500여 페이지에 불과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당시에는 글씨가 훨씬 작았고, 세로로 2단 편집되어 있었습니다.

아무튼 오늘 시간이 되어 단번에 읽어내려갔습니다.

어렸을 때 읽었던 것과 비교하면 당시엔 난해한 문장이 많았고, 전반적으로 어두웠던(아마 일부의 기억은 본 책의 저자와 자매인 E 브론테가 쓴 [폭풍의 언덕]과 섞여버렸을 것입니다. 그래서 어둡게 느껴질 지도...) 데 반하여 좀더 가벼웠고- 제가 이젠 그 때보다 나이를 먹어서 그럴지도- 예전엔 못 느꼈던 앞뒤의 구성도 눈에 들어왔습니다. 곳곳에서 발견되는 사소한 사건이 사실은 연관지어진다는 것에서 옛글의 단순함 또는 반대로 정교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인터넷에서 영어 원문을 받아 비교해 보니 일부 단어는 아무래도 현대 한국에서 널리 쓰이는 용어로 처리한 감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반적인 글 흐름은 여자가 쓴 것이라는 생각이 들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번역자의 의도적인 것인지 아니면 원래 작품의 구성상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단 하나의 번역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시각을 바꾸어 아이의 입장이라면 이작품이 이해될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분명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버거울 것 같습니다. 물론 줄거리는 전달되겠지만. 널리 알려졌다는 것이 대상 연령을 낮추는 조건 중 하나는 되겠지만 전부는 안 될 것입니다.

전체 구성으로 보아 어쩌면 몇 번이고 고쳐 썼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다른 고전에 도전하려고 합니다. 

(08년 6월 19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공주와 고블린 웅진 완역 세계명작 1
조지 맥도널드 지음, 아서 휴즈 그림, 정회성 옮김, 김서정 해설 / 웅진주니어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전에 어떤 책(다 읽은 후에야 [북풍의 등에서]임을 알았습니다)을 읽은 후 저자가 지은 책 중 걸작이라고 된 이것을 사게 되었습니다.

책을 펴들고 단숨에 읽었는데, 아주 재미 있습니다.

처음에 시작부에서 다른 어떤 책과 비슷한 형식의 전개가 이루어지는 느낌을 받았는데, 실제로 [북풍의 등에서]와 같은 형식입니다. 역시 동일한 작가임을 숨기지 않는군요.

[공주와 커디]라는 작품이 또 있다고 하는데 그것도 사서 봐야겠습니다.

작가가 의도하든 아니하든 하나의 작품은 보통 한가지 이상의 내용(의미)이 들어 있습니다. 그것은 표면상의 이야기외에 종교일 수도 있고, 교훈일 수도 있고, 풍자일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았지만 무의식 세계에서 반영된 것일 수도 있고요. 그래서 이중성 또는 다중성을 띠게 됩니다. 해석은 다양할 수 있고, 어느 하나만이 옳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즉 읽는 사람이 새로운 해석을 하면 되는 것입니다. 물론, 뻔한 의도가 내보이는데도 무시하는 것은 인정받지 못하겠지요.

한 가지 흠은 책 뒤에 출판사가 붙인 교훈조의 이야기가 붙어 있는 것입니다. 정답이 없는 게 문학임을 생각해 볼 때 사족이 아닐까 합니다.

또 다른 흠은 판형이 기본형과 조금 달라서 너비에 비해 높이가 낮다는 것입니다. 변형본은 장기적인 면에서 볼 때 -책은 책꽂이에 꽂히게 마련입니다-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08년 6월 17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작은 아씨들 세트 : 북 앤 다이어리 - Book Little Women + Every Year Diary
루이자 메이 올콧 지음, 김양미 옮김, 오은숙 일러스트 / 인디고(글담)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19세기 중반에 쓰인 것입니다. 그 시기에 나왔던 다른 -지금까지 살아남은- 작품들처럼 굳센 생활인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읽으면 좋은 책에 속합니다.

작품 자체에 대해서는 별로 더 이야기 할 게 없습니다. 다른 리뷰어들이 쓴 것뿐만 아니라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이 책을 이미 다른 출판사 것으로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입한 이유는 오로지 책의 두께(페이지) 때문이었습니다. 소개난에 507페이지로 나와 '아, 완역본이구나'라고 판단하여 사게 되었거든요.

다른 책과 함께 도착한 이 책을 꺼내는 순간, '왜 이렇게 작담.'이라는 생각과 동시에 - 이것도 축약본이겠군 하는 생각에 - 한숨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있던 책과 비교했을 때 내용이 더 많더군요. 그렇다면 완역본이거나 완역에 가까운 책일 거야로 자위할 수 있었습니다.

책이 완역본인지 아니면 축약본인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완역본일 때에만 원래 작품의 의미가 일부나마 독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이미 다른 언어로 옮겨졌기 때문에 원래의 작품은 아닙니다만 그래도 흐름이 전달되기 때문에 그나마 낫습니다.) 축약본일 경우 이미 원 저자의 작품이 아닙니다. 번역자의 작품이 되는 것이지요. 즉 줄거리만 같지 전혀 다른 작품을 독자는 읽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완역이라고 해도 번역자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책 소개에는 그 책이 원작을 그대로 번역한 것인지, 축약한 것인지 아니면 발췌본인지, 또는 의역한 것인지를 알려줬으면 좋겠습니다. 

(08년 6월 1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세라 이야기 네버랜드 클래식 19
프랜시스 호즈슨 버넷 지음, 타샤 튜더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시공주니어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의 관점으로 볼 때 [세라 이야기]는 공주병을 앓는 아이 이야기입니. 물론 공주-하녀-공주의 과정이지만.

7살에 시작하여 13살에 끝나는 이야기인데, 시종일관 작가의 관점을 따라가면 시각이 어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주병 증상도 귀엽습니다.

영어 제목이 [A Little Princess]이니까 우리가익히 알고 있던 [소공녀]가 더 적절한 제목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처음에 신문에 연재될 때는 [세라 이야기]였지만 말이지요.

역시 오래 전에 읽었던 것과 거의 차이가 없어 완역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나이를 먹어서인지 가장 감동적인 상황은 주운 4페니 동전으로 빵을 사서 다른 아이(처음 등장할 땐 남녀 구분이 없었는데 후에 여자 아이로 밝혀집니다)에게 주는 장면입니다.

버넷은 정말로 독자에게 환상을 심어줄 수 있는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비현실적인 전개이지만 읽는 입장에서는 현실성이 주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비현실적이라고 함은 예를 들어 나이만 따져 보겠습니다. 세라는 7살에 기숙학교 입학, 4년 뒤 11살 생일에 인생 전락, 2년 뒤 다시 부귀한 생활로 복귀. 당시 라비니아가 13살, 베키가 14살이었으니 각각 17과 19, 18과 20살이나 됩니다. 라비니아가 19살임에도 여전히 기숙학교에 있다는 건 좀 비현실적이지요. 베키도 20살에 걸맞지 않고 여전히 어린애처럼 행동하고 있고요. 로티는 처음에 4살이었는데 세라랑 가상모녀관계가 됩니다. 그리고 10살이 되어서도 여전히 어린애로 취급받는데, 세라는 7살에 벌써 애어른 취급하고 있었으니...

이미 아는 내용이라서 읽을까 말까 고민하다가 읽었는데, 위의 경우 외에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전부 용서가 됩니다. 읽을 때 얻는 것이 더 많으니까요. 

(08년 5월 31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세드릭 이야기 네버랜드 클래식 20
프랜시스 호즈슨 버넷 지음, C. E. 브록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시공주니어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내용은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옛날 어렸을 때에는 [소공자]라는 제목으로 책을 읽었었는데, 네버랜드 클래식에서는 [세드릭 이야기]로 나왔네요.

그래서 영어 제목을 찾아 보니 [Little Lord Fauntleroy]이네요. 소공자가 더 원래 제목과 가까울 것 같습니다. 폰틀로이는 책중에서 세드릭의 공식 호칭입니다.

어렸을 때 (국민학교 시절) 갖고 있던 소년소녀 세계 동화전집(아마도 계몽사에서 펴낸 것일 것입니다)에서 동화를 여럿 보았었습니다. [소공녀]에 대해서는 더 오랫동안 동화책이 존재했었기 때문에 나이를 좀 더 먹은 다음에도 몇 번 더 볼 수 있어서 익숙한데, [소공자]는 일찌감치 분실했었는지 본 기억도 잘 안 났던 것입니다.

일독을 하자, 한 번 본 것 같은 - 이런 기억은 별로 신통한 것이 못 되는 것을 요즘은 실감하고 있습니다. 보던 도중에 기억이 생성되기도 하기 때문이죠. - 느낌도 들었습니다. 책에는 영화로도 여러번 제작되었다고 하는데, 별로 기억에 없습니다. 아마 제가 남자여서 남자 이야기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탓일 겁니다.

읽기 직전에 다른 책(구운몽)을 읽었기 때문에 금세 관점을 바꿀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푹 빠져서 읽었습니다. 물론 지금의 관점에서 보면 좀 허술합니다만, 동심의 세계에서라면 그다지 흠이 안 될 것 같습니다. 소공녀도 수십 년 전 분실한 터라 같이 샀습니다. 아마 다음 주 내로 읽을 것 같습니다.

아참, 글에 나오는 홉스 씨의 모습이 바로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간군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08년 5월 26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