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롯의 거미줄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35
엘윈 브룩스 화이트 지음, 가스 윌리엄즈 그림, 김화곤 옮김 / 시공주니어 / 200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내는 책을 살 때 진득하게 기다리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애들이 이 책을 사달라고 한 뒤 금세 서점에서 사왔었던 책입니다.

애들이 안 읽을 때 단숨에 읽은 책인데 당시에 느낀 점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소감도 없었고 다만 읽었다는 표시만 남았을 뿐이었습니다.

당시엔 왜 그런 상태였었는지 지금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오늘 이 책의 리뷰를 쓰기 위해 책을 다시 꺼내는 순간 표지에 붙어 있는 딱지 한장이 눈에 뜨이었습니다. "뉴베리 아너 상" 저 딱지 때문에 마음이 상해서 그랬을까?

이번에는 출판일을 보았습니다. 영어본이 1952년에 출판된 것 같았습니다.(저작권 표시년도) 왜 이야기의 전개가 내 마음에 와닿지 않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50년대에 미국 농촌을 배경으로 쓴 책이 2007년도에 한국에서 사는 도시민의 마음을 울리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다시 읽었습니다. '애들이 보기엔 괜찮은 책이구나.'

요란한 소개는 본질이 낮음을 의미한다는 요즈음의 인터넷상의 평가 기준이 어쩌면 내 머리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배경(시대, 작가의 당시 형편 등등)이 그 책에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위안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 4월 12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브르 곤충기 1
앙리 파브르 지음, 김진일 옮김, 정수일 그림, 이원규 사진 / 현암사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브르 곤충기' 하면 어릴 때 필독서로 되어 있어서 읽으려고 노력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물론 당시에 봤던 책은 1권짜리였고 이 책처럼 쇠똥구리의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언젠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재미있게 읽었던 때가 있었다. 세월이 흘렀고, 책은 슬그머니 사라졌다.

얼마 전 한라 도서관에 대출 카드를 만들려고 갔다가 서가를 한 바퀴 돌면서 뭐가 있는지를 대충 훑어보었다. 그 때 파브르 곤충기 4권(당시엔 5권을 아직 안 샀기 때문에 없었습니다. 5월 중순에 산 모양입니다)이 꽂혀있는 것을 보고 다시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빌려온 직후부터 조금 바쁘다는 이유로 (사실은 딴 데 정신이 팔렸다) 못 잡고 있다가 어제 시도를 하려고 했었다. 그런데, 둘째가 책을 자기 책꽂이에 잘 감춰서 꽂은 것을 못 찾았다. 오늘 찾아서 읽기 시작했는데, 감회가 새로왔다.

이 책은 파브르의 관찰기이다. 즉 사실일 뿐 진실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읽는 것은 잘못된 지식을 얻을 가능성도 있다. 해당 분야를 전공하는 곤충학자라면 잘못된 것을 알겠지만 우리들이 알 수는 없으니.

따라서 어떤 학자의 일기장을 함께 들춰보는 입장에서 접근한다면 흥미로울 것이다. 

(2009년 2월 28일 작성) (2009년 5월 25일 부분수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과 충돌하라 규장 A. W. 토저 마이티 시리즈 3
A. W. 토저 지음, 이용복 옮김 / 규장(규장문화사)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950년대 초반 휘튼 대학 학생들에게 전한 메시지입니다. 5-60년 전에 행해진 설교지만 오늘의 우리가 보아도 현실감이 있는 것은 시대가 다르다고 해도 인간세상이라는 것이 비슷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 책을 손에 잡은 것은 오래 되었지만 내용이 무겁기 때문에(이라는 핑계로) 결국 한 장 한 장씩 나눠 읽기로 하였고, 첫 장을 읽은지 두 달이 넘고야 말았습니다.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하나님만 바라보고 구별된 삶을 살아라'입니다. 간단하지만 현대인이 쉽게 얻을 수 없는 것입니다. 그 이야기는 마지막 장에서 토저가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이야!'로만 끝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싫증을 쉽게 느끼고 있는 것일까요? 

(2009년 2월 21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폰더 씨의 실천하는 하루 - 하루하루 실천하는 7가지 위대한 결단! 폰더씨 시리즈 4
앤디 앤드루스 지음, 하윤숙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도서관에서 빌려온 책입니다. 요즘은 빌려온 책이 많아서 정작 산 책은 읽을 기회가 적습니다. 아내의 몫으로 빌려온 것이여서 그런지 아내가 (책을 거의 안 읽는 아내가) 열심히 며칠 동안 갖고도 다니고 밤에도 졸면서 보고 있는 책입니다. 나흘 동안 100 페이지 정도를 보았으니 많이 읽은 셈입니다. 게다가 저보고도 꼭 읽으라고, 내용이 좋은 게 많다고 이야기해줬습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읽기로 하였습니다.

읽기는 다 읽었는데 왜 반쪽짜리가 되었냐 하면, 책 제목이 '실천하는'입니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방법에 '실천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읽기만 한 저는 반쪽짜리입니다.

영제가 Mastering the Seven Decisions that Determine Personal Success이니까 전에 나온 책의 보충판인 것 같습니다. 내용 곳곳에도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결국 일곱 가지 결단(책임지는 지혜를 구하는, 행동하는, 확신에 찬, 기쁨 가득한, 연민 가득한 그리고 끈기 있는 결단)을 확고하게 상기시켜주는 책입니다.

책의 곳곳에 짧거나 혹은 긴 빛나는 글들이 있습니다. 조만간 정리할 예정입니다. 

(2009년 2월 10일 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생 속으로 - 젊은 생태학자의 7년 아프리카 오지생활
델리아 오웬스.마크 오웬스 지음, 이경아 옮김, 최재천 감수 / 상상의숲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1974년 1월 두 명의 젊은 생태학자(결혼한 사이)는 무작정 아프리카로 날아갑니다. 자연보호 정책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인데, 그들은 좌충우돌한 후 인적이 드문 지역을 지역민에게 추천받아 5월에 정착하게 됩니다. 중부 칼라하리 자연보호구역의 디셉션 밸리에서 1980년 12월까지 지낸 이들은 이 연구를 정리 발표하여 적용할 목적으로 이곳을 떠납니다.

저자들은 장별로 이 사람, 저사람 또는 둘이서 글을 썼는데 단순한 경험담으로만 써내려가는 것이 부담스러웠는지 중간중간에 학술적인 내용을 첨가하고 또 독자에게 각인시키기 쉬운 에피소드 위주로 진행합니다. 일부에서는 독자의 흥미를 끌 목적으로 끝맺음이 없이 장을 마감하기도 합니다. 물론 뒤쪽 어느 부분에 가서 그 끝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일종의 시간대별 진행이지만 꼭 그런 것만도 아니고 에피소드 위주이면서도 마찬가지로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이 점이 독자로 하여금 끌려가면서 읽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한편 30여 년 전에 일어난 일인데 (이러한 자연의 동물을 관찰하는) 요새 다큐멘타리 작가들이 겪는 경험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비슷한 환경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또는 뾰족한 다른 수단이 개발되지 않아서일 수도 있겠고요.

이들은 자연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신념을 간간이 내보이지만 결국은 감정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끼어들기도 합니다. 숫사자 본즈가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그리고 개입이 전혀 없을 수가 없는 게 단순한 관찰로는 정확한 내용을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 여러 동물의 귀에 붙인 표식이나 발신기가 부착된 목걸이 등과 동물을 추적하기 위한 자동차 또는 비행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허울뿐인 정책을 여기서도 목도하게 되는데 물없는 보호구역이라는 게 말이 될런지요. 이는 북미 인디언 보호구역을 연상하게 합니다.

책 자체에 대해 궁금한 것은 저자들의 연구 기간은 1974년 5월부터 1980년 12월까지이고 원 저자들이 책으로 발간한 해가 1984년인데 왜 24년이 지난 2008년에 번역되어 출간되었는가 하는 것입니다. 

(2008년 11월 13일 작성) 

이것도 yes24의 서평용 책입니다. 그래서 늦게 알라딘으로 옮깁니다. 

(2009년 5월 25일 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