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한지 1 - 짧은 제국의 황혼, 이문열의 史記 이야기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는 분이 재미있게 읽었다고 해서 도서관에서 빌려왔습니다.

서론을 보면 <서한연의>가 엉터리이기 때문에 <초한연의>를 새롭게 쓰기로 했다는 대목이 있습니다. 한편 제목을 보면 사기(史記) 이야기로 되어 있습니다.

작년에 사기 열전과 본기를 읽은 터라 앞부분의 반 가까이 차지하는 사기를 옮긴 부분은 이 책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렸습니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나 수호지를 읽을 때 우리가 어떤 느낌을 받던가요? 소설 그 자체라는 것을 읽음으로써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소설(초한지)도 아니고 사기도 아닌 어중간한 책이 되어버렸습니다.

2권은 아직 읽지 않았는데, 계속 그렇다면 그 뒷부분은 읽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삼국지평역은 읽을 만했었는데 초한지는 적어도 이 책에서 만큼은 실망입니다. 

(09년 3월 10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마니별 - 김원일 소설
김원일 지음 / 강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6편 내내 사회비판적인 시각이 깔린 글들입니다.

다른 글은 접해본 기억이 없으므로 6편만으로 평을 해야 한다면, 위에 쓴 단어들로 집약됩니다.

직접적인 비평은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는 사람은 아는 것을 뒤집어 보임으로써 비판을 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글을 쓰는 숙련도는 내공이 깊음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무비판적으로 읽다 보면 마치 앞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집니다. 그런데, 뭔가 저와는 핀트가 어긋나는 것 같은 느낌을 글을 읽는 내내 받았습니다. 아마도 그렇지 않은 분들도 꽤 되리라 사료됩니다.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 게 뭐 대단하겠습니까? 내가 그렇게 느꼈다는데...... 

(09년 2월 28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밀꽃 필 무렵 - 토론과 함께하는 이효석 베스트 7
최윤정 외 엮음, 김민주 그림 / 계림닷컴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토론과 함께하는 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작품 감상에 지장이 있겠다 싶었습니다.

아, 이책은 역시 아내가 도서관에서 애들 이름으로 빌려온 것입니다.

이효석의 7 단편을 모아두고 그 뒤에 하나씩 주제를 정해서 토론을 하는 형식으로 된 책입니다. 그래 봐야 겨우 200페이지가 됩니다. 단편으로는 책을 내기 힘드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봅니다.

토론 주제 7개 중 2-3개는 시쳇말로 생뚱맞습니다. 3-4개는 그럴싸하고요.

메밀꽃 필 무렵, 사냥, 가을과 산양, 석류, 산, 돈, 수탉. 이렇게 7개인데 4개는 국어 교과서에서 본 기억이 나고 전혀 읽어본 기억이 안 나는 것은 1-2개에 불과합니다. 짧아서 교과서에 싣기에 적당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물론 내용도 적당합니다)

아내가 이번에는 계림의 책을 두 권 빌려왔는데, 둘 다 기대에 못 미칩니다. 우연일까요, 필연일까요? 

(09년 2월 23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홍길동전 논술세대를 위한 우리고전문학 강의 10
주재우 지음, 이형진 그림 / 계림닷컴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저자가 허균이 아니라 주재우로 되어 있습니다. 사실 허균은 조선 시대의 한글로 썼으니 번역을 해야만 지금 읽을 수 있습니다. 번역을 할 때 번역한 사람의 작품으로 바뀌는 것이 당연하므로 틀린 것은 아닙니다.

그림은 섬뜩한 느낌을 줍니다. 이런 유의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아닙니다. 따라서 편집/구성에서 점수를 뺄 수밖에 없습니다. 범우사에서 낸 홍길동전(사루비아 총서 214)와 비교하면, 훨씬 현대어답게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내용은 이해하기 쉽습니다. 다만 중간중간에 넣은 설명들이 작품 감상을 방해합니다. 아마 표지에 쓰인 것처럼 논술세대를 위한 강의여서 그런 모양입니다. 저에게는 해당 없으므로 역시 감점요인입니다. 모든 사람을 위한 책은 불가능하므로 다른 분들이 보기엔 괜찮은 책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09년 2월 23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방울전 새롭게 읽는 좋은 우리 고전 20
이이정 지음, 최문희 그림 / 청솔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나라가 무대이고 남해(아마 남중국해겠죠?)와 동해(황해가 되어야 할 텐데, 아니면 동중국해든지) 용왕의 아들딸이 서로 사랑하고(?) 결혼을 약속했지만 요괴에 의해 용녀는 죽고 용자만 살아나서 달아나다가 지나가던 인간의 몸 안에 들어갑니다. 용녀는 금방울(금령)로 변해 인간에 태어나고 용자는 몸을 피한 인간의 아들로 태어납니다. 하늘의 손에 의해 둘은 이런 저런 일을 겪으면서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하늘로..

고전소설답게 황당무계한 내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야기는 주인공 위주로 흘러가기 때문에 주변 인물들이 고생을 하는 것은 고전이나 요새 것이나 같습니다. 사실 이런 유의 글은 주인공이 중요하지 주변인물들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글들에서 이런 구도가 발견됩니다. 그러므로 독자들도 그런가 보다 하고 지나가면 됩니다.

그런데 옛날에 읽었던 기억이 안 드는 책입니다. 중학교 때 당시에 고전소설 읽기를 장려하여서 방학 때마다 파란색 껍질로 된 책을 학교에서 사서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읽은 것만 해도 수십 편이나 되는데 통 기억이 안 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완전히 잊었거나 안 읽었거나 둘 중 하나일 것입니다. 그래서 리뷰 앞에 줄거리를 추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보통 리뷰에 줄거리는 안 적는 것을 저의 원칙으로 합니다. 

(09년 1월 3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